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 하면 대개 분위기 좋은 바에서 와인을 곁들이며 듣는 모습을 떠올린다. 황덕호(黃德湖·54) 재즈평론가는 이러한 선입견이 ‘재즈는 어려운 음악’이라는 편견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그는 “재즈는 화려한 레스토랑의 만찬보다 시장 골목 외진 식당에서 그날그날의 재료로 말아주는 즉석 국밥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개성 있는 연주자들이 즉흥으로 이루는 재즈 앙상블의 매력을 비유한 것이다. 또 애써 격식 갖춘 공간을 찾지 말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황덕호 역시 오랜 시간 자신의 다락방에서 재즈를 즐겼다. 그리고 그보다 더 오래전, 훌륭한 재즈들이 다락방에서 탄생했다.
올해 3월 이사하기 전까지, 황덕호는 다락방이 딸린 후암동 빌라에서 8년여 동안 재즈를 듣고 글을 썼다. 그곳에서 집필한 마지막 책이 바로 ‘다락방 재즈’다. 이제는 예전처럼 다락방은 없지만 어디서든 재즈를 통해 다락방의 감성을 얻는 그다.
“영어로 하면 ‘로프트 재즈’(loft jazz)인데 실제 1970년대부터 쓰인 용어입니다. 당시 뉴욕 맨해튼의 작은 다락방 작업실들에서 실험적인 재즈가 많이 만들어졌거든요. 제가 썼던 다락방과는 다소 의미가 다르지만, 번듯한 환경이 아니더라도 어디서든 들꽃처럼 피어나는 재즈의 특성과 맞닿는 부분이 있죠.”
독자가 책을 어떻게 읽길 바라는지 묻자 그는 “틈틈이 가볍게 읽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재즈 이야기를 낯설고 어렵게 여길 수도 있는 이들을 염두에 둔 답변이었다.
“줄곧 재즈 입문자의 눈높이로 글을 써왔어요. 대중적이거나 애호가가 많은 음악이 아니니까요. 그런데 이번엔 그런 것에 신경 쓰지 않고 책을 냈어요. 때문에 어떤 글은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진지하게 볼 책은 전혀 아니고요. 짤막짤막한 단편 모음이니까 순서에 상관없이 제목 보시고 읽고 싶은 글 위주로 읽으시면 돼요. 독자가 ‘재즈가 들을 만한 음악인가보네? 재미있네?’ 정도의 호감을 갖는다면 더 바랄 게 없습니다.”
자신의 책처럼 쉽게 다가가길 바라는 마음에서, 그는 평소 “음악은 대충 듣는 것”이라 말해왔다. 집안일이나 식사를 하며 즐겨도 만족감을 준다는 데 그 이유가 있었다. 역설적으로 그 음악을 알려면 제대로 집중해 듣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극장에서 다른 일 하지 않고 조용히 영화나 공연을 보는 것처럼, 음악도 30분이든 1시간이든 몰입해서 들어야 비로소 그 실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전까지는 좋아할 수는 있어도 잘 알지는 못하거든요. 가령 우리가 누군가를 두고 ‘그 사람 괜찮아’라고 하는 것과 ‘그 사람 잘 알아’라고 하는 게 다르듯 말이죠. 사람을 알아가려면 많은 얘기를 주고받으며 깊이 헤아려야 하는 것처럼, 음악도 제대로 알려면 많이 듣고 집중할 시간이 필요합니다.”
익숙하고도 낯선 최고의 앙상블
그는 책에서 “진정한 재즈 팬이란 방금 탄생한 싱싱한 즉흥연주의 맛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이라 일컬었다. 대화를 하면서 상대의 말투와 성격을 파악하듯, 즉흥연주를 통해 연주자의 개성과 매력을 느낄 수 있다는 것. 특히 즉흥연주 앙상블은 연주자 간의 익숙하면서도 낯선 호흡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재즈에서 앙상블은 지휘자가 정교하게 이끄는 합주와는 다릅니다. 모든 음이 기록된 악보에 맞춰 연주하는 것으로 완성도를 따지는 음악이 아니니까요. 재즈 뮤지션들은 악보에 쓰이지 않은 여백을 조화롭게 즉흥적으로 채워나가죠. 솔로에서는 연주자 개인의 개성을 보여줘야 하지만, 앙상블에서는 서로의 개성이 얼마나 어우러지느냐가 관건입니다. 뛰어난 재즈 뮤지션들은 상대의 연주에 귀 기울이고 그에 맞게 자신의 개성을 노련하게 드러내죠. 혼자만 돋보이려고 하다 보면 음악은 무너지고 말아요. 즉 상호 존중이 필요하죠.”
