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과거에서 현재를 지나 미래로 이어지는 선이 아니라 점(點) 같은 찰나가 쭉 이어질 뿐이다.” 심리학의 3대 거장으로 꼽히는 알프레드 아들러는 연결된 선처럼 보이는 삶이 사실은 수많은 점으로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에 얽매이거나 미래를 두려워 말고, 현재를 살아가라는 의미다. 중장년에게 독서와 글쓰기는 삶에 점을 찍는 과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8년 ‘책의 해’ 지정 이후, 2020년부터 매년 특정 부문 계층별로 ‘책의 해’ 사업을 진행했다. 2023년은 ‘4050 책의 해’다. 이번 사업을 위해 출판, 독서, 도서관, 서점, 작가, 중장년 등 10개 단체가 모여 ‘2023년 4050 책의 해 추진단’을 꾸렸다.
‘4050 책의 해’는 ‘당신 꿈에 더 가까이’라는 슬로건으로 4050세대가 지난 삶을 돌아보고 새로운 인생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자는 취지를 담았다. 중장년이 자신을 위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4050 맞춤형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작가와 함께하는 행BOOK학교’, ‘도서관 중장년 독서 살롱’, ‘4050, 책에서 길을 묻다’, ‘책과 생일-4050 CEO가 주도하는 독서복지’, ‘4050 책 추천 영상 챌린지’, ‘4050 책 생태계 포럼’ 등이다.
허건 책읽는사회문화재단 간사는 “중장년이 책을 통해 불안을 해소하고, 자신의 꿈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면서 “책 속에서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단편적으로 얻을 수도 있지만, 나아가 근본적인 삶의 철학과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된다. 인생 후반전을 맞이한 중장년에게 특히 독서가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읽고, 쓰고, 이야기 나누며
‘4050 책의 해’ 사업은 동네 서점이나 도서관에서 열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더 많은 중장년이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했다. ‘책’을 매개체로 나 자신을 알아가는 시간을 가지는 게 더 중요하다는 것. 프로그램 참여자인 김지영(58) 씨와 곽선미(49) 씨도 독서와 함께 반드시 ‘교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책을 읽고, 사람들과 소통하고, 글로 기록을 남기면서 불안을 해소하고 위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천 미래문고에서 ‘작가와 함께하는 행BOOK학교’에 참여한 김지영 씨는 아들러의 문장을 인용하며 독서와 글쓰기가 삶에 점을 찍는 행위라고 했다. 그 점들을 기록하면 삶이 더 풍부해진단다. “삶에 쫓기다 보면 마음의 여유가 없어지잖아요. 그런데 하루하루 나의 경험을 아주 작더라도 점으로 찍어서 남긴다면, 그것이 내 삶의 흔적이 아닐까 해요. 우리는 아직 하고 싶은 게 많은 나이잖아요. 수많은 책을 억지로 읽기보다 나와 맞는 책을 읽고, 감동한 내용을 짧게라도 기록해보세요. 시간이 지나 돌아보면 나도 몰랐던 내 삶의 줄거리를 보게 됩니다.”
전주시립효자도서관에서 ‘도서관 중장년 독서 살롱’에 참가한 곽선미 씨 역시 독서를 기반으로 한 모임이 중장년의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어준다고 했다. 단순히 책을 읽는 행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책에 담긴 내용을 사색하고 사람들과 교류하는 게 핵심이라고. “40대가 되면 그간 살아온 경험에서 얻는 지식이 있어요. 이제는 책을 양으로 읽기보다 질적으로 읽을 때인 것 같아요. 중장년의 경험이 그 질을 풍부하게 해줍니다. 책만 읽으면 지루할 수 있으니 책과 관련된 장소에 가보기도 하고, 다른 사람이 추천하는 책도 읽어보면서 즐겁기도 하고 위안을 얻기도 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