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씨(季氏)편에 나오는 고사다. 공자에게는 백어(伯魚)란 아들이 하나 있었다. 그런데 자식인 백어에게 공자가 내린 가르침은 오직 두 가지, 즉 어느 날은 ‘시(詩)’를, 다른 날에는 ‘예(禮)’를 배우라고 한마디 한 것이 전부라는 내용이다. 그런데 이와 아마 동일한 고사인 듯한데 양화(陽貨)편을 보면 공자께서 백어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한 기록이 나온다. “너는 시경(詩經)의 ‘주남(周南)’편과 ‘소남(召南)’편을 공부하였느냐? 사람이 ‘주남’과 ‘소남’을 공부하지 않으면 아마 담벼락을 마주보고
우리의 조상들은 술을 마실 때, 몇 잔을 마셨는지 꽃가지를 꺾어 세어 가며 마셨던 것 같다. 예컨대 조선 초기 문인인 정극인의 ‘상춘곡(賞春曲)’에 “갓 괴어 익은 술을 갈건(葛巾)으로 걸러 놓고, 꽃나무 가지 꺾어 수놓고 먹으리라. 화풍(和風)이 건듯 불어 녹수(綠水)를 건너오니, 청향(淸香)은 잔에 지고, 낙홍(落紅)은 옷에 진다”는 표현이 나온다. 술에 관한 한 조선시대 송강(松江) 정철(鄭澈)을 빼 놓을 수 없다. 그는 ‘장진주사(將進酒辭)’에서 “한 잔(盞) 먹새그려, 또 한 잔(盞) 먹새그려. 꽃 꺾어 산(算) 놓고,
우리는 자신을 가장 잘 알아주는 친구를 일컬어 ‘지음(知音)’이라 부른다. 중국 춘추시대 금(琴)의 명인인 백아(伯牙)가 자신의 음악을 가장 잘 알아주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죽고 나자 ‘파금절현(破琴絶絃)’, 즉 자신의 음악을 더는 이해해줄 마음의 친구가 사라져 버렸으므로 금을 부수고 줄을 끊어버린 뒤 다시는 금을 잡지 않았다는 고사이다. 이 고사에서 비롯된 지음이라는 단어는, 곧 자신을 어쩌면 자신보다 더 잘 이해해 주는 세상의 하나뿐인 친구를 의미하는 말로 사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삼국지의 영웅 조조의 아들 조비(曹丕)는
아는 만큼 보인다는 옛 말이 틀림이 없다. 우리나라 가사문학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을 우연히 최근 다시 읽어 보니, 과거에는 보이지 않던 많은 것들이 다시 보이는 것이 아닌가? 예컨대, 의 첫머리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江湖애 병이 깁퍼, 竹林의 누엇더니,’ ‘강호에 병이 깊다’,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당서(唐書) 에 나오는 ‘천석고황(泉石膏肓)’이란 성어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이다. 당 고종 때의 은사 전유암(田游巖)은 기산(箕山)의 허유(許由)가 기거하
유교의 영향을 받아 온 중국에서는 사대부가 사랑하는 여인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는 것을 금기시하였다는 것을 지난호에서 도연명의 ‘한정부’를 예로 설명 드렸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예외가 있었으니, 바로 사랑하는 아내가 세상을 떠난 경우, 그 슬픔을 표현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아내 를 잃은 애절함을 노래하는 시를 ‘도망시(悼亡詩)’라 부른다. 중국 최 초의 ‘도망시’는 중국 역사상 가장 빼어난 미남으로 꼽히는 서진(西晉)시대 대문장가인 반악(潘岳)이다. 그는 미남에다가 좋은 가문 출신에, 당대 최고의 문장까지 갖춰서,
중국의 고전 중에는 남녀 간의 애틋한 사랑을 노래한 시가 많지 않다. 남녀 간의 사랑을 드러내어 노래하는 것은 소위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하여 멀리한 유교의 전통이 강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다음에 소개할 대시인 도연명(陶淵明)의 아름답기 짝이 없는 사랑의 노래, ‘한정부(閒情賦)’는 매우 특이하다. 도연명은 살아생전에는 무명에 가까운 문인으로, 빈한한 삶을 산 불우한 사람이다. 그의 사후 도연명을 발굴해낸 인물이 바로 남조(南朝) 양(梁)나라의 소명태자(昭明太子) 소통(蕭統)이었다. 그가 직접 쓴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란 인물들이 있다. 문자 그대로 당(唐)나라와 송(宋)나라 때 가장 글을 잘 쓰는 8명을 일컫는 말인데, 그들 중 한 명인 당의 유종원(柳宗元)이란 인물을 소개하고자 한다. 과거 필자는 유종원의 글을 공부하다가 란 글을 읽으며 벌린 입을 다물지 못한 일이 있다. 이 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사전지식이 필요하다. 중국의 한문은 문자 그대로 한(漢)나라 때의 문장을 나타낸다. 당시 자유로웠던 문장형식은 이후 위진(魏晉) 이래 점점 형식을 중시하는 병려체(騈儷體) 문장으로 빠져들게
