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고령층은 더는 소일거리나 집안일만 돕는 ‘뒷방 늙은이’가 아니다. 경제활동이 활발했던 세대답게 은퇴 후에도 투자와 자산관리에 관한 관심이 많다. 산업화와 금융위기를 직접 겪으며 경제의 흥망성쇠를 몸소 경험한 만큼 새로운 투자에도 과감하게 뛰어드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그만큼 신종 금융사기에도 노출되기 쉬운 세대이기도 하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를 예방하고 피해 구제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 사례 7선’을 정리해 발표했다. 최근 캄보디아발 보이스피싱 사태로 신종 금융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다시 높아진 만큼 브라보마이라이프는 금감원이 공개한 주요 ‘투자사기 사례 7선’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은퇴 이후 고정적 수입이 없는 고령층은 이런 은밀한 속삭임에 취약하다. 정년 퇴직 후 경제활동이 단절됐다는 불안감이 고수익을 좇게 만들고, 결국 사기범들의 표적이 되기 쉬운 것이다.
투자자 A는 유튜브 방송을 보다가 연락처를 남기면 주식정보를 공유해주는 카톡방에 초대해주겠다는 내용을 접했다. A는 혹하는 마음에 연락처를 받았고, 모 투자그룹 부장이라는 B의 연락을 받게 된다.
B는 다른 회원의 수익률이라며 인증 사진을 A에게 보여주며 환심을 샀다. 그러면서 회비를 입금하면 앞으로 투자 정보를 공유하고 매수·매도 시기를 알려주겠다고 제안했다.
A가 회비를 입금하자 B는 극비 사항으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다며 OO코인을 추천했다. 다른 사람에게 알리면 안된다는 당부까지 하면서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프로젝트를 그럴듯하게 꾸며 A를 속인 것이다.
B는 ‘락업’을 내세워 A에게 가짜 정보를 전했다. 락업은 가상자산이 일정 기간 시장에 유통되지 못하도록 묶어 놓는 것을 의미한다. 주식시장에서의 보호예수와 유사한 개념이다.
B는 OO코인이 해외 가상자산거래소에서 3000원에 거래되고 있는데 6개월 락업을 설정하는 대신 1000원에 매수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속였다. 추후에 최소 400% 이상 수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현혹한 것이다.
A는 B를 믿고 B가 지정한 은행 계좌로 1000만 원을 입금해 OO코인을 1만 개 매수했다. 그리고 얼마 후 A는 일면식도 없던 C라는 사람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C는 OO코인의 대주주가 되고 싶다며 A가 1000원에 매수한 코인을 5000원에 매수하고 싶다고 연락했다. 그러면서 락업 기간에 들어간 비용 때문에 최소 3만 개 코인이 필요하다며 2000만 원으로 2만 개를 추가 매수해 본인에게 전략 매도해달라고 했다.
A는 큰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해 결국 2000만 원을 추가 매수했다. 이후 A는 C에게 연락을 취했으나 연락은 두절됐다. OO코인의 락업 해제일 이후 99% 이상 폭락해 투자금을 모두 잃었다.
금융감독원은 사기범들 사이에서는 ‘바람잡이’가 존재한다고 당부했다. 금감원은 “사기를 치기 위해 특정 개인 혼자 활동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거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면서 “흔히 리딩방에는 허위로 수익률을 인증하거나, 지시자 시그널에 따른 매수·매도 인증을 하거나, 수 억 원에 달하는 수익금을 정상적으로 출금했다고 인증하거나, 지시자와 특정 코인을 찬양하는 말을 거침없이 내뱉는 소위 바람잡이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본인이 돈 벌 기회까지 포기하며 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천사의 부름과 같은 말은 사실 악마의 속삭임과 다름없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니어 투자사기 주의보②] “몇 번의 수익에 속아…끝내 원금까지 날렸다”](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44935.jpg)
![[시니어 투자사기 주의보①] 인스타로 시작된 호감, 전 재산 잃었다…돼지도살 스캠](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4426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