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은한 파스텔톤 색채에 따뜻한 시선이 느껴지는 화풍, 일상적이고 정다운 소재. 고등학교 교사 출신 이찬재(78) 씨가 그린 그림이다. 아내인 안경자(78) 씨는 그림에 얽힌 이야기를 손주들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써 내려간다. 두 사람의 글과 그림은 함께 운영하는 인스타그램(@drawings_for_my_grandchildren) 계정에 공개된다. 계정의 의미처럼 브라질에서 함께 살던 손주가 한국으로 떠나면서 보고픈 마음을 달래기 위해 시작한 일이다.
작은 취미생활이 일상을 송두리째 뒤바꾼 건 3년만이다. 부부만의 감성이 돋보이는 인스타그램은 영국 BBC와 가디언지, 미국 NBC 등에 소개되며 입소문을 탔고, 어느덧 4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인기 계정으로 거듭났다. 지난해 5월에는 ‘인터넷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웨비 어워드에서 상까지 탔다. 두 사람에게 SNS는 어떤 의미일까? SNS를 시작하고 삶이 풍요로워졌다는 이찬재·안경자 부부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Q. 인스타그램을 시작하신 계기는 무엇인가요?
안경자(이하 안) 브라질에 있을 때 딸네랑 이웃에 살면서 손주와 줄곧 가까이 지냈어요. 남편이 5년 동안 매일 학교를 데려다줬죠. 그러다 딸네가 갑자기 한국으로 돌아가게 됐어요. 늘 같이 생활하던 손주가 떠났으니 일상의 한 부분이 잘려 나간 거잖아요. 그러니까 뉴욕에 사는 아들이 아버지가 건강을 잃지는 않을지, 멍하니 무료하게 시간을 보내진 않을지 걱정을 하더라고요. 그래서 아버지한테 취미로 그림을 권한 거예요.
이찬재(이하 이) 원래는 그림과 연관된 삶을 살지 않았어요. 이민 가기 전까진 아내와 저 모두 고등학교 교사였죠. 그런데 아들이 6살 때 제가 준 그림엽서를 기억하면서 아빠가 그림을 잘 그리니까 취미로 한 번 그려보라 하더라고요. 그 당시 가르치는 학생들 데리고 대성리에 갔다가 주변 건물이나 풍경 같은 걸 그려서 준 적이 있거든요. 그러면서 인스타그램이라는 걸 알려주는 거예요. 그곳에 그림을 올려보라면서요.
Q. 주로 어떤 그림을 그리시나요?
이 처음에는 아무거나 그렸어요. 아들에게 뭘 그려야 하냐 물었더니, 어떤 것도 상관없다고, 뭐든지 그리면 된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무작정 스케치북을 가지고 나가 공원에 있는 조각이라든지, 공연하는 광대, 경찰관이 타고 가는 말 이런 것들을 그렸어요. 그러다 둘째 손자가 태어났죠. 몇 달 뒤 손자를 보러 뉴욕에 갔어요. 거기서 아기를 품에 안고 아들과 대화를 하다 보니 손자들에게 줄 그림을 그려야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죠. 그때 지금의 계정 이름이 탄생한 거예요.
그때부터 손주들이 좋아할 만한 유익한 소재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애들은 자라면서 좋아하는 게 달라지잖아요. 공룡을 좋아하면 공룡을, 파워레인저를 좋아하면 파워레인저를 그리는 식이죠. 때로는 할머니 할아버지가 옛날이야기를 해주듯 저희 젊은 시절을 회상하며 그리기도 하고, 한글날, 3.1절과 같은 중요한 날엔 어떤 날인지 그림으로 알려주기도 해요. 요즘은 모든 사람이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 환경에 대한 얘기도 많이 하죠.
Q. 3개 국어로 글을 써야겠단 생각은 어떻게 하신 건가요?
안 저는 전문직은 아니어도 글과 늘 관계 깊은 생활을 했어요. 고등학교 시절부터 문예반에서 활동했죠. 이민 가서는 한인회보도 만들고, 이민 생활을 하며 느낀 감정을 수필 형식으로 써서 간간히 발표도 했어요. 또 국제학교 한국 문학 교사였으니까 소설이나 수필, 시 등을 자주 접했죠.
