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隱退)란 사전적 의미로 ‘직임에서 물러나거나 사회활동에서 손을 떼고 한가히 지냄’이라는 말이다. 맞는 말이다. 그리고 또 아름다운 말이다. 평생을 몸 바쳐 일한 사람에 대한 사회적 존경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고생하고 애썼으니 이제 편히 쉬어도 되지 않겠느냐는 일종의 사회적 배려가 담긴 말이다. 그래서 이전에는 은퇴한 분들을 보면 우러러 보이기까지 했던 게 사실이다. 그런데 ‘한가히 지냄’이란 말이 거슬린다. 과연 ‘은퇴 후 한가히 지낼 만한가?’라고 다시 묻게 된다.
직장마다 좀 다르긴 하지만 민간기업은 정년과 관계없이 명예퇴직을 요구한다. 정년을 못 넘기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설령 정년을 넘긴다 해도 한가히 쉴 만큼 여유가 없다. ‘55세 퇴직 61세 회갑’은 평균수명이 70세 정도일 때 적합한 말이 아닌가 싶다. 요즘처럼 100세 시대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퇴직 때까지 벌어놓은 돈으로 좀 아껴 써가며 70세까지 사는 데 큰 무리가 없었을 때는 은퇴라는 용어가 어울렸다. 그런데 백세시대에는 퇴직 후 50여 년을 더 살아야 한다. 그러니 이 기간을 생각하면 한가히 지낼 수가 없다.
언론에서는 세 차례 퇴직 쓰나미를 이야기한다. 제1차는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 전체 인구 중 14.3%)다. 710만 명의 퇴직이 시작된 지 몇 년 되었다. 제2차 베이비붐 세대(1968~74년생, 전체 인구 중 12.1%) 604만 명의 퇴직도 곧바로 이어진다. 그리고 마지막 제3차 베이비붐 세대인 에코 세대(1979~85년생, 전체 인구의 10.8%) 540만 명이 그다음으로 퇴직한다. 에코 세대는 제1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이다. 우리가 맞이할 이 시기에 1955년생부터 1985년생까지 약 30년에 걸쳐 엄청난 퇴직 인구가 쏟아져 나온다(중앙일보 2015.1.15.일자 기사).
퇴직 쓰나미라는 말이 실감난다. 정년도 못 채우고 명퇴하는 사람들도 부지기수다. 정년을 채우고 은퇴를 해도 문제다. 명퇴자나 은퇴자나 다를 게 없다. 모두가 제2인생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일자리는 이미 첨단 산업에 밀려 빼앗긴 지 오래다. 컴퓨터 한 대가 수십 명의 몫을 해낸다. 우리가 개발해놓은 첨단 산업에 쫓겨나는 형국이다. 19세기 영국의 수공업자들이 자신들의 일자리를 빼앗은 섬유기계를 파괴하는 폭동을 일으킨 사건인 러다이트(Luddite) 운동이다. 이해할 만하다.
그렇다고 비관만 할 일은 아니다. 없어지는 산업만큼 새로운 일자리도 창출된다.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 여기에는 정책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은퇴자들의 마음가짐도 중요하다. 자신을 낮추고 보람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 퇴직 후 한가히 쉴 수 없다고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하게 되면 즐겁지 않다. 작은 일이라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일이 중요하다. 경제적으로 아직 한가하게 쉴 입장이 아니라도 일의 노예가 되어서는 곤란하다. 생각하기에 따라 행복의 깊이도 달라진다. 지혜를 발휘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