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 전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서 마음만 동동 구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브라보 마이 라이프’의 문을 두드려주세요. 이번 호에는 이빈섬 시인이 작고하신 아버지에게 편지를 써주셨습니다.
왜 그랬는지 알 수 없지만, 그날 나는 휴대폰을 붙들고 씨름하고 있었지요. 눈을 떼지 않고 바라보고 있었던 곳은, 분재목(盆栽木)을 경매하는 인터넷 사이트였습니다. 마음에 드는 매화나무 몇 개를 찾아 비딩(bidding)해놓고 수시로 응찰하는 경쟁자들과 가격 경합을 벌이고 있었죠. 저녁답부터 시작했는데 자정 무렵까지 계속됐습니다. 막판엔 응찰 속도도 빨라져 피가 마르는 기분이었죠. 문득 엉덩이 쪽이 배겨서 자세를 바꿔 앉았습니다. 그리고 바로 전까지 끊임없이 들려오던 잔기침 소리가 멎었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내가 앉아 있었던 곳은 병상 옆 의자였고, 어느새 아버지는 상체를 일으켜 앉아 계셨지요. 어둑한 자리에서 희끄무레한 벽을 응시한 채 나무토막처럼 움직임이 없었죠. “아버지, 잠이 깨셨어요?” 막, 잘생긴 매화나무 한 그루가 내 것이 되기 직전이었는지라, 건성으로 말을 건넸습니다. “그래.” 아버지는 나직이 대답했죠.
“혹시 화장실 가고 싶으셔요?” 링거 줄들이 어른거리는 쪽에서 힘없는 목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아니다, 아니야.” 물끄러미 나를 바라보시는 그 얼굴을 흘깃 본 뒤, 내 눈은 급히 휴대폰 모니터로 향했고 나는 버들처럼 늘어지는 수양매화 한 그루를 낙찰받았습니다.
아버지와 대화를 나눈 건 그게 마지막이었습니다. 이튿날 아침 아내와 교대를 하고 집에서 쉬고 있다가 화장실을 다녀오던 아버지가 쓰러지셨다는 전화를 받았죠. 호흡곤란이 왔는데, 병원에서는 막힌 식도(食道)를 넓히려 넣은 스텐트(stent)가 뒤쪽 기도(氣道)를 압박해 숨 쉬는 통로가 좁아진 탓이라고 설명하더군요. 음식이 들어가는 길과 공기가 드나드는 길이 하나의 벽을 두고 그렇게 뚫려 있는 줄 그때 처음 알았습니다. 아버지는 투명 주머니와 연결된 비닐 줄들을 달고 의식도 없이 가쁜 숨을 몰아쉬고 있더군요. “너무 걱정 마십시오. 며칠 지나면 호전될 거예요. 그 뒤엔 다시 병실로 올라갈 수 있어요.”
그러나 며칠 뒤 의사도 당황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호흡기를 뗐는데 갑작스럽게 숨이 꺼져버리고 만 거죠. 인턴들이 미친 듯이 아버지의 가슴을 눌러댔지만 호흡은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숨지다’라는 말이, 얼마나 사무치는 말인지, 그때 알게 되었습니다.
생전의 어머니(아버지에 이어 몇 달 뒤 어머니도 돌아가셨죠)는 아버지에게 입버릇처럼 말씀하셨지요. “아이고, 우리 영감. 작은아들 때문에 이때껏 사는 건 줄 아쇼.” 그때 어머니 눈앞엔 8년 전의 일이 스쳐지나갔을 겁니다. 아버지가 병원에서 식도암 판정을 받았다며, 서울의 큰 병원을 알아보라며 숨넘어갈 듯 내게 전화하신 어머니. ‘평생 웬수’라며 끌탕하던 평소와는 달리, 몹시 떨리는 음성이었죠. 그해 말 아동댁네(어머니의 택호(宅號)) 식구들이 동해안 포구로 여행을 떠났습니다. 행여 아버지가 우리와 좋은 한때도 없이 훌쩍 가실까봐 걱정한 형의 제안으로 급조한 행사였지요. 그때까지도 아버지는 당신이 암인 걸 모르셨기에, 얘들이 갑자기 왜 이러나 어리둥절한 표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온 가족이 모인 것이 그저 좋아서 연신 껄껄 웃으셨고… 아버지 웃음에 어머니는 슬쩍슬쩍 고개를 돌려 눈시울을 닦아내셨습니다. “천지를 모르는 영감 같으니라고…” 들릴 듯 말 듯 중얼거리시면서요.
