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6일 일본에서는 재미있는 행사가 하나 열렸다. ‘제1회 로즈마리산 연구회’가 그것. 오카야마대학교, 오사카대학교 등 일본의 여러 대학 학자들이 모인 이 행사의 목적은 단 하나, 로즈마린산의 효과를 알리자는 것이었다. 이들이 로즈마린산에 집중하는 이유는 이 물질의 치매 예방효과 때문이다. 그만큼 치매는 일본의 사회적 문제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단카이 세대가 75세 이상의 후기 고령자가 되는 2025년에는 ‘치매 사회’에 돌입하게 되며, 이때 치매 환자는 최대 730만 명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로즈마린산이 과학적으로 알려진 것은 1958년. 이탈리아 과학자가 이 성분을 허브 식물인 로즈마리에서 발견해 로즈마린산(酸)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로즈마린산은 발견 이후에 건강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기능들이 밝혀지면서 많은 연구자의 주목을 받았다.
로즈마린산은 폴리페놀의 일종. 폴리페놀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페놀 화합물로 노화 방지나 혈관 건강에 도움을 주는 대표적 항산화물질로 손꼽힌다. 로즈마린산 역시 대표적인 항산화물질 중 하나로, 로즈마리뿐만 아니라 스피어민트, 레몬 밤, 페퍼민트, 타임, 바질 등과 같은 허브 식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로즈마린산의 효과는 다양하다. 뇌의 신경전달물질 생성에 영향을 줘 우울감이나 불안을 완화해주고, 알레르기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또 항균작용도 있어 식품의 부패를 방지할 때 활용되기도 한다. 인슐린 감수성에 변화를 줘 당뇨 환자에게도 도움이 된다. 과거 유럽인들이 페스트 전염을 막거나 액운을 쫓기 위해 로즈마리를 부적이나 울타리 재료로 사용한 것이 괜한 수고는 아니었던 것이다.
치매 치료제와 유사한 효능
실제로 국내에 발표된 다양한 학술자료를 봐도 급성전골수성백혈병부터 중금속에 고사한 청각세포를 살리는 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시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상지대 연구팀은 로즈마린산이 대장염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 중 일본에서 로즈마린산이 주목받는 이유는 바로 치매 예방효과 때문이다. 여러 종류의 치매 중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 꼽히는 알츠하이머병과 루이소체 치매는 뇌의 아세틸콜린을 생성하는 세포의 저하로 인해 발생한다. 때문에 현대의학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 에스테라제의 작용을 억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1933년 최초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등록된 타크린부터 1996년에 허가를 받은 아리셉트 역시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제의 한 종류다. 문제는 이러한 치료제들의 심각한 부작용에 있다. 최초 치료제 타크린은 간에 대한 부작용 때문에 거의 쓰이지 않고 있고, 다른 약제 역시 크고 작은 문제를 안고 있다.
한국에서 흔한 깻잎에 ‘가득’
부작용 부담이 적은 자연 성분인 로즈마린산 역시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음이 밝혀지면서 일본 학자들의 주목을 끌었다. 실제로 일본인들이 애용하는 온라인 쇼핑몰인 라쿠텐이나 아마존에서 로즈마린산을 검색하면 다양한 건강식품을 발견할 수 있다. 일본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차조기(소엽)에도 로즈마린산 성분이 많은 것이 발견되면서 차조기 관련 식품도 많고, 항산화 작용에 초점을 맞춘 로즈마린산 성분의 화장품도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어 있다.
국내에선 최근 여성 연예인과 다이어트 클리닉을 중심으로 새로운 다이어트 방법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레몬밤 속 로즈마린산 성분의 지방분해 기능이 주목의 이유였다. 하지만 건강에 좋다며 향도 익숙하지 않은 외래 품종의 허브를 무작정 먹기엔 무리가 있다. 로즈마린산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우리에게 익숙한 식물이 있다. 바로 들깻잎이다.
농업진흥청이 발표한 결과를 보면, 들깨의 마른 잎에는 1g당 76mg의 로즈마린산이 들어 있다. 이는 로즈마리(11mg/g)보다 약 7배나 많은 수치다. 농업진흥청은 이러한 들깻잎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들샘’ 같은 품종을 개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