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한 여정을 예술로 밟아온 여성들

기사입력 2017-12-18 10:20 기사수정 2017-12-18 10:20

[송유재의 미술품 수집 이야기]

조병화(趙炳華, 1921~2003) 시인은 축시(祝詩)를 통해 여성 조각가 석주(石洲) 윤영자(尹英子, 1924~2016)를 이렇게 예찬했다.


당신 머리엔 조물주로부터 위탁받은

창조물로 가득하고

당신 손과 몸엔

그걸 뽑아내는 기술로 충만해 있습니다


그렇게 당신은 평생을

세월 모르는 불멸의 생명으로

예술을 살아오며, 쉴 새 없이

조물주의 위탁을 만들어냈습니다


― 조병화, ‘2001년 회고전에’ 중에서


1947~1949년 윤경렬(尹京烈, 1916~1999) 조각가와 윤효중(尹孝重, 1917~1967) 조각가를 사사하고, 1949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가 창설되던 해에 입학해 우리나라 여성 조각인 1호가 된 분이다. “출발점에서 영향을 끼친 ‘윤경렬’은 차분한 인간성을, ‘윤효중’은 힘찬 의욕과 조각가로서의 정열을 불어넣어주었다”고 평론가는 말한다.

1925년 김복진(金復鎭, 1901~1940)이 동경미술학교 조각과를 졸업하고 이 땅에 돌아와 최초로 근대적 양식의 조각을 시도한 태동기부터 오직 조각예술에 헌신해온 일생이었다. 1953~1954년 국전에서 특선, 1955년 문교부장관상을 수상하면서 조각가로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했다. 서울의 여러 대학에서 제자들을 양성하고,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으며, 1973~1989년에는 대전의 목원대학교에서 교수, 학장으로 봉직했다. 브론즈와 대리석이 주조를 이루는 그의 조각 속에는 언제나 모성의 따뜻한 혈류가 흐르는 듯하고, 부드러운 곡선미는 보는 이에게 안온함을 준다. ‘기다림’, ‘情’, ‘愛’, ‘律’, ‘靜’이라는 작품 타이틀이 말하듯 여인의 일상을 차가운 돌이나 쇠붙이 속에서 잔잔히 끄집어내어 형상화했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동상(銅像) 등 여성의 몸으로 힘겨웠을 대형 조형물도 곳곳에 남아 조각예술의 위용을 보여주고 있다. 1989년에 제정된 ‘석주 미술상’은 금년 23회까지 꾸준히 후배 여성 예술인들을 격려하고 있다.

▲윤영자 ‘愛’ 대리석(오닉스) 22cm x 18cm x 39cm 1984년(이재준 미술품 수집가)
▲윤영자 ‘愛’ 대리석(오닉스) 22cm x 18cm x 39cm 1984년(이재준 미술품 수집가)

‘愛’라는 제목이 붙은[사진1] 여인의 앉은 모습은 조형미가 빼어날 뿐 아니라, ‘오닉스’라 불리는 강도 높은 노란 대리석을 깎아 우아함을 더하고 있다. 속기(俗氣)라고는 찾을 수 없는 정갈한 여인의 자태도 눈길을 사로잡는다. 대리석 작품 ‘가족’, ‘情’을 소장하고 있던 차에 인사동 화랑에서 마주한 이 작품도 기꺼이 소장하게 되었다. 거실 한편 가구 위에 놓고 그녀 어깨의 리듬까지 완상(玩賞)하고 있다. 그는 2010년의 전시도록 서문 ‘예술, 꺼지지 않는 영혼의 불꽃’에서 “제 인생과 작품이 300년이 지난 지금도 잘 보존돼서, 아름다운 선율과 청아한 음을 내고 있는 바이올린 ‘스트라디바리우스’ 같았으면 합니다”라고 말했다. 지난한 예술의 역정을 한평생 밟아온 그에게 다함없는 존경의 염(念)을 올릴 뿐이다.

