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 가면 피를 뽑아 건강을 체크한다. 나는 헌혈을 하면서 공짜로 건강 체크를 한다. 건강하지 못한 사람은 헌혈을 할 수 없다. 보균자나 건강에 이상이 있는 사람의 헌혈을 가려내기 위해 1차적으로 문진을 한다. 그다음엔 전혈비중측정과 혈압 체크를 한다. 운 좋게(?) 이 과정을 통과해 헌혈을 했다고 해도 혈액검사소에서 심층적인 혈액검사망을 또다시 통과해야 다른 사람에게 수혈이 된다. 혈액 검사결과는 헌혈자에게 보내주고 전산화되어 10년 전 기록도 언제든 볼 수 있다. 오늘(2019년 1월 28일)까지 79회 헌혈을 했다. 검사지를 받아보니 총 11가지 항목의 검사결과가 나와 있다. B형간염바이러스와 매독항체 검사도 있고 총단백, AST, 알부민, 콜레스테롤, 요소질소 검사결과 등 건강지표가 골고루 나와 있다. 헌혈할 때마다 이런 과정을 거치니 자연스럽게 건강 체크가 된다.
헌혈은 피를 뽑아 남에게 주는 행위다. 남의 혈액을 받는 사람은 사고나 수술로 인해 피를 공급받지 못하면 죽을 수도 있는 다급한 상황에 있는 사람들이다. 아무리 과학이 발전해도 피는 인공적으로 만들 수 없다. 동물의 피를 대신 수혈할 수도 없다. 오직 사람이 사람을 위해 할 수 있는 사람 사랑이 헌혈이다.
헌혈자는 깨끗하고 건강한 피를 헌혈해야 한다. 나는 헌혈 예정 1주일 전부터는 술을 멀리하고 가벼운 운동으로(심한 운동은 오히려 나쁘다) 최상의 몸 상태를 만들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이렇게 관리를 해도 언제나 마음대로 헌혈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혈액 속에 헤모글로빈이 부족해 전혈비중 체크에서 아깝게 탈락한 적도 많았다. 피를 만드는 원료인 철분 섭취가 부족했거나 무리한 운동 등이 원인이었다고 생각한다.
한번은 직장 부하직원과 함께 헌혈을 하러 갔는데, 전혈비중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 철분이 부족하다 하니 순대나 사 먹자 하고 직원과 재래시장으로 가서 순대와 소 간 등을 주문해 배부르게 먹었다. 그런데 함께 갔던 직원이 사무실에 와서 “우리 과장님은 아직 철이 덜 들었어요!” 하고 떠들어대 모두를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자초지종을 알게 된 직원들은 한바탕 웃었다.
헌혈을 계속 해오던 사람은 69세까지 헌혈이 가능하다. 모든 행위는 해야 하는 목적과 달성할 목표가 있어야 계속 실천이 기능하다. 나의 첫 목표는 헌혈 30회를 달성해서 대한적십자사 총재로부터 은장을 받는 것이었다. 그러다 또 욕심이 생겨 50회를 목표로 해서 금장까지 받았다. 이제 100회까지 실천해 명예의 전당에 오르려고 한다. 아직 21회나 남았다. 까마득한 목표를 과연 이룰 수 있을까 하는 불안감도 있지만 한 발 두 발 뚜벅뚜벅 앞으로 나갈 뿐이다. 건강은 건강할 때 지켜야 하고 건강을 알기 위해 나는 헌혈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