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L 칼럼] “스승이 못 되면 친구도 될 수 없다”

기사입력 2016-07-28 07:39 기사수정 2016-07-28 07:39

올해 7월 초에,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60)와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85)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의 우정이 화제가 됐습니다. 게이츠가 블로그에 올린 글 ‘배움과 웃음의 25년’을 통해 아버지뻘인 버핏과의 인연을 소개하자 많은 사람들이 억만장자들의 사귐과 도타운 우정에 감동했습니다.

버핏을 처음 만난 1991년 7월 5일을 생생하게 기억하는 게이츠는 그가 자신과 아내 멜린다의 삶을 모든 면에서 좋게 바꿔놓았으며 더 많이 배우고 더 많이 웃을 수 있게 도와줬다고 말했습니다. ‘아버지 같은 존재’ 버핏처럼 사려 깊고 친절한 친구를 둔 것은 행운이라는 말도 했습니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워런이라면 어떻게 할까?” 자문해보면 최선의 해답이 나온다고 합니다. 25세의 나이 차는 두 사람에게 아무 문제도 되지 않습니다.

독일 바이마르시의 바이마르 극장 앞에는 괴테(1749~1832)와 실러(1759~1805)의 동상이 다정하게 서 있습니다. 괴테가 열 살 많고 성장배경과 문학관도 판이했지만 둘은 격의 없이 지냈고,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끊임없이 자극을 주면서 세계문학사에 불멸의 업적을 남겼습니다. 특히 괴테는 실러를 많이 도왔습니다.

▲독일 바이마르 극장 앞에 세워진 괴테와 실러 동상(1857년 제막).
▲독일 바이마르 극장 앞에 세워진 괴테와 실러 동상(1857년 제막).

퇴계 이황(1501~1570)과 고봉 기대승(1527~1572)은 26세나 차이가 났지만, 1558년부터 퇴계가 타계한 1570년까지 12년 동안 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 편지를 주고받으며 세계 유학사에 길이 남을 논쟁과 우정을 펼쳤습니다.

우리는 흔히 친구라고 말하지만 이와 비슷한 단어에 붕우(朋友) 벗 동무가 있습니다. 지기(知己)라는 말도 친구와 뜻은 같습니다. 그런데 朋은 뭐고 友는 뭔가? 원래 朋은 동사(同師), 스승이 같은 사람입니다. 그러니까 복수, 집단개념이 들어 있는 단어입니다. 友는 지동(志同), 뜻이 같은 사람이라는 의미로 만들어진 말이라고 합니다. 특히 屮(왼손 좌)+又(오른소 우) 형태로 이루어진 友라는 글자는 두 손이 서로 협력하듯 친하게 지내며 도우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벗과 동무는 순수한 우리말이지만, 동무는 잘 아시다시피 공산당이 사용하면서 거의 죽은 말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동무는 참 좋은 말입니다. 글동무 길동무 꿈동무 노래동무 놀이동무 배움동무 소꿉동무 씨동무 어깨동무 책동무... “어깨동무 씨동무”로 시작되는 전래동요에서 씨동무는 씨앗처럼 소중한 동무라는 뜻입니다. 농사 지어 먹고살던 농경시대에 씨앗처럼 소중한 것은 없었겠지요. 지금 시니어들에게는 산행동무 골프동무 당구동무 술동무 여행동무 낚시동무 서예동무 사이클동무 조깅동무 트레킹동무, 이런 동무들이 있을 것입니다.

뜻이 같고 마음이 통하면 자꾸 보고 싶어집니다. 두보의 시에 나오는 춘수모운(春樹暮雲), ‘봄날의 나무와 해질 무렵의 구름’이라는 말이 멀리 있는 벗을 그리는 마음을 담은 성어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당 시인 위응물(韋應物)의 ‘추야기구원외(秋夜寄邱員外)’도 음미할 만합니다. 동무생각을 잘 표현한 아주 유명한 시입니다. “懷君屬秋夜(회군속추야) 이 가을밤 그대 그리워 散步咏凉天(산보영량천) 서늘한 날씨에 거닐며 시를 읊네. 山空松子落(산공송자락) 빈 산에 솔방울 떨어지니 幽人應未眠(유인응미면) 숨어사는 그대도 잠 못 이루겠지.”

논어 첫 대목의 공자 말씀 중 두 번째 문장이 바로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낙호),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니 즐겁지 아니한가” 아닙니까?

연암 박지원은 “벗이란 동거하지 않는 아내요, 동기가 아닌 아우다”라는 말을 했습니다. 그는 “벗은 제2의 나”라는 말도 했고, 담헌 홍대용에게는 “그대와 나눈 대화가 10년 독서보다 낫소”라는 말도 했습니다.

