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노인학대 현황보고서, 중년층 대상 프로그램 개발 권고
노인학대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학대 행위자인 베이비부머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보건복지부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이 발표한 ‘2013 노인 학대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이후 노인 학대 행위자가 ‘아들’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딸-배우자-며느리’ 등의 순서로 집계됐다.
때문에 학대 행위자인 신중년층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2013년 학대 피해노인에게 제공된 서비스는 8만7092건으로 집계됐지만 학대 행위자에게는 1만4759건만이 진행돼 참여가 저조한 실정이다.
보고서는 “오랜 기간 갈등 관계에서 비롯된 학대 사례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는 재학대 발생비율도 높아지고 있다”며 “노인의 기질 특성, 장애를 가진 노인에 대한 이해가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베이비부머는 부모 부양에 대한 부담을 가지며, 자녀들에게는 부양을 기대하지 못하는 샌드위치 세대로 학대 행위자이면서 예비 노인으로 학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며 “학대의 예방적 차원에서도 교육자료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관련 뉴스
-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 악화…준비금 2030년 고갈 전망”
- 국회예산정책처, 최근 ‘노인장기요양보험 정책 사업 평가’ 발간 “주요 재정기관, 향후 5년 내 당기순이익 적자 및 준비금 고갈 전망”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검토해야”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고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3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예정처는 최근 ‘노인장기요양보험 정책·사업 평가’를 통해 “주요 재정기관에서도 향후 5년 이내에 당기순이익 적자와 준비금 고갈을 전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
-
- “60대 고객 상위 20% 평균 잔액 1000만 원…상위 5%는 3800만 원”
- KB골든라이프, 데이터로 알아보는 시니어 금융정보 ”60대 고객 중 상위 50% 평균 잔액 200만 원 “ ”60대 1인당 평균 잔액 599만 원…연령대 중 가장 많아“ KB국민은행을 거래하는 60대 고객 중 상위 20%의 평균 잔액은 1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22일 KB골든라이프의 ‘데이터로 알아보는 시니어 금융정보’에 따르면 평균 잔액이 가장 많은 60대 고객 중 상위 50%의 평균잔액은 2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상위 20%의 평균 잔액은 1000만 원, 상위 5%는 3800만 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KB골든라이프는 ”KB
-
- “국민연금 보험료율 2040년까지 15% 인상…가장 효율적 시나리오”
- 윤병욱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 국민연금 가입연령 상향의 거시경제 효과 분석 “‘가입연령 상한 유지·2040년까지 보험료율 15% 인상’ 시나리오 가장 효율적” “보험료율 2%p 추가 인상, 노동공급에 거의 영향 미치지 않아”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2040년까지 15%로 올리는 게 연금재정,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윤병욱 부연구위원은 ‘국민연금연구원 30주년 기념호’에 ‘국민연금 가입연령 상향의 거시경제 효과 분석’ 보고서를 게재하며 “보험료율을 15%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방
-
- [Trend&Bravo] 올해 주식 투자 누가 잘했나? 세대별 승부 Top6
- 올해 한국 증시는 반도체와 AI 열풍으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하지만 시장의 상승세만큼 관심을 모은 건 '어떤 세대가 가장 높은 수익을 냈을까'다. NH투자증권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증시 상승장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거둔 투자자는 60대 이상 여성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단기 매매보다 꾸준한 수익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이런 투자 방식이 높은 수익률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들 세대는 빠른 수익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고, 시장 정보를 꼼꼼히 살피며 프라이빗뱅커(PB) 등 전문가와 상담해 신중히 투자
-
- 日 고령층 “유언장 필요성 알지만 정작 쓰고 싶지 않아”
- 일본은 한국보다 훨씬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선배 국가’지만, 유언장의 필요성 인식이나 실제 작성률에서는 한국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여전히 유언장을 ‘부자만 쓰는 문서’로 여기는 인식이 남아 있기 때문. 그러나 최근 일본 내 소규모 자산가구에서도 상속 갈등이 잦아지면서 유언장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지난 17일 오센스 법률사무소가 발표한 ‘유언장 보고서 2025’ 역시 일본 고령층의 이러한 인식 변화를 잘 보여준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50세 이상 응답자의 63.3%가 유언장에 대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