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진입 한 대한민국, 97년 노인의 날 제정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인의 날(10월 2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일 국가기록원에 따르면 노인의 날은 1997년 10월 2일에 제정됐다. 경로효친 의식의 고양과 노인 문제에 대한 국가적 관심 제고한다는 취지를 반영했다.
노인의 날은 유엔에서 정한 ‘세계 노인의 날’에서 비롯됐다. 1990년 빈에서 열린 제45차 유엔총회에서 10월 1일을 세계 노인의 날로 정했고, 우리나라는 하루 뒤인 10월 2일을 노인의 날로 지정한 것이다.
제1회 노인이 날 행사는 1997년 10월 2일 서울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렸다. 기록원은 “당시 2만여 명의 노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다채로운 공연과 체육대회, 노인복지에 힘쓴 모범노인에 대한 표창장 수여 등의 행사가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관련 뉴스
-
- “노인, 독립한 인권 주체” 노인인권기본법 입법청원
-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노인인권기본법’의 제정이 가시화되고 있다. 시민·종교·노동·복지 단체가 참여한 노인인권기본법제정추진연대는 30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 소개로 제정안을 입법청원 형식으로 제출했다고 밝혔다. 노인인권기본법의 제정은 그간 사회 각계각층에서 그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었다. UN은 1991년 ‘노인을 위한 UN 원칙’을 제정해, 노인의 독립성, 참여, 돌봄, 자기실현, 존엄의 다섯 가지 핵심 영역에서 18개 세부 원칙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반해 국내에선 관련 법령이 노인을 보
-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고령사회의 삶과 일’ 제20호 발간
- 한국노인인력개발원(원장 김미곤)은 30일 창립 20주년을 기념한 정기간행물 ‘고령사회의 삶과 일’ 제20호를 발간했다. 이번 호는 노인일자리 정책의 소득보장·사회참여·지역사회 기여 등 핵심 이슈를 중심으로 지난 20년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집중 점검했다. ‘명사 칼럼’에서는 주명룡 대한은퇴자협회 회장이 지속 가능한 초고령사회 구현을 위해 공적연금·퇴직연금·프로젝트 단위 소득을 일자리와 연계하는 다층적 소득체계를 제안하고, 정부의 제도적 인센티브를 통한 기업 참여 확대와 공공형–사회서비스형–민간기업형으로 이어지는 다층 설계를 주문했
-
- [2025 고령자 통계] 65세가 노인이라고?…실제 느끼는 노인 나이는?
- 통계청, ‘노인의 날’ 앞서 고령자 통계 발표 연령별 노인 인식 나이 비슷…65세 이상 ‘71.6세’, 90세 이상 ‘72.5세’ 65세 이상 10명 중 8명 무의미한 연명의료 반대 65세 이상 고령자가 인식하는 노인의 나이는 71.6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79.1%가 주관적인 노인 나이를 71.6세(남자 71.7세, 여자 71.6세)로 생각했다. 연령별로 생각하는 주관적인 노인의 나이를 보면 △65~69세 71.3% △70~74세 71.8
-
- ‘국정자원 화재’ 노인맞춤돌봄시스템 등 일부 정상화
- 복지부, 29일 오전 8시 30분부터 정보시스템 복구 현황 점검 28일부터 보건의료빅데이터·노인맞춤돌봄·취약노인지원시스템 등 일부 정상 작동 희망e음·복지로, 복구 후 개통 전 자체 점검 중…복지부 대표홈페이지 복구 진행 중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보건복지 행정정보시스템이 중단된 가운데 일부 시스템이 정상 작동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9일 오전 8시 30분부터 정은경 장관 주재로 정보시스템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장애 시스템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시스템별 작동상황을 점검한 결과
-
- 이재명 대통령 “정부, 어르신들 건강한 노후 위한 울타리 될 것”
- 복지부, 2일 제29회 노인의날 기념식 개최 정은경 장관, 이 대통령 축사 대독…“어르신들 삶의 궤적 모여 오늘 만들어” 1925년생 박순례·김준배 어르신 ‘장수지팡이’ 청려장 받아 이재명 대통령은 2일 “정부는 어르신들이 행복하고 건강한 노후를 보내실 수 있도록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드리겠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린 제29회 노인의 날 기념식에서 이 대통령은 출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축사는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대독했다. 이 대통령은 “어르신들께서 걸어오신 삶의 궤적들이 모여 자랑스러운 오늘의 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