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 전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서 마음만 동동 구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브라보 마이 라이프’의 문을 두드려주세요. 이번 호에는 이강선 교수가 돌아가신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편지를 써주셨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허리를 굽혀 요가 매트를 마는데 군데군데 흰점이 보였다. 낡았네. 하긴 오래됐지. 들여다보니 그게 아니었다. 손톱만 한 혹은 그보다 더 큰 흰 조각들. 집에 돌아와 양말을 벗었다. 하얀 것이 떨어졌다. 실밥이 아닌데 집어 올렸다. 낮 열두 시의 햇살이 조각을 통과하지 못하고 비켜갔다. 비늘 같은데? 세로로 줄금이 간 불투명 비늘에 연한 노란색이 감돌았다. 시선이 발바닥으로 갔다. 노란 각질이 발바닥 전체를 덮고 있었고 군데군데 갈라져 있었다. 특히 뒤꿈치에는 하얗게 일어나 있었다.
기억이 났다. 그때, 엄마의 허리를 누르고 있을 때, 손이 아프도록 힘주어 누르고 있을 때가 용인 아파트였다. 엄마는 바닥에 엎드려 있었고 그 바람에 평생 감추고 있던 발바닥이 무방비 상태로 드러났다. 발바닥은 살빛이 아니었다. 노랗고 거뭇거뭇했다. 발바닥은 2mm 됨직한 각질로 뒤덮여 가뭄에 말라붙은 저수지 바닥처럼 쩍쩍 갈라져 있었다. 발뒤꿈치는 마치 가시들이 톱니처럼 솟구쳐 있는 것처럼 보였다. 쓸어내리는 내 손을 찔렀다. 무좀, 몇 번 연고를 발라주면 될 것을… 1분도 걸리지 않는데….
엄마는 마지막 시간을 침대에 누워 계시다가 가셨다. 손과 발이 묶인 2년 2개월간, 매주 엄마를 보러 갔다. 횟수는 점점 늘어 이틀에 한 번, 이윽고 매일이 되었다. 팔을 내두르고 침대 난간을 두드리던 엄마는 마사지하는 동안은 얌전했다. 머리를 톡톡 두드려주면 시원한지 눈을 감으셨고 귀를 문지르면 얼굴을 찡그렸다. 콧줄 빼는 걸 막느라 끼워둔 장갑을 풀어 손을 마사지하고 손가락을 구부리면 “아파” 하고 소리를 쳤다. 대화는 그게 전부였다. 언어중추 마비와 연하기능 마비로 엄마의 입은 말하고 먹는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잃었던 것이다.
사람들은 말한다. 움직일 수 없고, 대소변 처리도 못하고, 의사소통도 안 되고, 때로 자식도 알아보지 못하는데 그게 인간답냐고. 자식이 문안에 소홀했던 건 바빠서이기도 하지만 표현할 수 없는 엄마가 낯설어서였을 것이다. 엄마는 엄마다워야 한다. 사랑을 줘야 하고 염려를 표현해야 한다. 엄마이니까, 엄마는 그저 줘야 하는 존재이니까.
생각을 표현하지 못하면 인간다움을 잃는 것일까.
그러나 엄마는 인지능력이 분명히 있었다. 행복을 느끼는 전두엽도 활발히 작동했다. 아니라면 꽃을 보고 그리 기뻐하셨을까. 보여만 드리겠다고 허락을 받고 들여온 쑥부쟁이 꽃다발을 엄마는 빼앗듯 가져가셨다. 노란 감국과 흰 개망초, 오이꽃으로 만든 소박한 야생화 다발을 껴안고 도무지 내놓을 생각을 하지 않았다. 제비꽃, 백일홍, 코스모스, 나팔꽃도 좋아하셨다.
그러나 엄마가 가장 좋아한 꽃은 닭의장풀이었다. 아버지를 기억나게 하는 풀꽃이었다. 당뇨를 앓았던 아버지가 달여 드시던 꽃이었으므로.
그날도 엄마와 소풍을 갔다. 의사 허락을 받아 침대째 모시고 나가곤 했는데, 그날은 3층 정원이 아닌, 직원들이 구름다리라 부르는 곳으로 갔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잠깐 엄마를 맡긴 다음, 비탈을 내려가 달맞이꽃과 닭의장풀을 꺾어왔다. 엄마는 더 크고 환한 달맞이꽃은 버려두고 닭의장풀을 받아 소중하게 가슴에 안았다. 병실을 떠날 때 보니 조그맣게 오그라든 풀꽃이 손안에 들어 있었다. 마치 기도하듯 가슴에 모은 손안에.
누가 엄마에게 인지 능력이 사라졌다고, 기억이 사라졌다고 말할 수 있을까. 돌봐주는 간호사에게, 간병인에게 “예뻐”라고 인사하는 이 노인이, 풀꽃을 보고 일곱 해 전 죽은 남편을 기억하며 딸이 준 꽃다발을 꼭 껴안고 있는 그 여인이, 인간답지 않다고 누가 말할 수 있을까.
발바닥은 요양병원에 계시면서 매끈해졌다. 스타킹을 신으면 매번 올이 나갈 정도로 성이 나 있었는데 아기 발바닥처럼 말랑말랑해지고 부드러워졌다. 항생제와 영양제를 투여받으며 평생 함께했던 무좀에서 해방된 것이다.
발바닥의 흰 각질들은 자식들 뒷바라지하느라 자신을 돌볼 겨를이 없었던 엄마의 고달픔이었을 것이다. 주어진 무게를 감당하느라 힘겨웠던, 자신의 이름도 쓰기 어려워했던 엄마의 아픔이 쌓인 더께였을 것이다.
바닥에 떨어진 각질을 주워 모았다. 낮은 간편화밖에 신지 못했던 엄마는 자주색 실로 수놓은 노란 꽃신을 신고 가셨다.
이강선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성균관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 번역가로 활동하다가 마흔 중반에 모교로 돌아가 번역학 석사학위,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의미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것이라 생각하며 산다. 현재 글을 쓰며 문학 치유에 깊은 관심을 갖고 공부 중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등에서 영문학과 번역을 가르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