4차 산업혁명의 또 다른 이름은 기술의 시대다. 이른바 ◯◯◯테크로 불리며,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각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불어넣고 있다. 이런 기술은 비대면으로 인한 사람의 빈자리를 조금씩 채워가고 있다. 특히 식품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인 푸드테크에 대해 살펴본다.
도움 베어로보틱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이기원(서울대 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
최근 푸드테크가 부상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1 식품외식산업 트렌드 중 하나로 푸드테크를 선정했다. 푸드테크(Foodtech)는 식품(Food)과 기술(Technology)이 합쳐진 용어로, 식품산업 분야에 로봇, ICT,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과 같은 첨단 기술이 접목된 것을 말한다. 이 기술은 농업과 식품 관련 분야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식량안보, 탄소중립 등과 같은 환경 이슈의 부각과 더불어 코로나19로 위생과 안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푸드테크가 계속해서 성장하는 추세다”라고 밝혔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전 세계 푸드테크 시장은 연평균 5.8%씩 성장해 2022년에는 250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해 건강과 환경에 관한 관심이 부쩍 커지고 있는 만큼, 전망이 밝은 시장이다. 이기원 서울대학교 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는 “이전에는 사람이 만나는 공간 중심의 사업이 활발했다면, 코로나19 이후로는 비대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푸드테크 같은 기술 중심의 사업이 부상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무인화와 푸드 로봇
아울러 코로나19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부상하는 트렌드가 바로 ‘무인화’다. 푸드테크 시장의 대표적인 무인화 사례는 ‘푸드 로봇’이라고 할 수 있다. 서빙 로봇, 요리 로봇 등 다양한 푸드 로봇이 등장하고 있다. 이 교수는 “앞으로 무인화로 인해 노동 시장에서 단순·반복 업무는 로봇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최근 식품 유관 산업에서도 무인화 시스템이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푸드 로봇 시장의 전망성도 괜찮다. 시장조사 업체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푸드 로봇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연평균 13%를 상회하는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푸드 로봇은 세계적인 인건비 상승, 고령화에 따른 인력난 등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푸드 로봇의 장점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우선 푸드 로봇이 수익 창출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의 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에 따르면 서빙 로봇 배치 이후 팁의 비율이 늘었고, 캘리포니아의 한 식당에서 8개월 동안 시범 테스트를 한 결과 판매가 28% 증가했다. 베어로보틱스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접객을 원하는 수요가 생겼고, 동시에 로봇이 손님들의 이목을 끌 수 있어 점주들이 푸드 로봇을 선호하는 편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종업원의 업무 강도를 낮출 수 있다. ‘우아한형제들’이 출시한 서빙 로봇은 총 4단으로 구성돼 한 번에 4개 테이블에 음식 서빙이 가능하다. 최대 적재 용량은 50kg이다. 단순·반복적인 업무를 사람 대신 로봇이 맡으면서 종업원 입장에서는 업무 강도가 상대적으로 줄었다. 서빙 로봇을 운영 중인 점포 관계자는 “로봇 도입 이후 업무 강도가 낮아지면서 직원의 퇴사율이 낮아졌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서비스 만족도를 올릴 수 있다. LG전자에서 출시한 셰프 로봇의 경우, 원하는 국수 재료를 그릇에 담아 전달하면 1분 동안 국수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직접 볼 수 있다. 이는 손님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동시에 단순·반복 업무를 로봇이 담당하기 때문에, 종업원들은 접객 서비스에 더 신경 쓸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푸드 로봇을 도입해 종업원의 접객 서비스 수준을 올린다면 자연스레 서비스 만족도가 올라갈 것이고, 이는 손님의 재방문율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다만 비싼 비용과 안전성이 문제로 지적된다. 푸드 로봇을 통한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으로 수익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일부 검증되었지만, 비싼 초기 도입 비용으로 진입장벽이 높다. 또한 안전성 문제도 제기된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관계자는 “아직 특별한 사고 사례는 없지만 향후 안전성에 대한 세부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