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대열의 역사의 그 순간] 한국사 최대의 위기는? - 신라의 대당전쟁

기사입력 2015-11-19 07:32 기사수정 2015-11-19 07:32

이번 호부터 우리의 역사로 돌아가자. 한국사에서 ‘최대의 위기’를 꼽는다면 어떤 사건일까? 한 국가의 역사에서 ‘최대의 위기’란 일반적으로 국가멸망을 말하겠지만 보다 높은 차원인 민족말살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우리의 역사에는 고대로부터 고구려의 수-당 전쟁, 몽고의 고려침공과 지배, 임진왜란, 한일 강제합방, 6·25전쟁 등등... 많다.

결론부터 말하면 필자는 신라의 당에 대한 항쟁을 꼽는다. 1950년대에 중학생이었던 70대 중반 이상은 이 시대의 이야기로 국어교과서에서 유치진(柳致眞) 극본 ‘원술랑’을 읽었을 것이다.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국가가 멸망하거나 외세에 종속되는 경우는 있었지만 한민족 자체는 말살되지 않았다. 국가를 멸망케 한 일본의 강제합방이 100~200년 지속되었다면 민족말살로 이어졌을지 모른다. 그러나 123년 간(1795~1918) 국가가 없었던 폴란드도 “국가는 사라졌지만 민족은 영원하다”고 말했다. 일단 민족적 정체성이 형성되면 완전 동화나 민족말살은 쉬운 일이 아니라는 말이다.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앞바다에 있는 신라 문무왕의 수중릉.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앞바다에 있는 신라 문무왕의 수중릉.

‘한민족’이라는 개념은 신라의 삼국통일을 계기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그 이전에는 만주와 한반도에 산재했던 국가들을 ‘지리적’ 인접성을 기준으로 중국 정사(正史)에서 ‘조선’이라는 항목에 기록하고 있다. 이들 간에는 언어, 풍습에서 유사성이 있었던 것 같다. 중국 남조 양(梁, 502~557)의 역사서인 ‘양서(梁書)’에는 신라인과 중국인 간의 대화에 대해 ‘(중국과 교류가 잦은) 백제인을 기다려 통했다.’고 하니 백제와 신라 간에는 말이 통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언어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동일 민족이라는 관념은 당시 존재하지 않는다. 통일신라 이후 같은 민족, 한민족이라는 관념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신라의 대당항쟁 시기는 일반적으로 668년 고구려 멸망 이후 676년까지 8년으로 잡는다. 그러나 당의 병탄 야욕과 신라의 저항은 660년 백제 멸망 직후 시작되니 16년간이라 해야 할 것이다. 신라는 당시 세계 최대 강국이며 중국사를 통틀어 최고의 전성기를 맞은 당을 상대로 때로는 전쟁으로 강력하게 맞서며, 때로는 외교술로 굽히면서 갈등을 능수능란하게 요리하여 오늘날 남북한 휴전선과 유사한 선에서 ‘한민족’을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당시의 기록들을 읽어보면 우리가 성당(盛唐)시기 중국에 대항할 수 있을 정도로 지적으로나 군사전략 면에서 성숙했다는 인상을 받는다.

당연히 신라의 대당항쟁은 손쉽게 얻어진 것은 아니었다. 당은 백제 멸망 후 곧 바로 백제인들과 신라를 반목시키는 이이제이(以夷制夷) 수법으로 신라를 견제했다. 백제 멸망 2개월 후 웅진도독부를 설치하고 곧 이어 당에 포로로 끌려간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扶餘隆)을 귀국시켜 웅진도독으로 임명, 신라와 동등한 자격으로 맹약을 맺게 하는 등 갈등을 부추긴다.

신라는 668년 고구려 멸망 후에도 당이 대동강 이남을 신라에게 넘겨준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고 삼국을 모두 차지하려는 야심을 드러내자 드디어 행동에 나서게 된다. 당이 서쪽에서 토번(吐蕃)과의 전쟁에서 패한 기회를 이용하여 670년 3월 압록강을 넘어 당군에 선제공격한 것이다.

