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 1차 회의 개최…고령화·자살대책 논의

입력 2025-09-30 23:23

(이투데이DB)
(이투데이DB)
한국과 일본 양국 정부가 고령화 등 공통으로 직면한 사회문제에 대해 서로의 정책 경험을 공유는 회의체를 구성했다.

3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날 한일 양국 정부는 일본 외무성 청사에서 '한일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협의체는 지난 한일 정상회담 합의의 후속조치로서 △국토균형성장 △방재 △저출산·고령화 △자살대책 △농업 분야 사회문제의 양국 공동 대응을 위해 출범했다.

이번 회의에는 협의체를 총괄하는 양국 외교당국과 사회문제별 소관 부처·기관이 참여해 각 사회문제 현황과 협의체를 활용한 협력 계획을 공유하고 향후 협의체 운영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협의체 분야별 소관 기관을 보면 △(총괄) 한국 외교부-일본 외무성 △(국토균형성장) 한국 지방시대위원회·행정안전부·국토교통부-일본 지방창생본부·총무성·국토교통성 △(방재) 한국 행정안전부-일본 내각부 △(저출산·고령화) 한국 보건복지부·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일본 후생노동성·어린이가정청 △(자살대책) 한국 보건복지부-일본 후생노동성 △(농업)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일본 농림수산성 등이다.

한국 측 수석대표인 김희상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은 “한일 양국은 앞마당을 공유하는 이웃이자 중요한 동반자로서 유사한 경제구조와 사회문제를 공유하는 만큼 동 협의체를 통해 공통 사회문제 해결에 실질적 성과가 창출되기를 기대한다”며 “올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계기로 양국이 미래를 바라보며 공통으로 직면한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함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게 되어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뉴스

  • 시니어 교통약자에게도 도움을…보행약자 서포터즈 운영
    시니어 교통약자에게도 도움을…보행약자 서포터즈 운영
  • "누구나 할 수 있다 AI로 쓰는 자서전"…한국디지털포용협회, 교육 과정 론칭
    "누구나 할 수 있다 AI로 쓰는 자서전"…한국디지털포용협회, 교육 과정 론칭
  • 한국의 공허함과는 다른, 미국 요양시설의 ‘사랑’
    한국의 공허함과는 다른, 미국 요양시설의 ‘사랑’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고령사회의 삶과 일’ 제20호 발간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고령사회의 삶과 일’ 제20호 발간
  • [챗GPT 브리핑] 치매 환자 10명 중 9명, 운전 계속한다 外
    [챗GPT 브리핑] 치매 환자 10명 중 9명, 운전 계속한다 外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