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하 장서각 관장, 조선의 미식가를 통해 현대의 미식을 탐구하다

기사입력 2019-10-29 10:35 기사수정 2019-10-29 10:35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조선의 미식가들'

음식인문학자로 알려진 주영하(周永河·5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관장에겐 ‘언젠가 한반도 음식 역사를 집필하리라’는 포부가 있었다. 그 일환으로 최근 그는 저서 ‘조선의 미식가들’을 통해 신작로처럼 펼쳐질 조선시대 음식의 역사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를 놓았다. 여기에 조선의 미식가 15인이 글로 남긴 음식 경험은 훌륭한 디딤돌이 되어주었다. 단순히 에피소드 나열식의 연대기가 아닌 인물에게서 발견한 시대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오늘날의 음식 문화를 짚어 가보려 한다.


▲'조선의 미식가들'을 펴낸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관장(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조선의 미식가들'을 펴낸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관장(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프랑스 법률가 장 앙텔름 브리야 사바랭은 “당신이 무엇을 먹는지 말하라. 그러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말해주겠다”고 했다. 개인의 음식 경험과 취향을 통해 그 사람의 삶을 유추할 수 있다는 뜻에서였다. 같은 맥락으로 주영하 관장은 역사적 인물이 글로 남긴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그 사람은 물론, 나아가 조선시대 식생활의 실체를 엿보고자 했다. 음식은 특성상 시간이 지나면 부패해버려 유물처럼 실재(實在)를 보고 연구하긴 어렵다. 때문에 주 관장은 조선시대 요리책뿐만 아니라 시집, 문집, 일기, 여행기, 편지를 비롯해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등의 역사 기록까지 두루 살피며 자료를 모았다.

“맛에 대한 취향은 시대마다 다릅니다. 한 사람의 음식 경험에는 개인의 삶은 물론이고 그가 살았던 시대의 정황과 역사가 담겨 있죠. 그 점에 주목해서 2011년부터 음식에 관한 글을 저자별로 나눠 정리했어요. 처음에 다루려던 인물은 100명이 넘었죠. 그중 맛의 표현을 가장 절묘하고 풍부하게 남긴 이들을 기준으로 계층, 성별, 직업 등을 고려해 인물을 가려냈습니다.”

그렇게 선정한 허균, 영조, 이덕무 등 15명을 일컬어 책의 제목인 ‘조선의 미식가들’로 명명했지만, 그는 현대인들이 떠올리는 미식가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더니 “제목만 보고 속지 말라”(?)는 당부를 덧붙였다.

“요즘은 ‘미식가’ 하면 음식 맛이 좋은지 나쁜지 등을 잘 품평하는 사람을 가리키지만, 조선시대엔 그런 말이나 의미를 지닌 표현은 없었어요. 대신 ‘맛을 안다’는 의미의 ‘지미(知味)’ 또는 ‘지미자(知味者)’가 있었죠. 어쨌든 요즘 말로 제목을 달았지만, 아마 ‘미식가’라는 말에 현혹돼 재미있는 내용이라 여기는 분들이 있을 거예요. 솔직히 내용이 꽤 어렵습니다. 대중서보단 학술서에 가깝죠. 단순히 맛이나 요리 정보를 주기보다는 한 사람의 삶 속에서 그 음식이 지닌 사회적, 문화적 의미가 무엇인지 고민하게 해주는 책이었으면 해요.”


▲'조선의 미식가들'의 책 표지와 주영하 관장이 직접 적은 글귀
▲'조선의 미식가들'의 책 표지와 주영하 관장이 직접 적은 글귀

실체 없는 전통 한식의 프레임

주 관장은 단편적인 주제로 그때그때 단행본을 내기보다는, 학자로서 기획한 큰 맥락 속에서 체계적인 작업을 해왔다. 그런 점에서 몇 해 전 출간한 ‘식탁 위의 한국사’,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등은 ‘조선의 미식가들’ 시리즈로 봐도 무방해 보인다. ‘한반도의 음식 역사’를 집필하겠다던 그의 계획대로라면 먼 과거부터 순차적으로 이야기를 풀어갈 법도 한데, 먼저 출간된 두 책의 내용은 ‘오늘날 우리의 음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 이유에 대해 묻자 그는 “현재의 문제가 중요하기 때문”이라 답했다.