소중한 벗에 대한 지극한 정성과 간절한 그리움을 표현한 글로는 간서치(看書癡)로 잘 알려진 이덕무(李德懋)의 문장이 최고라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만약 나를 알아주는 한 사람의 벗을 얻게 된다면, 나는 마땅히 10년간 뽕나무를 심고, 1년간 누에를 쳐 손수 오색실을 물들이리라. 열흘에 한 가지 빛깔을 이룬다면 50일에 다섯 가지 빛깔을 이룰 수 있으리. 따뜻한 봄볕에 말린 다음, 아내에게 부탁해 백 번 정련한 금침으로 벗의 얼굴을 수놓게 하리라. 그런 후 귀한 비단으로 장식하고 오래된 옥으로 축(軸)을 만들어 높은 산과 양양히 흐르는 강물 사이에다 펼쳐 놓고 말없이 마주보다가 뉘엿뉘엿 해 질 녘에 품에 안고 돌아오리라.” 정말 대단한 정성 아닙니까?

벗은 왜 소중할까? 나를 알아주는 사람이자 나의 스승이 되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논어>에 나오는 ‘익자삼우 손자삼우(益者三友 損子三友)’의 개념 중에서 정직하고 성실하고 박학한 벗이 바로 나의 스승이 될 수 있는 친구입니다. 그 반대로 나에게 해로운 벗은 편벽되고 굽실거리기 잘하고 빈말 잘하는 사람입니다.

중국 명나라 때의 양명학자인 이탁오(李卓吾)는 <분서(焚書)>라는 책에서 “스승이 될 수 없다면 친구도 될 수 없다”는 말을 합니다. “내가 말하는 스승과 친구란 원래 하나이니 어떻게 두 가지 다른 의미가 존재하겠습니까? 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친구가 바로 스승인 줄은 알지 못하니, 이리하여 네 번 절한 뒤 수업을 전해 듣는 사람만을 스승이라 하지요. 또 스승이 바로 친구인 줄은 모르고 그저 친교를 맺으며 가까이 지내는 자만을 친구라고 일컫습니다. 친구라지만 네 번 절하고 수업을 받을 수 없다면 그런 자와는 절대로 친구하면 안 되고, 스승이라지만 마음속의 비밀을 털어놓을 수 없다면 그를 또 스승으로 섬겨서도 안 됩니다. (중략) 스승이 될 수 없다면 친구도 될 수 없는 것입니다.” [若不可師 卽不可友]

그렇게 스승이 될 수 있는 사람이 형제라면 얼마나 다행스럽고 좋겠습니까? 아버지와 함께 당송 팔대가로 꼽히는 소식(蘇軾)-소철(蘇轍)은 떨어지기를 아쉬워하며 평생을 함께하려 했던 형제이면서 친구이면서 사제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약전(丁若銓)-정약용(丁若鏞) 형제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둘 다 유배지에 있을 때 흑산도의 형 약전이 숨지자 다산 정약용은 두 아들에게 이런 편지를 보내며 통곡했습니다. “하늘도 땅도 무너지도록 원통히 부르짖으니 나무나 돌도 눈물을 흘리는데 하물며 무슨 말을 하랴? (중략) 지금 그분을 잃었으니 이제는 터득하는 바가 있어도 누구를 향해 입을 열 것이냐? 사람에게 지기가 없다면 진작에 죽느니만 못하다. 아내가 나의 지기가 되지 못하고 아들도 나의 지기가 아니며 형제와 일가도 모두 지기는 아니다.”

법구경에는 “나보다 나을 게 없고 내게 알맞은 길벗이 없거든 차라리 혼자 가서 착하기를 지켜라. 어리석은 사람의 길동무가 되지 말라”[學無朋類 不得善友 寧獨守善 不與愚偕]는 말이 나옵니다.

그러니 스승을 찾듯 친구를 찾아야 합니다. 친구에게서 배우고 친구에게 가르침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 사람이 나에게 있는가, 늘 생각해봐야 합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새해맞이 무료 연하장 5가지
    [카드뉴스] 새해맞이 무료 연하장 5가지
  • [카드뉴스] 고혈당증, 어떻게 관리할까?
    [카드뉴스] 고혈당증, 어떻게 관리할까?
  • “노년에도 늘 아름답게” 日노인 위한 ‘간호 미용연구소’
    “노년에도 늘 아름답게” 日노인 위한 ‘간호 미용연구소’
  • ‘위기를 기회로’ 생활비 아끼는 중년 맞춤 짠테크 솔루션은?
    ‘위기를 기회로’ 생활비 아끼는 중년 맞춤 짠테크 솔루션은?
  • “천만노인시대, 미래세대의 부담 경감 위한 사회적 합의 필요”
    “천만노인시대, 미래세대의 부담 경감 위한 사회적 합의 필요”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