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길을 오르자니 이내 다산초당. 기와를 입었으니 초당이 아니고 와당이겠으나, 숲속 산방이라 외져 수수롭다. 지금 이곳에 갖가지 꽃들이 피어나지만 다산 정약용, 그는 진정 꽃핀 사내였다. 꽃다운 한살이를 누리고 떠난 인물이었다.
꽃다운 한살이? 이는 웬 거친 은유? 다산은 다산초당에서의 10년을 포함, 강진 땅에서 도합 18년간 유배를 살았다. 말하자면 그는 이 적막한 숲에서 ‘지옥의 한철’을 살았다. 그러나 기이하도록 고등한 이 인물은 운명의 농간에 굴복하지 않는 놀라운 재능을 발휘했다. 마치 도스토예프스키가 시베리아 유형 체험을 창작의 퇴비로 변용했듯이, 다산은 유배의 고난을 정련해 학문의 보검(寶劍)을 벼렸다. 그는 유례가 드문 운명의 연금술사이자 뛰어난 곡예사였다. 거대한 학문의 포식자이자 불굴의 강철 인간이었다. 불후의 명저 ‘목민심서’를 비롯해, 자그마치 500여 권에 이르는 각종 경집과 문집이 다산초당에서 생산되거나 기획되었다. 독을 약으로 삼아 개화 만발한 특유의 기화(奇花). 후세에 쏟아진 갈채는 응분의 몫이 아니고 뭐란 말인가. 꽃핀 다산의 한살이는 그 자신의 영광이자 시대의 쾌거였다.
유배객 신세에 고독인들 없었으랴. “봄잠 자고 술에 취해 사립문 닫았노라”, 다산은 그리 시를 썼다. 술과 시로도 누르지 못할 외로움이 들솟으면 숲을 배회했을 테지. 궁지에 몰릴수록 자연이 살가워지는 법. 만고에 믿을 만한 벗인 자연과 교유하며 시름과 갈증을 다독였을 게다. 나는 지금 다산이 즐겨 걸었다는 숲길을 밟아 나가고 있다.
만덕산 허리춤을 빙 에워 도는 숲길이다. 휘거나 꺾이거나 오르내리거나, 다채롭게 변주하는 오솔길이다. 숲을 이룬 수종 역시 다양하다. 흔전만전하기론 소나무·참나무·물푸레나무·조릿대·소사나무이지만, 남도 특유의 상록 교목인 동백나무·후박나무·비자나무·차나무 또한 숲을 채워 식생의 향연을 펼친다.
유배객 다산에겐 절친하게 지낸 승려 둘이 있었다. 저 아래 두륜산 일지암에 머물렀던 초의와 여기 만덕산 백련사 주지였던 혜장이 바로 그들. 당대 최고의 선승이었던 두 스님은 연상의 다산을 스승으로 섬겼다지. 특히나 혜장은 다산의 고달픈 유배생활에 많은 편의를 제공했더란다. 둘의 학문적·사상적 교류 또한 흐벅진 것이었다.
다산초당에서 백련사로 이어지는 1km 남짓한 숲길. 이 길이 바로 다산과 혜장이 만나고 통하고 논하고 배운 길이었다. 당대의 걸출한 석학과 선승이 교유한 ‘유(儒)·불(佛) 소통의 크로스로드’였다. 다산의 고독과 사색이 서린 길이기에 ‘다산의 철학 산책로’라 이를 수도 있겠지.
숲길 막판엔 백련사가 있다. 절 앞 저만치에서는 구강포 바닷물이 너울거린다. 꽃빛 낭자하게 번진 뒤편 만덕산은 젖을 내주는 어미의 표정을 지은 채 산사를 와락 보듬는다. 그리고 산사의 옆 자락엔 붉은 꽃초롱 총총! 동백꽃, 지천으로 흐드러져서다. 백련사 동백숲엔 1500여 그루의 동백나무들이 있으며 수령 300년이 넘었다는 노거수들도 많다. 주름과 검버섯, 생채기와 옹이에 뒤덮인 거목들 가지마다에 붉디붉은 꽃이 피어 회춘의 일락(逸樂)을 구가한다. 동백 꿀을 탐하는 습성이 있어 마냥 동백숲에서 지지구재재구 노래하는 저 새들은 동박새.
이채로운 건 동백숲 안에 산재하는 석탑과 부도들이다. 이끼 낀 저 수려한 석물 사위로 동백꽃 향불이 물결처럼 일렁거린다. 해서, 숲 안은 법당처럼 그윽하며, 불화(佛畫)처럼 장엄하다. 옛사람 납신다. 이 요요한 봄날의 동백꽃 제전을 바라보다 휘적휘적 숲 밖으로 가뭇없이 사라진다. 환(幻)으로 오신 다산. 그는 동백숲이 못내 그리울 테고, 나는 외람되이 그가 그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