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는 ‘2025 마곡리빙디자인페어’가 11일부터 14일까지 열린다. 올해 주제는 ‘없던 집, 어떤 집’. 일상 속 불편을 줄이고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140여 개 브랜드가 참여해, 기술과 감성이 만나는 집의 가능성을 선보인다.
‘딥센트 라운지’ 시니어의 감각을 깨우는 스마트 향기
‘딥센트 라운지’는 집
IFA 2025가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독일 베를린 메세 베를린에서 개최됐다. IFA 2025는 유럽 최대의 가전·콘슈머 기술 전시회로, 올해 슬로건은 ‘미래를 상상하라(Imagine the Future)’다. 스마트홈·인공지능·모바일·디지털 헬스 등 차세대 생활기술의 흐름을 한자리에서 보여줬다. 고령화를 겪고 있는 유럽 소비자를 주요 대상으로 하는
집이 먼저 주인을 알아보고 움직이는 시대가 열렸다. IFA 2025에서 공개한 삼성전자의 ‘스마트 모듈러 홈’은 귀가 순간 조명·커튼·에어컨이 자동으로 작동하고, 로봇청소기와 냉난방 설비가 생활 패턴에 맞춰 스스로 움직인다. 특히 에너지 관리와 보안 기능까지 통합된 이 시스템은 시니어 세대에게도 생활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안전과 편리함을 높여줄 것으로 기
집 꾸미기에 관심이 많은 4050 세대의 소비가 빠르게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다. 4050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퀸잇’은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맞춤형 큐레이션과 무료배송 전략을 강화하며 리빙 카테고리에서 놀라운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라포랩스가 운영하는 퀸잇은 리빙 카테고리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16배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 8월 진
4일 아마존재팬이 자사의 AI 음성 비서(알렉사)가 고령자 돌봄과 원격 모니터링에 실질적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일본 내에서 65세 이상 가족을 원격으로 돌보는 516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 1일부터 3일간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80.2%가 “AI 음성 비서가 매우 도움이 되거나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밝혔고,
집을 단순한 생활 공간이 아닌 나만의 개성과 취향을 담는 무대로 여기는 이들이 늘고 있다. 특히 인생 2막을 준비하는 시니어 세대에게 ‘집 꾸미기’는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과제가 된다. 오는 9월 11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마곡리빙디자인페어’는 이런 흐름 속에서 새로운 집의 형태와 가능성을 제안한다.
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어떻게 나이 들 것인가’는 개인은 물론 사회가 마주한 과제가 됐다. 단순한 생존을 넘어 ‘품위 있는 노년’, ‘건강한 쉼’을 추구하는 흐름 속에서 코웨이의 힐링 케어 브랜드 비렉스(BEREX)가 중장년층을 위한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코웨이는 1989년 설립 이후 정수기 렌털이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며 생활환경
일본에서 요양시설의 냄새와 관련한 재미있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국내서도 냄새는 요양시설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는 경향이 있다.
6일 가전기업 파나소닉은 ‘2025년 요양시설 내 냄새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요양시설 이용자와 가족, 종사자 모두 ‘시설 내 악취’가 시설 선택과 근무 지속 여부에 중요한
손수 기른 농산물로 상을 차리고, 가족과 어울려 쉴 수 있는 소박한 집 한 채.
믿을 수 있는 먹거리와 건강한 여가 활동을 바라는 이들의 로망이다. 개정된 농지법 시행으로 ‘농촌체류형 쉼터’를 도입하기 전까지는 좀처럼 실현하기 어려운 꿈이었다.
농지에는 ‘농막’, 그야말로 단순한 창고만 설치하도록 규제했기 때문이다. 이제 농촌체류형 쉼터의 도입으
이투데이피엔씨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과 함께 장애인과 고령자를 위한 디지털 접근성 인증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디지털 접근성 향상과 사회적 약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세 기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법령 이행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