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면도 중요하다. 나이가 들면 자주 침이 마르고 입과 입술이 건조해지는데, 잠을 못 자면 상황이 더 심해진다. 밤에 잠자다 일어나 소변을 3~4회 보는 노인도 많다. 수면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배설 문제도 발생한다. 특히 남성들은 전립선비대증으로 소변을 시원하게 보지 못한다. 여성들은 요실금이 잦고, 한 번 요의를 느끼면 참지 못하는 급뇨도 자주 생긴다. 이런 사람들은 밖에 나가면 화장실 위치부터 찾게 되면서 활동 반경이 좁아져 사회활동에 어려움이 생긴다. 나이가 들면 등과 허리가 구부러지면서 위장, 소장, 대장, 간 등 인체의 장기가 아래로 처진다. 방광 역시 그렇다. 그런데 방광은 골반 바로 위에 있기 때문에 위에서 처진 위장, 소장, 대장, 간 등의 무게를 떠받치며 짓눌리게 된다. 이런 상황이 되면 전립선이 붓고, 괄약근도 약해지는데 뼈를 제대로 맞추는 치료법인 정골요법(osteopathy)에서는 골반 위를 지그시 눌러 방광 윗부분을 밀어 올리는 방법을 쓴다. 한의학 치료도 마찬가지다. 방광과 관련한 경락을 자극해 기운을 올려주고, 등허리를 펴게 하며, 괄약근을 튼튼하게 해준다.
인간은 직립보행을 하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위장, 소장, 대장, 간, 방광이 아래로 처지게 된다. 신체에서 위장, 소장, 대장, 방광을 위로 끌어올리는 힘은 횡격막에서 나온다. 숨을 들이쉴 때 횡격막은 아래로 내려간다. 이때 장기가 처지면서 아랫배가 나온다. 반대로 숨을 내쉴 때는 횡격막이 위로 올라가면서 흉강 내 음압에 의해 장기가 위로 올라간다. 그래서 참선이나 단전호흡을 할 때 들숨이 5초이면 날숨은 10초로 내쉰다. 날숨이 길어야 처진 장기를 위로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은 스트레스가 많으며, 이것이 과호흡증후군으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이때는 들숨을 더 깊게 하려는 경향이 있다. 들숨이 많아지면 장기가 처져 소화가 안 되고 대소변이 시원치 않고 가스도 많이 찬다. 이럴 때는 허리를 꼿꼿이 펴고 숨을 천천히 끝까지 내쉬는 연습을 자주 해주면 몸이 좋아진다. 숨을 천천히 끝까지 내쉬는 날숨 위주의 호흡이 중요한 이유다.
폐가 좋아지면 방광기능도 좋아진다. 그래서 약간 경사진 곳을 오르거나 둘레길을 자주 걷는 것이 좋다. 햇볕도 폐를 강하게 해주므로 매일 30분 이상 쬐어주면 도움이 된다.
급뇨에는 배꼽 아래에 위치한 중극혈에 뜨는 직접구가 효험이 있다. 매일 쌀알 크기의 쑥뜸을 5~7장 해주면 좋다. 주의할 점은 바람이 들지 않고 따뜻한 곳에서 뜸을 떠야 한다. 뜸을 뜨면서 찬바람을 맞으면 뜸몸살이 발생할 수 있다. 중극혈을 자극하면 방광이 힘을 받고 괄약근이 튼튼해진다. 방광 주위 근육이 튼튼해지면 급뇨 증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야뇨 증상은 화장실에 가려고 잠에서 깼다기보다는 잠이 깨어 화장실을 가는 경우로 봐야 한다. 나이가 들면 부신기능이 떨어져 혈당 조절이 잘 안 되는데, 새벽녘에 혈당이 떨어지면 잠을 깨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야뇨 상황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럴 때는 잠자기 전 치즈를 한 조각 정도 먹고 자면 좋다. 새벽에도 혈당이 유지되어 숙면을 하게 되고 야뇨 증상도 줄어든다.
밤낮으로 잦은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심리적 긴장을 이완시켜야 한다. 방광이 아닌 정신적 문제로 발생하는 상황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뜻한 대추차나 꿀차, 천왕보심단, 황련 같은 한약을 음용하는 것도 좋다. 아랫배에 핫팩을 30분 정도 해주는 것도 긴장 이완에 도움이 되어 야뇨를 줄여준다.
최철한(崔哲漢) 본디올대치한의원 원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박사. 생태약초학교 ‘풀과나무’ 교장. 본디올한의원네트워크 약무이사.
저서: ‘동의보감약선(東醫寶鑑藥膳)’, ‘사람을 살리는 음식 사람을 죽이는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