겨울은 눈의 계절이다. 온 천하를 하얗게 덮는 눈, 이 눈을 노래한 글에 어떠한 작품이 있을까? 유구한 중국의 문장들 중 눈을 노래한 최고의 문장은 단연 남북조시대 사혜련(謝惠連)이 지은 이다. ‘(흰 눈이 천지를 덮으니) 뜰에는 옥 섬돌이 늘어서고, 숲에는 옥 나무가 솟아나, 백학(白鶴)이 그 깨끗함을 빼앗기고, 백한(白鷳: 흰 꿩)이 그 색을 잃어버린다(庭列瑤階 林挺瓊樹 皓鶴奪鮮 白鷳失素)’란 표현이 압권으로 꼽힌다. 그 다음, 눈을 노래한 한시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당송팔대가 중의 한 명으로 손꼽히는
한 해의 마지막을 제야(除夜) 제석(除夕) 또는 제일(除日)이라고 한다. 흔히 제야라 하면 한 해의 마지막이 없어지니 ‘없앨 제(除)’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이때의 제(除)는 ‘바뀐다[易]’는 의미이다. 강희자전에 의하면 “이때 사용되는 ‘제(除)’는 바뀐다는 의미로, 새해와 묵은해가 서로 바뀌므로 세제(歲除)라 표현하며, 흔히 제석으로도 쓴다[易也 新舊歲之交謂之歲除 俗云除夕]”고 풀이하고 있다. 이러한 한 해의 마지막 날에는 예로부터 밤을 지새우는 풍습, 즉 수야(守夜)가 있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묻는 문제가 약 400년
독자 여러분은 ‘가을의 소리[秋聲]’를 들어본 적이 있으신지? 이번 호에는 중국문학사상 가을을 노래한 작품으로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송(宋)나라 구양수(歐陽脩·1007~1072)의 ‘추성부(秋聲賦)’를 살펴보자. 구양수가 53세 되던 송 인종(仁宗) 가우(嘉佑) 4년(AD 1059)에 지은 작품이다. 먼저 그가 표현하는 약 1000년 전 ‘가을의 소리’는 다음과 같다. “내가 밤에 책을 읽고 있는데, 서남쪽에서 무슨 소리가 들렸다. 섬 놀라 ‘이상하구나’ 하면서 귀 기울여 들어본즉 처음에는 바람이 나무를 스치는 듯[淅瀝
중국의 3대 누각을 들라면 황학루(黃鶴樓) 악양루(岳陽樓), 그리고 등왕각(縢王閣)을 든다. 이 중 황학루와 악양루를 노래한 시는 중국 역사상 많이 전해지지만, 특이하게도 등왕각을 노래한 시는 초당(初唐)시대 천재시인 왕발(王勃)의 ‘등왕각서(縢王閣序)’밖에는 거의 없다. 그 이유는 이 문장이 너무나 뛰어나, 후대의 그 누구도 감히 시를 지을 엄두를 내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등왕각은 강서성(江西省) 남창(南昌)에 있는 누각으로, 당고종(唐高宗) 영휘(永徽) 4년(653)에 고조(高祖) 이연(李淵)의 아들이었던 이원영(李元嬰)이
9월의 초가을 햇살이 따갑게 느껴지는 계절이다. 중국의 문장 가운데, 가을 햇살을 노래한 글로서는 소동파의 가 가장 유명하다. 이 는 소동파가 그의 친구였던 조영치(趙令?)가 안정군왕(安定郡王)에 봉해졌을 때, 가난한 농민들의 삶과 애환을 잊지 말라는 뜻으로 지어 준 글이다. 글 내용을 발췌해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조(越)나라에 현공자(賢公子)라는 왕손(王孫)이 있었는데…. 동파거사(東坡居士)에게 말하길, “내 마음은 가을볕(秋陽)처럼 밝게 빛나고 내 기운은 가을볕처럼 엄숙하고 맑습니다…. 대저
중국에서 사용되는 사자성어 중 우리와 뜻을 달리하는 것들이 꽤 많다. 정확히는 우리나라로 들어와 뜻이 변질된 것들이다. 가장 오래된 것으로 ‘과유불급(過猶不及)’이란 단어가 있다. 원전은 논어(論語) 선진편(先進篇)으로,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이 어느 날 공자께 물었다. “사(師:자장(子張))와 상(商:자하(子夏)) 중 어느 쪽이 어집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사는 지나치고 상은 미치지 못한다.” “그럼 사가 낫단 말씀입니까?”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여기서 유래된 말이 바로 과유불급인데, 어
여름이면 시원한 대나무 그늘이 생각난다. 대나무는 그 성질이 굳고 곧아서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좋아했다. 그런데, 이 대나무를 가리켜 ‘차군(此君)’, 즉 ‘이 군자(君子)’라고 해서 우리나라의 경우, 뒤에 대나무 숲이 있는 정자에 차군정(此君亭) 또는 차군헌(此君軒)등 당호(堂號)를 붙여놓고 있다. 그러면 ‘차군(此君)’이란 용어는 어디서 유래한 것일까? 중국 동진(東晉) 시대, 서성(書聖)으로 일컬어지는 왕희지(王羲之)란 인물이 등장한다. 왕희지에게는 7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그중 이름이 알려진 사람은 모두 5명으로, 현
여름이면 시원한 대나무 그늘이 생각난다. 대나무는 그 성질이 굳고 곧아서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좋아했다. 그런데, 이 대나무를 가리켜 ‘차군(此君)’, 즉 ‘이 군자(君子)’라고 해서 우리나라의 경우, 뒤에 대나무 숲이 있는 정자에 차군정(此君亭) 또는 차군헌(此君軒)등 당호(堂號)를 붙여놓고 있다. 그러면 ‘차군(此君)’이란 용어는 어디서 유래한 것일까? 중국 동진(東晉) 시대, 서성(書聖)으로 일컬어지는 왕희지(王羲之)란 인물이 등장한다. 왕희지에게는 7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그중 이름이 알려진 사람은 모두 5명으로,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