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투데이DB)
3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날 한일 양국 정부는 일본 외무성 청사에서 '한일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협의체는 지난 한일 정상회담 합의의 후속조치로서 △국토균형성장 △방재 △저출산·고령화 △자살대책 △농업 분야 사회문제의 양국 공동 대응을 위해 출범했다.
이번 회의에는 협의체를 총괄하는 양국 외교당국과 사회문제별 소관 부처·기관이 참여해 각 사회문제 현황과 협의체를 활용한 협력 계획을 공유하고 향후 협의체 운영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협의체 분야별 소관 기관을 보면 △(총괄) 한국 외교부-일본 외무성 △(국토균형성장) 한국 지방시대위원회·행정안전부·국토교통부-일본 지방창생본부·총무성·국토교통성 △(방재) 한국 행정안전부-일본 내각부 △(저출산·고령화) 한국 보건복지부·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일본 후생노동성·어린이가정청 △(자살대책) 한국 보건복지부-일본 후생노동성 △(농업)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일본 농림수산성 등이다.
한국 측 수석대표인 김희상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은 “한일 양국은 앞마당을 공유하는 이웃이자 중요한 동반자로서 유사한 경제구조와 사회문제를 공유하는 만큼 동 협의체를 통해 공통 사회문제 해결에 실질적 성과가 창출되기를 기대한다”며 “올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계기로 양국이 미래를 바라보며 공통으로 직면한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함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게 되어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