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L 칼럼] “가을 깊은데 이웃은 무얼 하는 사람일까”

기사입력 2016-10-26 11:29 기사수정 2016-10-26 11:29

▲에도시대 화가 가츠시카 호쿠사이(葛飾北, 1760~1849)가 그린 마쓰오 바쇼의 모습.
▲에도시대 화가 가츠시카 호쿠사이(葛飾北, 1760~1849)가 그린 마쓰오 바쇼의 모습.

마쓰오 바쇼(松尾芭蕉, 1644~1694)는 ‘하이쿠(俳句)의 시성’으로 유명한 일본의 시인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짧은 시, 17자(5·7·5)로 세상과 인간을 노래하는 하이쿠를 바쇼는 언어유희에서 예술 차원으로 끌어올려 완성했습니다.

그는 삶의 자세에 대해 “자신의 길에서 죽는 것은 사는 것이고, 타인의 길에서 사는 것은 죽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시를 쓰는 일에 대해서는 “하이쿠라는 시는 사계절의 변화를 벗으로 삼는 것이다. 보이는 것 모두 꽃 아닌 것이 없으며 생각하는 것 모두 달 아닌 것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소나무에 대해 배우려면 소나무에게 가고, 대나무에 대해 배우려면 대나무에게 가라는 말도 했습니다.

그가 사는 방법은 ‘한곳에 머물지 않는다’[一所不在]는 방랑이었고, 그리 길지 않았던 삶은 스스로 선택한 개별자 단독자의 고독으로 점철돼 있었습니다. 그가 극단적으로 보여주었듯 인간은 모두 단독자이면서 개별자입니다. 신 앞에서 단독자이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는 유일하고 독립적인 개별자입니다. 개별자는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독립체로, 보편자와는 정반대인 개념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혼자 태어나 죽음 이후를 모르는 채 혼자 죽어갑니다. 그렇기에 인간은 외로움과 두려움을 덜기 위해 남들과 어울리고 공동체를 만들고 부부의 인연을 맺어 함께 살아가는 게 아닐까요? 그 부부로부터 집안이 만들어지고 가족과 자녀가 형성돼 인간세상이 인멸되지 않고 전승돼온 게 아니겠습니까?

남들과의 관계 속에서 일정한 틀과 얼개를 지키며 함께 살아가는 것이 인간의 평균적이고 대체적인 모습입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단독자 개별자의 삶을 추구하고, 어떤 사람들은 남들과 맺어온 관계를 스스로 또는 어쩔 수 없이 단절한 채 혼자만의 삶을 이어가고, 어떤 사람들은 상하고 묵은 관계의 지층 위에 새로운 관계를 쌓으면서 살아갑니다.

우리말의 ‘홀’과 ‘홑’은 비슷해 보이면서도 아주 다른 말입니다. 홀의 반대는 짝이고, 홑의 반대는 겹입니다. 홀은 홀가분하다, 홀로서기처럼 여유롭고 당당한 뜻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홀아비 홀어미, 홀알(무정란), 홀앗이(모든 살림살이를 혼자서 맡아 처리하는 처지)처럼 외롭고 쓸쓸한 개념이 먼저입니다. 홀아비 홀어미는 홑힘(남의 도움이 없는 자기 혼자의 힘)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홀아비 홀어미의 반대말은 핫아비 핫어미랍니다. 핫바지 핫저고리처럼 솜을 두어 만든 것이라는 뜻과 함께 배우자를 갖추고 있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결혼에 실패하거나 사별해서 홀아비 홀어미가 된 채 살아가는 사람들, 이른바 싱글이나 돌싱족이 점차 늘어나고 1인가구가 이미 500만 가구를 넘었습니다. 혼자 잘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관심, 혼자 사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혼자 사는 자유로움과 홀가분함을 누리는 사람들보다는 고통과 고독 속에서 외롭게 살아야 하는 사람들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혼자 사는 데는 남녀간의 차이가 큽니다. “홀아비는 이가 서 말이고 홀어미는 은이 서 말이다”라는 우리 속담이 이를 잘 말해주고 있습니다. 늙어서 아내 잃은 남편은 어찌 살아가야 할지를 모릅니다. 친구도 없고 새로운 사람을 잘 사귀지도 못합니다. 이와 달리 여자들은 남편이 없어도, 아니 남편이 없으면 더욱더 편하게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늙어서 아내가 없는 홀아비, 늙어서 남편이 없는 과부, 부모가 없는 고아, 늙어서 자식이 없는 사람, 이른바 환과고독(鰥寡孤獨)에 대해서는 일찍이 맹자가 말한 대로 나라와 정치지도자가 특별히 관심과 배려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래서 ‘안으로는 원망하는 여자가 없고 밖으로는 짝 없는 남자가 없는’ 이른바 내무원녀 외무광부(內無怨女 外無曠夫)의 세상을 만드는 것이 제왕과 통치자의 할 일이었습니다. 요즘 말로 하면 인보복지 증대, 사회안전망 구축의 정치이겠지요.

