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김환기(1913~1974)와 화가 도상봉(1902~1977)은 유난히 달 항아리를 좋아했다. 김환기는 여러 점의 달 항아리를 수집하기도 했을 뿐 아니라, 여기저기 그림의 소재로 삼았고, 종이 오브제로 직접 달 항아리를 만들기도 하였다.
도상봉도 도자기를 좋아해서 아호를 도천(陶泉)으로 삼았다고 한다. 1950년대 많은 정물화에 도자기가 등장한다. 특히 직접 구입한 달 항아리를 그린 그림도 여러 점 전해진다. 시인 김상옥(1920~2004)은 조선백자를 평생 사랑하여 한때 인사동에서 고미술점 ‘아자방(亞字房)’을 직접 운영하며 수많은 조선백자를 수집하였고, 달 항아리도 여러 점 소장하여 백자를 주제로 한 주옥같은 시조를 남겼다.
‘조선백자 대호(大壺)’가 정식 이름인 달 항아리는 두둥실 하늘에 뜬 보름달과 같다 해서 붙여진 별칭이다. 고미술학자나 현대 도예가들의 공통된 견해는 높이 40cm 이상이고 둘레가 120cm 이상의 구형(球形) 순백자에, 제조기법상 아래 위 반구형 두 개 결합해서 소성(燒成)하고 맑은 백자유를 시유해 1250도~1300도에서 구워낸 도자기를 대호라 이른다.
물레를 돌려 빚는다 해도 완성품보다 1.3배 정도 더 커야 하는 고로(번조 과정에서 약 30% 정도는 축소됨) 무게와 부피가 한 아름이 넘는다. 초벌구이 과정에서도 자체 무게 때문에 주저앉거나 파열되기 일쑤다. 이를 그대로 전승하고자 하는 도예가들도 열에 한두 점 완성품을 건지기 고작이다. 또한 전래품들은 술을 담거나 간장을 담는 등 생활용기로 사용했으므로 파손이 심해 남아 있는 수효가 극소수로 그 희소가치가 높다.
리움미술관 호림미술관 국립박물관 등과 지방의 전시회를 쫓아다니기 30여 해, 안복(眼福)은 누렸으나, 수집의 기회는 오지 않았다. 그래서 백자를 꾸준히 연구하고 만들어 내는 현대 도예가들에게 주목하게 되었다.
여성도예가 김익영(1935~ )은 서울대 공대에서 화공학, 홍익대에서 공예미술을 전공한 뒤, 미국 뉴욕의 알프레드 요업대학원을 졸업하고 귀국하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원, 국민대학교에서 후학들을 길러냈다. 유학 중 영국 공예가 버나드 리치(1887~1979)의 초청 강연에서 ‘한국의 조선백자가 현대인이 추구해야 하는 미의 세계’라는 열강을 듣고 감복, 백자를 연구하기로 결심하였다고 한다. 순백자의 담백하고 고졸(古拙)한 멋에 젖어 여러 형태의 백자를 빚고 구워보았으나, 1960년대에는 도자 가마가 적어 백자를 시연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그럼에도 1965년 일본 전시를 비롯해 지금까지 30여 회 가까운 전시회에 참여하였다. 도자의 실용성을 강조해서 생활용기의 격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1975년부터 국민대 교수로 많은 제자를 길러내면서 태토(胎土)의 선별부터 가마의 과학적 제조, 특히 백자유약 데이터의 체계적 정리와 실행에 이르기까지 백자의 고급화를 이끌었다. 1978년 개인 가마 ‘우일요’를 개설하고 그만의 개성 강한 도자기를 만들어 냈다. 특히 ‘면 깎기’라는 고난도 작업으로 합(盒), 푼주, 제기(祭器)등 전통 조선백자에 근원을 두되 이를 재해석하고 변용한 도자를 빚었다.
몇 년째 창덕궁 담 옆의 ‘우일요’를 드나들며 여러 기물을 보고 만지고 연적, 필통, 벼루 등을 사 모으던 중이었다. 달 항아리를 왜 안 만드시느냐고 여쭙자, “전에 몇 점 만들어 보았는데, 이제 무릎이 안 좋아 힘에 부치고 완성품을 얻기가 어려워 망설인다”는 노도예가의 진솔한 대답이었다. 조카따님을 졸라 2008년 여름에야 김익영의 달 항아리를 만날 수 있었다. 설백(雪白)의 유현(幽玄)한 유약의 흐름과 당당한 자태에 반해 덥석 끌어안고 말았다. 이 달 항아리 앞에선 그 어떤 말도 필요치 않다. 나주 반닫이 위에 앉히고 바흐의 무반주 첼로조곡을 서너 시간 들으며 몰아의 경지에 젖었다.
한국의 도예가들을 찾고, 숱한 시행착오를 거치며 백자 도예의 길을 정진하였다. 그 첫 결실로 2006년 드디어 인사동에서 백자전을 열었다. 그 이듬해에는 경북 청도로 옮겨 현재까지 백자를 굽고 20여 회 전시에 참여하고 있다. 극도로 절제되고 유약이 너그러운 인사동 전시작품이 눈에 어려, 그의 가마를 찾고 싶어 알아본 끝에 어렵사리 연락이 닿았다. 2008년 봄날에 그의 초대로 청도의 공방을 처음 방문하였다. 그의 작품처럼 검소하고 정갈한 작업실을 거쳐 내실로 들어서면서 그의 달 항아리를 만났다.
수십 점을 소성해 보았으나 겨우 두 점만 얻었다며 망설이는 부부를 설득하여 한 점을 입수하기로 하였다. 열차로 운송하기가 어렵다며 며칠 후 서울의 집까지 손수 가져다주었다. 다른 일본 예술인 두 명과 함께 자리한 우리 거실에서 조촐한 다과와 함께 소리꾼 장사익의 절창 ‘허허바다’를 음반으로 듣던 순간이 선연히 떠오른다. 지금은 침실에 두고 밤을 함께하고 있다. 그의 백자유약은 난백(卵白)으로 부드럽기 그지없다. 흰빛이 너무 차가워 색을 바꿔 보았다고 하지만, 고국에 대한 향수가 녹아든 것이리라.
오늘날에도 많은 도예가들이 조선백자를 전승하거나, 모티브로 삼아 달 항아리를 만들고 있다. 그 무슨 마력이 그 힘들고 경제성 없는 고단한 길을 가게 하는 것일까? 노자(老子)는 도덕경(道德經)에서 ‘진흙을 반죽해서 그릇을 만들지만, 그릇은 그 속이 비어 있음으로 해서 그릇으로의 쓰임이 있다’고 하였다.
김익영도 “용(用)이라는 공예의 사회성이 중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쓰임으로 보면 달 항아리는 경제성이 취약하다. 적지 않은 돈(이,삼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을 주고 사다가 간장 된장을 담고, 술을 담아 사용하겠는가. 귀하게 모셔놓고 완상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 텅 빈 공간에 애틋한 마음을 가득 채우고 허리를 두 팔로 안아보면, 어느새 휘영청 밝은 달은 심신을 정화해 주거늘, 어찌 세속의 시선이 두려우리요.
>> 이재준(李載俊)
1950년 경기 화성 출생. 아호 송유재(松由齋). 미술품 수집가,
클래식 음반리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