물론 지나친 배려 때문에 각자의 개성까지 잃어버리면 재즈의 맛은 떨어지게 마련이다. 그렇다고 무한대로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연주하는 곡의 화성, 박자 등 지켜야 할 최소한의 것들은 존재한다. 그는 느슨한 틀 안에서 적절히 개성을 발휘하는 것은 숙련된 연주자만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재즈 연주자들의 전성기는 대개 마흔이 넘어 옵니다. 어느 분야이든 자기 스타일을 완성하려면 그만큼의 시간이 필요하니까요. 젊은 시절엔 연주 테크닉만으로도 주목을 받지만, 나이 들어서도 같은 방식을 고수한다면 그건 퇴보라 할 수 있죠. 훌륭한 뮤지션들은 다른 연주자와 상호 작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동시에 자신의 개성을 더 견고하게 만듭니다. 재즈 대가들을 보면 오히려 육체적인 힘은 떨어지지만 한 음을 눌러도 자기만의 세계를 딱 펼쳐내죠. 음악만 듣고도 누구의 연주인지 단번에 알아차릴 만큼이요.”
재즈의 즐거움은 재즈 그 자체
슬플 때 위로를 주는 음악이 있는가 하면, 즐거울 때 흥을 더해주는 음악도 있다. 또 젊어서는 별로였던 음악이 나이 들어 좋아지기도 한다. 이렇듯 감상은 자신의 기분이나 처지에 따라 달라진다. 그렇다면 재즈는 어떤 감정과 세대에 어울리는 음악일까?
“사실 재즈는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감정하고는 무관해요. 사람들은 음악을 통해 기분을 전환하고, 그 감정에 빠져들곤 하죠. 그러나 재즈는 음악 그 자체의 논리가 더 중요합니다. 애호가들이 재즈를 통해 느끼는 즐거움은 순전히 음악적인 교감에서 오는 거예요. 애초에 뮤지션들을 위한 음악으로 만들어져 발전했기 때문에 대중음악의 기능과는 거리가 멀죠. 재즈 뮤지션들은 자신이나 청중의 감정을 대변하기보다는 연주 자체의 재미를 전달하는 게 목적이거든요. 기쁘거나 슬프라고 들려주는 건 아니라는 얘기죠. 오히려 그런 점에서 어느 때고 평생 들을 수 있는 음악이 아닐까 싶어요.”
그래서일까? 20여 년을 재즈에 푹 빠져 살면서도 여전히 재즈에 관한 일을 할 때가 가장 즐겁다는 황덕호다. 30대에 시작한 KBS 라디오 ‘재즈수첩’ 진행도 어느덧 올해 20주년을 맞이했다. 재즈 프로그램이 거의 사라진 요즘, 매주 주말 단 2시간이라도 재즈를 들려줄 수 있어 다행이란다. 물론 그의 갈증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하지만 그나마 재즈 팬들에겐 가뭄 속 단비 같은 시간이다.
“만약 어느 채널에서 록 프로그램이 하나만 있는데, 일주일에 딱 2시간만 진행된다고 쳐봅시다. 그러면 비틀스와 롤링스톤스의 음악을 빠트릴 수 있을까요? 재즈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대표적인 곡들을 위주로 선곡하고 있습니다. 가급적 주어진 시간 안에 재즈의 명작들을 알려야겠다는 마음이 크죠. 물론 그런 기준으로 음악을 골라도 소스는 무궁무진해요. 시간이 부족해서 그렇지, 아직도 광산에는 금이 가득합니다.(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