“음식들의 기원이나 역사적 사실을 밝혀 연대순으로 나열한다고 의미가 있을까요? 그보다는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먹어왔는가’라는 물음을 갖고 접근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역사학이란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거를 거울로 삼는 학문입니다. 음식이라는 분야도 다르지 않아요. 생물학적인 음식에는 물질이 담겨 있지만, 문화적인 음식에는 생각이 담겨 있죠. 오늘날 한국인의 식사 방식이나 음식 문화의 문제들이 어떤 배경과 과정을 통해 형성됐는지, 현시점에 서서 바라볼 줄 알아야 합니다. 그런 안목과 이해를 통해 미래 100년 먹거리에 대한 해답까지 찾을 수 있어요.”

그렇다면 그가 바라보는 오늘날 한국 음식 문화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주 관장은 지나친 음식 민족주의와 한식 전통주의를 지적했다.

“한식이 건강에 좋다, 우리 음식이 최고다, 그런 인식이 강하죠. 한식 세계화 등을 펼치며 마치 우리 음식만 우월한 것처럼 이야기하고요. 또 한국인이라도 김치 안 먹고 싫어할 수 있는데, 그러면 문제라는 식으로 몰아가죠. 음식 민족주의가 만든 부정적인 결과입니다. 문화의 다양성을 저해하는 시각이죠. 한식에 대한 전통주의도 너무 강해요. 우리가 먹는 한식의 뿌리는 조선시대가 아닌, 거의 20세기 이후 상업화된 음식에서 온 것들입니다. 흔히 고급 한식당에서 비싸게 먹는 요리들을 전통 한식이라 착각하는 거죠. 그렇게 전통이라 여기는 어떤 프레임이 존재할 뿐 사실 그 실체는 없을지도 몰라요. 오히려 그런 틀을 벗어나려는 이들의 노력도 받아줘야 하는데, 앞서 말한 이유들로 여전히 쉽지가 않습니다.”


▲'조선의 미식가들'을 펴낸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관장(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조선의 미식가들'을 펴낸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관장(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괴로움 없이 소통하는 식탁

주 관장은 가족 식사가 사라져가는 현실에도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예로부터 한 지붕 아래 밥을 지어 먹는 가족을 ‘식구(食口)’라 불렀고, 흔히 ‘한솥밥을 먹는다’고 표현해왔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혼밥’이라는 신조어가 생기더니 가족 외식도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조선시대엔 식재료가 열악하고, 남녀 겸상이 어려웠다지만 요즘엔 맛집이 즐비하고, 가부장적인 문화를 많이 탈피했음에도 식탁 위의 소통은 힘들기만 하다. 주 관장은 자신 역시 실천이 어렵다고 토로하며, 이는 사회의 여건상 개인의 노력만으론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 진단했다.

“저마다 삶에 여유가 없어요. 돈 벌어야지, 남들 가는 여행도 가야지, 자기계발도 해야지, 스마트폰도 봐야지, 일상을 사는 데 해야 할 일과 조건이 과거에 비해 많아지고 복잡해졌잖아요. 이것저것 할 시간도 부족한데, 소통한답시고 가족끼리 때맞춰 밥 먹자 강요할 수도 없는 노릇이죠. 또 매일 모여 밥 먹는다고 다 화목해지는 것도 아니고요. 그보다는 가족끼리 편안한 약속을 만들면 어떨까 해요. 가령 1년에 한 번은 온 식구가 근사하게 정장 차려입고 고급 레스토랑을 가는 거죠. 그때만큼은 즐거운 마음으로, 휴대폰도 딱 꺼두고요. 그렇게 식탁 위가 괴롭지 않아야, 음식을 통한 진정한 소통도 가능하리라 봅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판교 개발 이끈 추진력, 한국문화원연합회 발전 동력 삼을 것”
    “판교 개발 이끈 추진력, 한국문화원연합회 발전 동력 삼을 것”
  • 커피에 미(美)쳐 조연을 자처한, 명장 박이추
    커피에 미(美)쳐 조연을 자처한, 명장 박이추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정순둘 이화여대 교수 “연령통합 사회, 청년도 노인도 하나의 어른”
    정순둘 이화여대 교수 “연령통합 사회, 청년도 노인도 하나의 어른”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