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에 살어리랏다]정부, 귀농인 어떻게 지원하나… 최대 2억4000만원 저리 융자

기사입력 2014-01-03 08:22 기사수정 2014-01-03 08:22

농림수산식품부는 귀농·귀촌 정책과 관련해 매년 예산 폭을 확대하고 있다.

서규용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2011년 취임 이후 줄곧 “귀농·귀촌 인구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인구 유입이 줄고 젊은 세대는 도시로 떠나버린 농촌의 활력을 되찾는 방법은 ‘사람’으로 부터 시작돼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다.

이 같은 서 장관의 결심에 올해 농식품부의 귀농·귀촌 예산은 지난해보다 33.2% 증가한 851억9000만원으로 110억원가량 늘어났다. 이중 도시민 농촌유치 사업에는 전년보다 55.5% 늘어난 41억원이 책정돼 정부가 얼마나 농촌 인구 늘리기에 공을 들이는지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귀농 준비의 절반은 ‘정부 지원 정책 알기’

자신이 평생 일해 모은 퇴직금이나 가족 생계를 위한 창업자금을 전부 귀농·귀촌에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대부분 귀농을 꿈꾸지만, 토지와 주택 구입비 등이 부담스러워 귀농을 포기하는 경우도 흔하다. 또 가진 땅이 한 평도 없어 귀농은 꿈도 꾸지 못한다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이런 사례들은 모두 정부 정책에 대한 사전 학습이나 기초적인 귀농 상담조차 해보지 않은 사람들에게서나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다.

정부는 농촌 인구를 늘리기 위해 대대적으로 귀농·귀촌에 대한 지원을 늘려가고 있다.

올해 늘어난 예산을 살펴보면 농어업 자금 이차 보전사업에 700억원, 귀농·귀촌 교육에 21억원,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80억원, 귀농·귀촌 활성화에 45억원 등이 책정됐다.

이러한 예산으로 귀농·귀촌을 결심하고 일정 교육을 받은 사람에게는 1인당 농어업 기반 마련 2억원, 거주 주택 마련 4000만원 등 최대 2억4000만원을 연 3% 이자에 5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 조건에 융자해 준다.

지난해 13억원 수준이던 예산을 크게 늘려 올해는 21억원을 투입한 귀농·귀촌 교육 지원도 강화해 귀농·귀촌자들의 교육비 50~80%를 국가가 지원해 준다.

또 귀농·귀촌자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 영농기술 등을 교육하는 시스템도 마련했고, 농촌에 임시로 거주하며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집도 임대해 준다.

먼저 농업창업지원센터를 설립해 농촌에 머물며 생산, 유통, 교육장 실습 등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귀농인의 집을 마련해 6개월가량 머물며 영농 기술을 배워 창업과 주거 마련 기간을 확보해 주기도 한다.

귀농·귀촌 전문가들은 “귀농·귀촌에 앞서 각 지자체 별로 귀농·귀촌인에 대한 지원 정책을 확보하고, 농촌진흥청 등이 운영하는 귀농·귀촌 상담센터 등을 이용해 본인이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 사항이 있는지를 먼저 파악해 보는 것도 자금이나 기간 등의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라고 조언했다.

◇ 귀농자 3만명 시대…“공무원들도 귀농·귀촌 열풍”

귀농·귀촌자에 대한 정부 지원이 탄탄해지자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하는 사람들도 매년 증가세에 있다.

농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에만 귀농·귀촌 인구가 8706가구(1만7745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하반기에도 이 같은 추세가 계속돼 한해 동안 3만여명이 귀농·귀촌한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상반기 시·도별 귀농·귀촌 인구를 살펴보면 서울과 수도권이 가까운 충북이 2085가구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전북(1380), 전남(1355), 경북(1317) 순으로 상위 4개 도가 전체 귀농·귀촌 인구 유입량의 70.4%를 차지했다.

또 연령별로는 50대가 32%, 40대가 24.4%를 차지해 은퇴를 앞둔 40~50대 베이비붐 세대의 귀농·귀촌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실제 농업기술 습득을 통해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는 60세 미만의 귀농은 75% 수준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을 구분할 경우에는 귀농 가구가 53.7%(4678), 귀촌 가구가 46.3%(4028)이며 전남 이주 가구의 80.6%가 농업에 종사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귀촌 가구는 충북이 76.5%로 가장 높았다.

귀농 후 농업 주 종사분야는 경종분야가 35.5%, 과수 9%, 시설원예 6.3%, 축산 2.7%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인구는 2005년까지 1000~2000가구를 밑돌았지만 지난해에는 1만5000가구로 늘어 10배 가량 증가했다.

이 같은 귀농·귀촌 열풍은 공무원들 사이에서도 불고 있다.

지난해 농식품부가 개설한 ‘귀농·귀촌 가이드 교육과정’은 수강 인원의 88%를 초과한 197명이 몰려들었다.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은 베이비붐 세대인 공무원들 사이에 특히 많아 50대 이상이 76%를 차지해 실제 은퇴 후 귀농·귀촌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참가했던 한 중앙부처 공무원은 “선배 귀촌 공무원으로부터 귀농·귀촌 노하우를 직접 전수받는 맞춤형 강의를 통해 은퇴 후 귀농·귀촌 생활을 설계해 보는데 큰 도움이 됐다”며 “은퇴 후 귀농·귀촌을 적극적으로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인기에 농식품부도 올해 귀농·귀촌 교육 과정을 3회에서 5회로 늘리고 교육 일수도 4일에서 5일로 확대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경영인력과 김종구 과장은 “최근 귀농·귀촌 인구 증가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다양한 삶의 가치 추구 등 그 요인이 다양하다”며 “농식품부 정책 브랜드 과제로 귀농·귀촌을 적극 추진한 것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또 “농어촌 지역으로의 이주가 주로 하반기에 이뤄지는 경향을 고려했을 때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수를 추정해 보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70대 귀촌인의 결론, “농업은 ‘어머니’를 닮았다”
    70대 귀촌인의 결론, “농업은 ‘어머니’를 닮았다”
  • “귀촌 후 내가 변했죠, 도시에선 잘난 맛에 살았는데…”
    “귀촌 후 내가 변했죠, 도시에선 잘난 맛에 살았는데…”
  • 현장 경험 나누는 인생나눔교실 특화분야 멘토링 프로그램
    현장 경험 나누는 인생나눔교실 특화분야 멘토링 프로그램
  • 어긋난 귀농의 밑바닥… 다시 올라서는 방법에 대하여
    어긋난 귀농의 밑바닥… 다시 올라서는 방법에 대하여
  • 귀촌으로 행복 찾은 ‘영남 하이디’… “이게 바로 내가 원했던 삶”
    귀촌으로 행복 찾은 ‘영남 하이디’… “이게 바로 내가 원했던 삶”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