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단 없이 재처방 日 ‘리필 처방전’ 제도
- 2022년 4월부터 일본에서는 ‘리필 처방전’ 제도를 도입했다. 한 번의 진찰로 받은 처방전을 최대 세 번까지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불필요한 의료비를 줄이고 고령자의 편리를 높이는 제도지만, 환자의 건강 유지가 어려워진다는 우려도 나온다. 당뇨가 있는 고령자라면 같은 약을 오랜 기간 복용해야 하는데, 전문의약품이라는 이유로 매번 의사의
- 2023-02-28 08:54
-
- 연명의료결정제도 5년… 웰다잉 관심 높였다
-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막는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시행된 지 5년이다. 2월 현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자 수는 160만 명을 달성했다. 실제 의료기관에서 연명의료 중단이 이행된 건수는 26만 건을 넘어섰다. 이는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진 것을 의미하는 데, 안락사와 존엄사를 합법화하지 않은 우리나라는 풀어야 할 숙제가
- 2023-02-28 08:50
-
- 뇌종양은 왜 ‘뇌암’이라 불리지 않을까?
- 뇌종양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두개골 안에 생기는 모든 종양을 말한다. 지난해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국내에서 발생한 신규 뇌종양 환자는 1785명으로 전체 신규 암 환자 24만7952명의 0.7%를 차지했다. 대한뇌종양학회는 현재 국내에서 뇌종양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2만여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병률은 일반에 알려진 두려움에 비해
- 2023-02-27 09:11
-
- “타일공 평생직업 가능, 성공하려면 절박함 있어야”
- 악어타일의 최지웅(41) 대표는 지난해 ‘나도 타일을 배워볼까?’라는 책을 펴냈다. 우리나라에 타일을 주제로 한 대중서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고, 선배로서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글을 썼다. 타일공이자 바른 타일 시공법 전파에 힘쓰는 최 대표는 자신을 ‘공학과 교육, 예술적 창작의 교차점에 있다’고 표현한다. 최지웅 대표는 변화무쌍한 삶을 살았다.
- 2023-02-27 08:26
-
- 고소득 건축 현장직의 대표주자, 타일공
- 건축과 인테리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축 시공 분야의 직업도 주목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예술적인 영역을 담당하는 타일공에 관한 관심이 뜨겁다. 보수도 높은 편으로 한국을 넘어 외국에서도 유망직업으로 통한다. 무엇보다 중장년층에게 타일공을 추천하는 이유는 정년이 없는 기술직이라는 점이다. 타일공은 건축구조물의 내·외벽, 바닥, 천장
- 2023-02-27 08:25
-
- 프로방스의 보석 테르 블랑슈 골프클럽
- 프랑스 면적은 우리나라 5.5배, 인구는 6530만 명이다. 행정구역은 우리나라의 도에 해당하는 레지옹이 18개, 시군에 해당하는 데파르트망이 95개, 동에 해당하는 코뮌(Commune)이 약 3만 5000개 있다. 리옹시와 파리시는 특별지위에 있다. 프랑스 전역에 811개 골프 코스가 있다. 테르 블랑슈 호텔스파&골프리조트(Terre Blanc
- 2023-02-26 14:46
-
- 해외에선 이미 명소 기획력이 다르다
- 생뚱스레 허허벌판에 홀로 있는 음식점이라거나, 거기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을 것 같은 곳에서 뜻밖의 공간을 만난 경험이 있는가? CICA(시카)미술관은 의외의 장소성으로 오히려 도드라진다. 거대한 산업단지 안에 외톨박이 이방인처럼 고독하게 박혀 있으니까. 김포시 양촌읍 학운산업단지 한구석에 있다. 하필 왜 여기에 미술관을? 이런 궁금증, 쉽게 터져
- 2023-02-26 14:46
-
- [카드뉴스] 시간을 이야기하는 영화 3
- 억만금을 주고도 살 수 없을 만큼 중요하지만 바쁘게 사느라 놓치기 십상인 시간. 이번 주말에는 ‘타임 슬립’ (시간 여행) 영화를 감상하며 시간의 의미를 되새겨보자. 어바웃타임(2013) 〈넷플릭스, 왓챠, 웨이브, 티빙, 시리즈온 시청 가능〉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남자가
- 2023-02-24 08:00
-
- [연금 가이드 ①미국 편] 퇴직연금으로 백만장자 꿈꿀 수 있는 나라
- 고령 인구 증가로 퇴직연금 시장 규모가 점점 커지면서 연금 시장 개편 요구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퇴직연금 제도를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개인형 퇴직연금(IRP)으로 나누고, 세액 공제 혜택을 주는 등 퇴직연금 시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하지만 퇴직연금의 약 90%가 원리금 보장 상품에 방치돼 수익률이 연 1% 수준에 그쳐 노후 소득으
- 2023-02-23 15:17
-
- ‘혼밥’ 노인, 더 빨리 늙는다… 우울감이 주요 원인
- 혼자서 식사를 하는, 이른바 ‘혼밥’ 노인일수록 노쇠가 훨씬 빠르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홀로 식사하면서 생긴 우울감이 영양 결핍과 고립을 불러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송윤미 교수·박준희 임상강사)·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원장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지난 1월 이 같은 결과를 밝혔다. 2016∼20
- 2023-02-23 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