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L 칼럼] 책 버리기는 ‘삶의 숨 고르기’

기사입력 2016-09-26 13:56 기사수정 2016-09-26 13:56

▲조선시대 선비의 인테리어 책가도(冊架圖). 독서를 적극 권장했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조선시대 선비의 인테리어 책가도(冊架圖). 독서를 적극 권장했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1930년대에 명문장가로 이름 높던 이태준(李泰俊·1904~?)의 산문 중에 ‘책과 冊’이 있습니다. “冊만은 ‘책’보다 ‘冊’으로 쓰고 싶다”로 시작되는 글입니다. 책보다 冊이 더 아름답고 冊답다는 것입니다. 그는 이 글에서 읽고 보고 어루만지는 사물이며 존재인 冊은 인공으로 된 모든 문화물 가운데 꽃이요 천사요 제왕이라고 말했습니다.

고대에는 대나무를 잘라 다듬어 글씨를 썼습니다. 불로 쪼여 수분을 빼고 푸른색을 없앤 대나무에 글씨를 쓴 다음 끈으로 꿰어 차례를 맞춘 것이 冊입니다. 하나씩 알맞게 묶음을 만드는 작업을 編(편), 그 묶음의 구분을 篇(편), 이를 말아서[捲] 보관하는 것을 卷(권)이라 했습니다. 책보다 冊이 좋다는 말은 책을 만드는 과정의 정성과, 책의 소중함을 잊지 않으려는 마음가짐일 것입니다.

“사람이 책을 만들고 책이 사람을 만든다”는 말은 인간과 책의 관계. 책의 효용성과 가치를 일깨워주는 명언입니다.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고도 하지만, ‘이’가 ‘은’보다 말의 취지를 더 잘 반영하는 것 같습니다.

“책 속에 길이 있다”거나 “책을 펼치면 이롭다”[開卷有益] “남자는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男兒須讀五車書] 등 독서를 권장하고 책을 소중히 여기라는 금언 격언은 수없이 많습니다. 독서를 통한 보상과 출세에 관한 말도 참 많습니다.

그렇게 소중한 책에 대해 중국인들은 ‘세 가지 바보’[三痴]라는 말을 만들어냈습니다. “책을 빌려달라는 것도 바보, 빌려주는 것도 바보, 빌린 책을 되돌려주는 것도 바보”라는 거지요. 고대 중국에서는 책을 빌리거나 되돌려줄 때 ‘쌍치’라는 가죽자루에 술을 담아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빌릴 때 한 번, 돌려줄 때 한 번, 그래서 ‘쌍’입니다. ‘세 바보’라는 말을 생각하면 책을 돌려받은 사람이 오히려 고맙다고 술을 주어야 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유대인들의 격언에는 “돈은 빌려주지 않아도 되지만 책은 빌려준다”는 말이 있습니다. 책을 빌려주면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몰라서 하는 말은 아닐 것입니다. 개인간의 문제보다는 지식의 공유, 사회 전체 공공의 이익을 더 중시해서 그런 거겠지요.

그러나 이렇게 소중한 책을 언제까지나 소유 보유할 수 없는 게 고민입니다. 개인이든 기관이든 더 이상 책을 둘 공간이 없는데 ‘이 책 다 어찌하나’ 하는 것이지요. 토머스 제퍼슨은 “책 없이는 살 수 없다”고 했습니다. “방에 책이 없는 것은 몸에 영혼이 없는 것”이라고 했던 키케로는 “가진 걸 다 버려야 살 수 있다면 차라리 책더미 속에서 죽겠다”는 말까지 했습니다. 하지만 그런 제퍼슨이나 키케로인들 책을 전혀 버리지 않고 살 수 있었겠습니까?

버린다는 말은 아예 재활용되지 않게 쓰레기로 만든다는 뜻도 있지만 남에게 주는 것도 버리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목적을 위해 기꺼이 돈이나 물건을 내놓는다는 희사(喜捨)라는 말에 버린다는 ‘捨’가 들어 있습니다. 捨는 舍라는 글자와 통용되고 서로 넘나드는데, 舍는 집이라는 뜻이 가장 먼저이므로 무엇을 버리는 것은 집에서 내보낸다는 의미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사람은 일생을 사는 동안에 많은 책을 읽게 됩니다. 삶의 단계마다 읽어야 할 책이 있고, 해야 할 공부가 있습니다. 그 말은 단계별로 정리하고 익힌 다음 버려야 할 책이 있고, 졸업해야 할 공부가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초등학교 교과서나 그때 읽은 동화 만화는 추억의 자료이긴 하지만 책으로서의 역할은 끝났습니다. 버려야 합니다. 그런 걸 용케 잘 보존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아닙니다. 학교교육이나 학령에 관계된 책은 그렇다 치고 다른 책들은 어떻게 해야 되나? 10대 시절에 만난 책이지만 지금 읽어도 새롭고 그때의 그 책이 새로운 말을 들려주는데, 손때가 묻은 소중한 재산인데, 갈수록 새 책은 늘어나고 헌 책은 둘 곳이 없고... 그래서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고민이 커지게 됩니다.