그러다 남편이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는데, 기왕이면 그림에 대한 설명을 붙여주면 좋잖아요. 그림이 탄생한 사연을 쓰면 좋겠다 싶었죠. 또 저희가 한국에 들어오기 전에는 대부분의 팔로워가 미국인이나 유럽인들이었거든요. 그래서 전 세계 모든 팔로워가 그림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제가 쓴 글을 아들이 영어로, 브라질에서 대학을 나온 딸이 포르투갈어로 번역하게 역할을 나눴어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모든 이들이 그림을 보고 보다 더 잘 이해하고 감동을 했으면 하는 마음에서였죠.
Q. 지금은 SNS를 활발하게 이용하고 계시지만 처음에는 꽤 생소하셨을 것 같은데요. 어려운 점은 없었나요?
이 그땐 인스타그램이 뭔지도 몰랐어요. 무엇보다 휴대폰으로 뭘 한다는 게 익숙하지도 않고 싫었죠. 나이 든 사람들은 누가 알려줘도 한 시간이 지나거나 하루가 지나면 잊어버리고 버벅대거든요. 그런 거에 대한 두려움이 좀 있었어요. 그런데 하도 아들이 간곡하게 권하고, 옆에 앉혀놓고 반복하면서 가르치니까 그 정성에 감복을 했죠.(웃음)
안 처음엔 실수도 많이 했어요. 해본 적이 없으니 사진이 어둡게 나오거나 이상하게 찍혀서 제대로 된 게시물을 못 올렸죠. 그런데 아들이 탓하지를 않더라고요. 오히려 꾸준히 해보라고 했지, 이건 왜 이렇게 시커멓냐 타박하질 않았어요. 그러니까 좀 쉬워지더라고요. 나이 든 사람들은 문명의 이기를 잘 못 받아들이는데,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을 젊은 세대들이 두렵지 않다고 가르쳐줘야 하는 것 같아요.
Q. 최근에는 젊은 세대들 사이 인기인 ‘틱톡’도 활용 하신다고 들었어요. 인스타그램과 다른 점이 있던가요?
안 인스타그램은 아들이 알려줬는데, 틱톡은 우리 딸이랑 손주가 권했어요. 팬데믹 시대에 답답한 생활이 이어지다 보니 활력을 주고 싶었나봐요. 인스타그램은 사진 위주다 보니 서정적이고 감성적인 분위기라면 틱톡은 동영상 플랫폼이라 보다 활동적이고 위트 넘치고 재치 있는 분위기거든요. 젊은이들의 마당이랄까? 손자들하고 춤추는 영상도 올릴 수 있죠. 틱톡도 손자들과 소통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에요.
Q. SNS를 시작하신 뒤 삶에 어떤 변화가 생겼나요?
이 원래 성격이 무심한 편이에요. 그래서 매사에 큰 관심이 없었는데, 일상 속 남겨두고 싶은 부분을 사진 찍고, 그림으로 그리고, 사람들과 공유하다 보니 정서적으로 많이 풍요로워졌어요. 저희가 공원 근처에 사는데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을 데리고 공원에 자주 소풍을 와요. 그런 아이들을 보며 그림을 그리는 것만으로도 행복하죠.
안 시각이 넓어지고 깊어졌어요. 그동안은 세월 가는 줄 모르고 살았는데 인스타그램을 한 뒤부터는 글을 쓰기 위해 싹이 나고, 꽃이 피고, 낙엽이 지고, 눈 내리는 모습을 깊이 관찰하고 보게 되니까 자연스레 자연과 사람에 대한 관심이 많이 생겼어요. 다큐멘터리 같은 것도 열심히 보게 됐고요. SNS를 시작하지 않았다면 하릴없이 예능 프로그램이나 드라마만 봤겠죠. 고마운 존재예요.
Q. 마지막으로 이루고 싶은 또 다른 꿈이 있다면요?
안 그냥 좋은 글을 쓰는 게 꿈이랄까요. 저는 지금 동화를 쓰고 있는데, 동화처럼 손주 또래가 읽을 만한 글을 앞으로도 계속 써나가고 싶어요.
이 젊었을 때 가수가 되려고 한 적이 있어요. 지금은 귀가 잘 안 들리다 보니 음을 잘 못 잡지만요. 손주들을 위해 글이나 그림 말고 노래를 녹음해서 남겨주고 싶다는 생각도 들어요. 잘 부르진 못해도 듣기에 괜찮은 곡을 녹음해 들려주는 거죠. 그 외에는 특별한 꿈 없이 지금 하고 있는 이 작업을 오랫동안 즐겁게 해나가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