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년 개띠’에 대해 논하기 위해 대표 개띠들이 모였다. 이 여섯 명은 모두 서라벌고등학교 동창들로 같은 시대, 같은 공기를 숨쉬며 살아온 사람들. 그러나 그들 각자가 가진 다른 사고와 다른 판단들은 58년 개띠의 다양하고도 넓은 범주를 다시금 확인하게 만들었다. 58년 개띠의 목소리로 듣는 58년 개띠들의 솔직한 정서와 말랑말랑한 상상.
글 김영순 기자 kys0701@etoday.co.kr 사진 이태인 기자 teinny@etoday.co.kr
#이창복 사장이 운영하는 분당 ‘대로 식당’에서 세상을 향해 짖는 58년들의 꿈을 이야기했다.
(행여 이들이 나눈 대화가 다소 위화감이나 잘난척이 될까 매우 조심스러워 했다)
겨울철 재밌었다 싶은 어릴적 기억은?
노 원장: 개천이 얼면 그 위에서 놀았던 것.
이 사장: 대나무 스키 만들었던 거. 삼청공원 쪽에서 타고서 쭉 내려오곤 했었지.
최 사장: 그때는 꼬맹이들도 패가 나뉘었어. 산동네 애들, 아랫동네 애들.
김 고문: 산동네라고 해서 산 높이에 있는 것도 아니고 골목길 접어드는 곳만 지나면 산동네로 쳤었어. 아이들다운 텃세였지.
58년 생이라서 좋았던 건?
이 대표: 고등학교 입시를 없애는 고교평준화를 시행한 것.
노 원장: 그런데 그때 우리가 전부 다 평준화는 아녔거든. 서울과 부산만 빼면 평준화가 아녔으니까…. 우리 세대는 위아래 세대에게 치여서 무난해진 거 같아. 그래서 응집력이 별로 없는 거 같아.
손 사장: 악착같이 추구하진 않았던 듯싶어.
최 사장: 우리 58년생이 많은 혜택을 받은 세대처럼 느껴져. 쉽게 학교를 갔고, 회사를 골라서 갈 수 있었고, 사회에 나오니 조직이 확장 중이어서 그 성과도 받을 수 있었지.
이 사장: 그런데 우리가 말하는 게 좀 조심스러운 게 있어. 58년생이 80만명인데 대학교에 입학한 사람이 5만 명이 안 됐어. 우리는 그 5만 명에 들었던 사람들이고, 지금 차도 있고 집도 있는 사람들이란 말야. 그래서 이렇게 얘기할 수도 있는 거지.
이 대표: 우리 외의 나머지 58년생들은 우리 경험보다 훨씬 스펙트럼이 넓을 거라고 생각해.
김 고문: 우리 때도 직장 구하는 게 쉬웠다곤 할 수 없지만, 일단 직장에 들어가면 빠르게 올라갈 수 있었던 것 같아. 요즘 세대들은 그에 비하면 불쌍하지.
인생후반전에 대해선 언제부터 고민했는지?
최 사장: 급작스런 친구의 죽음을 통해서 죽음을 맞이할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을 때.
손 사장: IMF가 이렇게 빨리 극복될 줄은 몰랐지만 그때 회사에 있었던 사람은 살벌했거든. 매출이 30%, 40%가 빠지니까.
김 고문: 나는 한 4년 됐다. 난 건설회사만 다녔는데 그때부터 건설회사들이 무너졌으니까. 미리 나가신 분들과 대화하면서 생각이 많아졌지. 대기업 건설사에만 있다가 막상 회사 밖으로 나오니 그런 태도로는 살 수가 없다는 것도 알게 됐고.
이 사장: 건설이나 토목 쪽은 스케일이 커서 씀씀이가 커. 그들은 목숨 걸고 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스트레스가 크니까. 나는 화학 쪽인데 조금 달라. 나는 우리가 뭔가 앞뒤로 낀 세대라서 아쉽다는 기분이 계속 들어.