예수의 탄생에서 부활까지의 이야기는 많은 예술가의 주제가 되었다. 특히 기독교인이나 천주교인들이라면 그 성스러움이 한층 더할 것이다. 고대 성당이나 교회 건물에는 예수, 제자들의 형상이 벽화, 조각상, 벽의 부조, 광창(光窓)을 영롱하게 장엄한 스테인드글라스에 잘 표현되어 있다. 예수의 탄생과 골고다 언덕으로 십자가를 짊어지고 오르는 고난의 순간, 죽음과 부활, 평화의 나팔 등을 작은 브론즈 촛대 네 면 가득 ‘돋을새김’으로 채운 이 촛대 한 쌍은[사진2] 예사롭지 않은 작품임에 틀림없다. 10여 년 전 유명한 건축가 김원(金洹, 1943~) 선생의 대학로 사무실에서, 이 조각가 이춘만(李春滿, 1941~)의 작품들을 보고 한참을 어안이 벙벙한 채 서 있던 기억이 새롭다. ‘광야의 예수’, ‘부처를 닮은 예수’, ‘십자가 예수’ 등 브론즈 작품들의 범상치 않은 형상이 나를 압도했기 때문이다. 질박한 물성을 살린 그의 조형들은 금속을 헤집고 고뇌와 우수에 가득 찬, 그러나 경건한 눈빛으로 보고 있는 나를 부끄럽게 했다. 서울대 조소과와 이화여대 대학원에서 조각을 전공한 이 여성 조각가는 “붓다상이 가지는 실루엣은 지극히 부드럽고 절제되어 금욕과 무소부재(無所不在)함을 드러내고 있다. 부드러운 곡선과 달리, 그리스도 십자가는 단순한 십자 형태로 평화를 상징하는 기하학적 형상이다. 나는 붓다와 그리스도가 드러내는 서로 이질적인 상징성을 작업에 함께 대입시켰다. 정지되어 있으나 끝없는 환상을 불러일으키는 두 이질적인 상징성을 인체 안에 뚫어진, 혹은 인체를 감싸고 있는 ‘공간’과 만나도록 시도했다”고 작가일기에 썼다. 작품의 형태와 선의 단순성은 인체의 소멸성과 영원성, 망각과 기억,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사이에 긴장을 더욱 격렬하게 일으킨다고 평자는 말하고 있다.

천주교 박해의 현장, 한강변 절두산(切頭山)에서 이 작가가 조각 설치한 ‘절두산 순교 기념비’ 앞에 서면, 먹먹한 가슴 안으로 오열이 흐른다.

작품을 수집하고자 하였으나 여의치 않아 김원 선생 사무실만 수시로 드나들곤 했다. 이 브론즈의 촛대 한 쌍은 잘 알고 지내는 미술품 수집가의 집에서 만나게 되었다. 인연으로 여기고 있다. 다행스럽게 그분은 작가의 이력을 잘 모르고 있기에 프랑스 촛대와 쉽게 교환되었다.

외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들네 가족이 휴가차 오는 날 커다란 박달나무 탁자 위, 이 촛대에 황촉(黃燭)을 밝히고, 그림자에 묻혀 흔들리는 ‘천사의 평화의 나팔’을 바라보며, 고난을 이긴 환희의 순간을 느껴볼 것이다.

▲이춘만 ‘촛대 한 쌍’ 브론즈 11.5cm x 11.5cm x 13cm 1985년(이재준 미술품 수집가)
▲이춘만 ‘촛대 한 쌍’ 브론즈 11.5cm x 11.5cm x 13cm 1985년(이재준 미술품 수집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비엔나전·‘명성황후’ 30주년 기념 공연… 1월 문화소식
    비엔나전·‘명성황후’ 30주년 기념 공연… 1월 문화소식
  • 유한양행 설립자는 어떻게 스파이가 되었나? ‘스윙데이즈: 암호명A’
    유한양행 설립자는 어떻게 스파이가 되었나? ‘스윙데이즈: 암호명A’
  • 화려하고 따뜻한 연말 보내기…12월 문화소식
    화려하고 따뜻한 연말 보내기…12월 문화소식
  • 월클플레이, 벤처기업 인증 획득 기념 축하콘서트 개최
    월클플레이, 벤처기업 인증 획득 기념 축하콘서트 개최
  • 국립정동극장 예술단, K컬처 첫 번째 이야기 ‘소춘대유희’
    국립정동극장 예술단, K컬처 첫 번째 이야기 ‘소춘대유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