하지만 이 모든 것을 나라가 할 수는 없습니다. 스스로 혼자 사는 삶을 잘 꾸려가도록 각 개인이 노력하고, 지역이나 사회공동체가 서로 돌봐야 합니다. 그 대상은 앞에서 이야기한 환과고독이 제일 먼저일 것입니다.

사람은 왜 함께 살아야 하는 것일까? 성경의 예전 번역을 그대로 옮기면 창세기 2장 18절은 “여호와 하나님이 가라사대 사람의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 하시니라”라고 돼 있습니다. 그래서 아담의 짝을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독처(獨處)는 독거와 같은 말입니다. 그런데 왜 독처하면 좋지 않은 것일까? 짝 없이 혼자 사는 게 생리적 신체적 생활적으로 힘들기 때문이겠지요. 무슨 일이든 합심협력을 할 사람이 있어 함께 삶을 꾸려가는 것과, 북한 말로 혼자씨름(자기 혼자 마음속으로 이리저리 따지고 재어 보는 일)을 하는 것의 차이는 매우 큽니다.

형영상조(形影相弔) 형영상련(形影相憐), 이런 말이 있습니다. 몸과 그림자가 서로 불쌍히 여긴다는 뜻입니다. 척영(隻影)도 짝이 없는 오직 혼자인 사람을 일컫습니다. 의지할 데 없어 혼자 매우 외로운 사람은 그림자도 외로울 수밖에 없습니다.

헨릭 입센은 희곡 <민중의 적>에서 “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인간이란 고독 속에서 홀로 선 인간이다”라고 말했지만. 이런 그럴듯한 문학적 수사와 철학적 사유와 달리 현실은 냉엄하고 각박합니다. “외로움이란/내가 그대에게/그대가 나에게/서로 등을 기대고 울고 있는 것이다.” 시인 이형기(1933~2005)의 ‘그대’라는 시의 마지막 대목입니다.

마쓰오 바쇼로 이야기를 시작했으니 마쓰오 바쇼로 글을 맺겠습니다. 병으로 쓰러진 그가 마지막으로 일어나 앉아서 쓴 하이쿠는 최고의 명편으로 꼽히는 작품입니다. “가을 깊은데 이웃은 무얼 하는 사람일까.”[秋深き隣は何をする人ぞ] 이걸 일본 발음으로 읽어봅니다. 아키후카키 토나리와 나니오스루 히토조. 쓸쓸한 가을의 정서가 입을 거쳐 몸 안으로 들어오는 듯합니다.

가을은 겨울로 가는 계절입니다. 가을이 깊어지는 것은 침잠과 저장 동면의 시기를 준비하라는 뜻입니다. 온기가 그립고 이웃의 관심과 정이 절실해지는 계절이지요. 바쇼는 생이 이우는 마지막 가을에 이렇게 이웃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면서 시인으로서의 자신을 완성하고 떠났습니다.

이웃이라는 말은 어떻게 해서 만들어진 것일까? 아무도 그렇게 주장한 바 없지만 이웃의 ‘이’에는 이승이라는 말처럼 지금 여기, 이곳이라는 뜻이 있는 것이라고 우겨보고 싶습니다. 그러면 그 반대인 저웃도 있나? 그런 말은 있지 않습니다. 이웃이라는 글자 ‘隣(린)’은 가엾게 여긴다는 ‘憐(련)’과 사촌간입니다. 혼자 사는 삶과 이웃을 생각하게 하는 계절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길이 많다는 생각을 하면서 ‘나의 해묵은 손때’를 떠나보내려 합니다.


>> 임철순(任喆淳) 이투데이 이사 겸 주필

고려대 독문과,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졸. 한국일보 편집국장 주필, 이사대우 논설고문 역임. 현재 자유칼럼그룹 공동대표, 한국언론문화포럼 회장, 시니어희망공동체 이사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꼰대는 이제 그만, 시대에 맞는 ‘요즘 어른’되기 위한 도덕은?
  •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연금계좌 인출 순서를 활용한 연금소득 절세 전략
  •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보건복지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실시
  • [카드뉴스] 벽 앞에서 좌절하는 어른을 위한 책
    [카드뉴스] 벽 앞에서 좌절하는 어른을 위한 책
  • “차량에 운전수 없으면 불안” 자율주행 미래 키워드는 ‘사용자’
    “차량에 운전수 없으면 불안” 자율주행 미래 키워드는 ‘사용자’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