그러나 신라군이 당군을 직접 공격한 것은 아니었다. 신라에 귀순한 고구려 유민 부대가 당에 소속된 말갈군을 공격한 것이다. 말갈은 과거 고구려에 부속된 민족이니 고구려의 응징은 당연한 것이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당군이 직접 나서자 곧 물러나서 ‘지켰다.’ 당군과의 직접 대결은 회피한 것이다. 정치적 수단으로 군사적 갈등을 이용할 때는 낮은 단계부터 갈등을 고조시킨다(escalate). 갈등을 하나의 연속선상에 놓고 볼 때 중간단계가 많을수록 대화와 타협의 기회가 많기 때문이다. 당을 상대로 한 교전도 대규모 전투보다는 분쟁을 ‘국지화’시켜 실리를 취하면서 이를 기정사실화하는 전략을 택한다. 동시에 여전히 우호적인 관계를 원하고 있으며 백제라는 ‘악당’이 당과 신라를 이간질한다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당에 전달한다. 반면 고구려 왕족 고안승을 고구려왕으로 책봉, 고구려 유민을 포섭한다. 주적을 단일화시키면서 부차적인 적[副敵]과 연합하는 전형적인 통일전선 전략인 것이다. 이같이 다양한 신라의 전략에 대해 당은 분노한다. 그러나 고구려 옛 영역인 요동이나 돌궐과의 서북 변경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신라 문제는 적절한 선에서 타협해야 했다. 정치적으로는 서신을 통해 신라의 ‘배반’을 책망하고 문무왕을 ‘파면’한 뒤 동생 김인문(金仁問)을 신라왕으로 봉한다. 조공관계에서 왕의 파면은 최고의 징벌이라 할 수 있다.

▲매소성전투(675)는 통일신라가 당나라세력을 한반도에서 몰아내는 계기가 되었다.
(전쟁기념관 제공)
▲매소성전투(675)는 통일신라가 당나라세력을 한반도에서 몰아내는 계기가 되었다. (전쟁기념관 제공)

군사적으로는 672년 중반 석문(石門, 황해도 서흥 혹은 경기도 화성군)에서 신라군을 격파하여 신라 전체를 공황상태에 빠트린다. 이후 전투에서 양측은 일진일퇴하며 항쟁 후반기에는 신라가 소규모 전투에서 ‘18차례’ 승리하지만 약자의 승리는 인적·물적 자원을 고갈시킬 뿐이었다. 당 역시 서북 지역과 만주에서 군사령부 격인 ‘안동도호부’를 매년 이동할 정도로 정세가 불안하자 신라의 ‘사죄사절’을 맞아 문무왕을 ‘용서’하는 선에서 분쟁을 매듭짓는다.

신라는 최대 목표는 아닐지라도 ‘고구려 남쪽 국경’인 임진강 유역을 포함한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당의 위협을 방어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했다. 당으로서도 이 선에서 신라의 북진이 저지된다면, 당에 대한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간주했을 것이다. 어느 일방의 완전한 승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타협의 산물인 것이다. 60년이 지나 문무왕의 손자인 성덕왕 35년(736)에 이르러 당이 ‘패강(浿江, 대동강) 이남’을 신라에 넘겨준다. 신라의 북진은 또 다른 변수인 발해의 등장에 기인한 것이다.

신라의 대당항쟁은 삼국통일 이후 ‘한민족’의 정체성을 구체화되려는 여정의 출발점에서 부딪친 시련이었던 것이다.



>> 구대열 (具?列) 이화여대 명예교수

서울대 영문과 졸. 한국일보사 기자. 런던정경대 석·박사(외교사 전공).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이화여대 정외과 교수, 통일학연구원장 등 역임.

저서 <삼국통일의 정치학> <한국 국제관계사 연구> 등.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카드뉴스] 품위 있는 노후를 위한 7계명
  •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정년 후 불안하면 강점부터 찾아야” 日 N잡러의 조언
  • “영웅들 기억하겠습니다”…‘독립운동가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영웅들 기억하겠습니다”…‘독립운동가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효과적 연금 활용 위해 꼭 기억해야 할 숫자들
    효과적 연금 활용 위해 꼭 기억해야 할 숫자들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