이 대표: IMF 터지고 한 2년을 놀았어. 기술이 없는 인문계 출신이니 할 게 없더라고. 친구를 잘 만나서 프랜차이즈를 하게 됐고 운이 좋아서 인생의 터닝 포인트를 일찍 접하게 됐지.
행복한 노후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은?
최 사장: 돈이냐 건강이냐 그것이 문제지.
노 원장: 이거 건강으로 할지 마누라로 할지(웃음).
김 고문: 살 때까지는 건강하자.
이 사장: 건강만 있으면 안 되고. 여러 가지가 다 있어야지. 일, 취미, 여가, 돈….
이 대표: 그리고 더해서 배려심이 있어야지. 그게 없으면 독불장군이 되니까.
소중히 간직하고 있는 것은?
최 사장: 뭐니 뭐니 해도 결혼 반지.
이 사장: 주말 되면 지쳐서 뻗어 있는 내 모습만 보던 딸들에게 뭔가 선물하고 싶었어. 아들이라면 소주라도 한 잔 하면 되는데 딸이니 어렵더라구. 그런데 상공인의 날에 제가 금탑훈장을 탔어. 그걸 탄 다음부터는 딸이 나를 아빠처럼 보더라구.
노 원장: 어머니, 아버지 유품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어.
이 대표: 소중한 걸 준비해놓은 건 없지만 이제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 나중에 날 잊어버리지 않게끔.
최 사장: 아들 둘에 막둥이 딸에 대한 사랑 같아.
김 고문: 퇴직할 때 직원들이 만들어준 감사패.
자신은 어떤 아버지였는가?
노 원장: 우리 세대가 대화에 좀 익숙치가 않아. 혼자서 결정하고 치고 나가는 거엔 강하지만 자식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잘 몰라. 아이들이 다만 내가 열심히 살았다는 것만이라도 기억했으면 좋겠어.
이 사장: 오늘 다들 집에 들어가면 아이들을 껴안아. 그리고 뽀뽀라도 하라고(웃음). 애들이 감수성이 가장 예민했을 때가 우리는 가장 바쁠 때였으니…. 그게 안타깝긴 해.
최 사장: 난 아이들과 카톡을 해도 세 문자가 안 넘어. 알았어, 응, 고맙다(웃음).
손 사장: 난 카톡방을 만들어서 가족 네 명이 다 들어와 있어. 딸은 서울 살고 아들은 몬트리올에 사는데 그래도 대화가 가능해. 그런데 아들은 좀 귀찮아 해(웃음). 반대로 딸하고 아내는 굉장히 장문의 대화를 하더라고. 난 2, 3년 전부터 SNS를 하면서 가족끼리 친해지는 데 굉장히 좋았어.
인생에서 가장 잘한 결정은?
손 사장: 난 캐나다로 이민 간 것. 한국에 있었으면 굉장히 아등바등하며 살았을 거 같아.
최 사장: 나도 여수로 내려 간 게 좋았어. 여수에는 아무 연고도 없었는데 열심히 사니 날 받아주더라고.
노 원장: 난 둘째 낳기로 한 거. 하나만 있었으면 외로웠을 거 같아요. 그리고 7천 달러 정도 생겼을 때가 있었는데 그 돈으로 보름 동안 가족여행을 떠났었던 거. 아직도 얘기할 수 있는 소재가 생긴 거지.
이 사장: 첫째는 마누라이고 둘째는 직업인데 요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전문가로서 거듭날 수 있도록 직업 선택을 잘한 것.
이 대표: 난 회사를 나왔다는 것, 도전을 해봤다는 게 잘한 거 같아. 5년 정도 고생했지만 다행히 안착됐다는 것도 그렇고.
김 고문: 내가 좋아하는 게 뭔지 모르고 자란 거 같아. 시키는 대로 했던 아이였지. 아직도 내 꿈이 뭔지 궁금하거든(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