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조상들은 노후에 어떻게 살았을까? 관직생활을 한 사람들은 시골로 내려가서 가진 것에 만족해하며 안분지족(安分知足)하는 삶을 사는 경향이 강했다고 한다. 시골 전원에서 산과 호수를 바라보면서 유유자적 즐겼다. 현역 시절 고위 정치가였지만 은퇴해서는 자연 속에서 작은 것에 행복해하면서 매우 소박하게 지냈으니 생활비는 많이 들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 중 도시에서 사는 비율, 즉 도시화율은 91%에 달한다. 세계에서 도시화율이 매우 놓은 나라로 분류될 수 있다. 더 심각한 것은 국토의 11.4%에 불과한 수도권(서울, 인천,
지난달 11일 오후 서울시청 앞 스케이트장. 머리가 희끗희끗한 분이 김연아와 같은 피케이케이팅 자세를 취한다. 양팔을 벌리며 뒤로 스케이팅을 하더니 반동을 이용해 스핀동작을 한다. 김연아 처럼 부드러운 선은 나오지 않았지만 남성특유의 속도감과 힘을 느낄 수 있었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었다. 머리색깔이 달라진 것 말고는 젊은이들과 똑 같았다. 자기관리만 잘하면 청년들과 같은 열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분의 몸은 여느 젊은이 못지 않은 강인한, 남성만의 근육선을 가지고 있음에 틀림없다.
◇ 쥐띠총운 금전운 : 하, 애정운 : 중, 건강운 : 중 좋은 친구와 좋은 만남은 어려운 일을 해결하는 길이 된다. 84년생 : 상사를 존경하는 마음을 가지면 오후에 좋은 일이 있으리라. 72년생 : 친구와의 구설이 일을 더 힘들게 하니 친구와의 갈등을 풀어라. 60년생 : 엉뚱한 생각으로 일을 망치는 수가 보이니 하든 일에 열성을 다하라. 48년생 : 생각지도 않든 일이 생겨 어렵게 만드나 친구가 해결해 준다. ◇ 소띠총운 금전운 : 중, 애정운 : 중, 건강운 : 상 기분이
베이비부머 5명 중 4명은 은퇴 후 이주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가 발표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주거특성 분석 및 시사점’자료에 따르면 1955년∼1963년 출생자 6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82.9%의 응답자가 은퇴 후에 삶의 터전을 옮기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락한 노후생활을 위해서 이주하겠다는 비율이 49.8%로 가장 높았고 경제적 부담 때문에 집을 옮기겠다는 비율도 20%를 기록했다. 주택 유형으로는 전원주택이 42.9%로 가장 많았으며 아파트
글ㆍ사진| 블로거 느꽃지기 “별난 할머니와 별난 쌍둥이” 제목 한번 잘 지었다 싶다. 평범하지 않고 톡톡 튀는 생각으로 다방면에 의욕 넘치는 별난 할머니와 기상천외한 행동으로 모두를 깜짝깜짝 놀라게 했던 별난 장난꾸러기 쌍둥이가 엮어가는 일상은 얼마나 유별날까? 표지만 보아도 뭔가 둘이 의기투합하여 한바탕 일을 벌일 것 같은 귀여운 쌍둥이들의 깔깔거리는 웃음소리가 들려오는 것만 같다. 그 별난 쌍둥이를 유일하게 다스릴 수 있는 사람은 무서운 호랑이 외할아버지도 아니고, 일주일에 한 번씩 보는 아빠 엄마도 아니고, 가끔 놀러
최근 동갑내기 친구들과 모처럼 만나 소주잔을 기울이며 서로 안부를 물으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친구들을 돌려보내고 난 뒤 한 친구가 오랜만에 만난 즐거움과 그동안 쌓인 스트레스가 풀려는지 한껏 흥이 올라 있었다. 청진동 피맛골을 출발해 종로3가에 이를 무렵 양측 도로변으로 즐비하게 들어선 포장마차에서 풍기는 구수한 멸치국물 맛이 우리의 발걸음을 멈추게 했다. 한잔만 더하자는 친구의 성화에 못이겨 냄비우동을 안주삼아 회포를 나누다 자정이 지나서야 집에 돌아왔지만 어떻게 집을 찾았는지 기억나지 않았다. 늦게까지 마신 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