평생 책을 읽으며 책 속에서 살아온 교수들은 정년 무렵이 되면 책 때문에 큰 고민을 하게 됩니다. 아무나 가져가라고 연구실 밖에 내놓아도 글자가 작고 세로짜기로 된 책은 인기가 없습니다. 낡은 책을 탐내는 학생들은 없습니다. 자식에게 물려주면 환영받지 못합니다. 공공기관에 기증하려고 전화를 하면 귀찮아하거나 차로 실어다 달라고 해 그것도 어렵습니다. 마지못해 받아준 곳도 나중에 가보니 책을 어떻게 처분했는지, 근으로 달아 폐지로 팔았는지 알 수 없더라는 사람도 있습니다.

<토지>의 작가 박경리의 유고시집 제목은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입니다. 그러나 버리는 일은 그리 홀가분하고 즐거운 일이 아닙니다. 사람마다 나름대로 원칙을 세워 정리하는 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내용을 간략하게 디지털 공간에 저장하고 책을 버린다는 사람도 있고, 표지만 사진으로 찍어 보관한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안 하느니만 못하지 않겠지만 앞서 말한 이태준 식 사고로는 책이라는 사물을 그렇게 보존하면 안 될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은 책을 버리는 걸 ‘다시 채우기 위한 버리기’라고 말합니다. 낡은 책을 버리고 새 책을 들이기 위해 공간을 마련하는 작업이라는 거지요. 하지만 그것은 젊은 독서인들의 이야기이지 이제는 쌓고 더하기보다 덜어내고 헐어내야 하는 시니어들의 책 정리와는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아래와 같은 네 가지 기준으로 책을 정리한다고 합니다. 공감이 가는 내용입니다. 1)내용이 좋은가 2)시대를 뛰어넘는가 3)다시 읽을 것인가 4)표지만 보고 있어도 좋은가, 이런 것입니다. 이 중 시대를 뛰어넘느냐의 문제는 그때도 옳았고 지금도 옳은 내용인가, 앞으로는 어떨까를 따져본다는 뜻입니다.

그는 이 네 가지를 세상살이와 결부시키고 있습니다. 나는 남에게 1)좋은 사람인가 2)시기와 상황에 따라 가치가 달라질 사람인가 아닌가 3)다시 만나고 싶은 사람인가 4)직접 대화하지 않고 카톡이나 전화번호부의 이름만 봐도 기분이 좋아지는 사람인가를 생각하며 산다는 것이지요. 나는 바로 책처럼 다른 사람들에게 선택 대상이라는 점을 책 버리는 일을 계기로 생각하게 됐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제일 골치 아픈 게 역시 책입니다. 진정한 장서가들과 비교하면 턱도 없이 적지만, 그래도 이사할 때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책의 분량과 무게입니다. 그래서 앞에 인용한 사람처럼 책마다 네 가지 기준을 들이대며 한창 일부러 꼬나보고 있는 중입니다.

책을 버리는 사람도 책을 빌려주거나 돌려주는 사람처럼 바보일까요? 버릴 책을 고르는 일은 삶과 숨을 가다듬는 ‘생각 고르기’와 마찬가지라고 믿고 싶습니다. 책 속에도 길이 있지만 책 밖에도 길이 많다는 생각을 하면서 ‘나의 해묵은 손때’를 떠나보내려 합니다.


>> 임철순(任喆淳) 이투데이 이사 겸 주필

고려대 독문과,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졸. 한국일보 편집국장 주필, 이사대우 논설고문 역임. 현재 자유칼럼그룹 공동대표, 한국언론문화포럼 회장, 시니어희망공동체 이사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카드뉴스] 골다공증 ‘이렇게’ 예방하세요
  •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괴테 소설 원작 뮤지컬 ‘베르테르’, 페어 포스터 공개
  • 종신보험의 새로운 활용법, 보험금청구권신탁이란?
    종신보험의 새로운 활용법, 보험금청구권신탁이란?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2회 지역소멸 대응 포럼' 개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2회 지역소멸 대응 포럼' 개최
  • [카드뉴스] 손발 저림, 뇌졸중 전조다? O, X
    [카드뉴스] 손발 저림, 뇌졸중 전조다? O, X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