당신도 모르는 이별여행을 하고 온 뒤, 놀랍게도 아버지의 식도암은 씻은 듯이 사라졌습니다. 최신 기술이 좋았나봅니다. 엑스레이 치료로 암종(癌腫)을 태워 없애는 데 성공한 것이죠. 서울에서 병원생활을 마치고 경주로 귀향한 아버지는 다시 게이트볼장으로 나가셨고, 날마다 막걸리에 불콰해진 얼굴로 귀가하시곤 했죠. 그렇게 6년 여 동안 평화로운 시절이 흘러갔습니다. 그 뒤의 상황은 떠올리고 싶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말을 하니 그만 떠오르고 마네요. 어느 날 아버지는 다시 서울로 올라왔습니다. 식도가 막혀 일주일가량 음식을 삼킬 수 없었기 때문이죠. 서울역에서 뼈만 남은 손을 쥐었습니다. 마른 하회탈 같은 얼굴로 아버지는 웃고 있었지만, 둔한 내 마음에도 울컥하는 감정이 올라왔죠. 그날 저녁, 우리 집에서 아무리 씹고 꿀꺽여도 삼켜지지 않는 음식 한 숟가락을 식도 저 안쪽으로 밀어 넣기 위해 아파트 복도를 몇 차례나 왔다 갔다 하시던 모습이 선합니다. 아무리 몸을 흔들어도 내려가지 않는 음식을 끝내 뱉어내며 미안해하시던 그 얼굴. 옆에 앉은 자식은 아무 말도 건넬 수 없었습니다. 이후 실낱같은 희망과 대못 같은 절망이 교차한 뒤 경황도 없이 아버지를 보냈습니다.
그날 밤, 매화를 구하려 그토록 경매에 열중했던 내 마음은 무엇이었을까 다시 생각해봅니다. 고통을 겪고 있는 아버지를 외면하려, 꽃 피는 생명을 희구한 엉뚱한 입덧 같은 것이었을까요. 그때 사들인 매화는 그 겨울을 넘기고 해사한 흰 꽃을 피웠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슬픔이 얼마나 컸는지 모릅니다. 찬란한 봄날에 다시 돌아오지 못한 아버지는 영천 국립묘지의 작은 분(盆)에 든 채, 생전의 속 좋은 그 웃음을 흩고 계셨지요. 매화는 다시 피지만 사람은 다시 피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토록 아프게 깨달으라고…. 그날 나는 왜 실없는 해찰을 하며 어둠 속 아버지 얼굴을 한 번 더 살펴보지 못했을까요.
막 군대를 다녀온 막내아들이 어쩐지 버거운 느낌이 들 때, 내게 그토록 과묵하게 대했던 아버지 생각이 납니다. 며느리보다도 더 어색해했던 아들. 아버지와 나 사이에는 알 수 없는 무거운 공기가 있었습니다. 뭐랄까, 우리는 어느 날부터 서로의 마음을 불러낼 화제(話題)의 실마리를 잃어버린 사람들이었죠. 오래전 아버지의 인생 실패를 굳이 꺼낼 생각은 없습니다. 그 때문에 늘그막에 어머니에게 죄지은 사람으로 사죄하듯 사신 것도 압니다. 먹고사는 일보다 고통스러웠던 건, 주변에서 우리를 바라보던 시선의 납덩이같은 무게였습니다.
얼마 전 벌초를 갔을 때, 주위를 떠나지 않던 호랑나비 한 마리를 생각합니다. 나비는 사람의 영혼을 품고 다닌다는 얘기를 들은 적 있습니다. 그날 어쩐지 아버지를 만난 것 같은 기분이 들었습니다. 이제 아버지는 이승의 모든 것 다 내려놓으셨을까요. 나비처럼 가벼이, 또 다른 시간의 허공을 나붓나붓 날고 계신 걸까요. 아닙니다. 아버진 아무래도 여기 계신 듯합니다. 내 안에 말입니다. 여기 내가 있다는 것. 이것이 나비보다 더한 아버지의 화현(化顯)이 아닐는지요. 내년 봄날 매화꽃 피는 날, 호랑나비로 다시 오셔도 좋습니다.
이빈섬 시인
1961년 경북 경주 태생, 본명은 이상국이며, ‘이빈섬’이라는 필명으로 등단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기자를 지낸 언론인이자 시인, 스토리텔러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옛사람들의 걷기’, ‘눈물이 빗물처럼’, ‘추사에 미치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