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요리연구가 문성희, 숨심과 밥심으로 존재와 마주하다

기사입력 2018-08-14 14:46 기사수정 2018-08-14 14:46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문성희의 밥과 숨'

‘평화가 깃든 밥상’ 시리즈, ‘문성희의 쉽게 만드는 자연식 밥상’ 등을 통해 다양한 자연요리 레시피를 선보여 왔던 문성희(文聖姬·68). 그의 첫 에세이 ‘문성희의 밥과 숨’, 얼핏 소박하면서도 거대한 물음을 줄 것만 같은 제목이었다. 아니나 다를까, 읽는 내내 삶의 행복과 자유를 좇아 끊임없는 질문과 마주했다. 그러다 답은 결국 제목에서 찾고 만다. 문성희(존재로서의 한 인간), 밥, 숨. 존재 그 자체로서의 행복을 위해 필요한 건 단 세 가지라는 것을 말이다.


▲문성희 자연요리연구가(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문성희 자연요리연구가(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일과 관계, 거대한 문명의 소용돌이 안에 매몰돼 허우적거리던 30대. 기쁨보다 고민이 많았고, 기도로 달래보아도 좀처럼 행복하지 않았다. 소로의 ‘월든’을 읽고 책 속의 삶을 동경했으나, 자신과 딸아이의 생존이 걸쳐 있는 삶의 터전을 당장 놓아버릴 수 없었다. 내 마음의 주인이 내가 되지 못하는 불행 속, 자기주도적 삶을 위해서는 도시를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몇 년을 둥둥 뜬 마음으로 보낸 뒤에야, 이윽고 중학생 딸의 손을 붙잡고 철마산 오두막으로 향할 수 있었다. 오랜 시간 그토록 갈망하던 삶, 그는 과연 만족스러웠을까?

“만족스럽다기보다는 기쁨과 희열이 대단했어요. 많은 것을 버리고 왔음에도 오히려 모든 게 가득 차 있었죠. 산에 와서 여러 실험을 했는데, 그중 하나가 세탁기 없이 살아보자는 거였어요. 간단한 방법이 하나 있더군요. 옷이 두 벌이면 된다는 거였죠. 벗으면 당장 빨아야 하니까.(웃음) 세탁기가 있으면 빨래를 계속 쌓아두게 되잖아요. 그렇게 문명에 의존하던 것들을 하나씩 덜어내면서 좀 더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 수 있었어요.”


생명을 살리는 음식을 먹는다는 것

그는 자신의 삶을 산에 들어오기 전과 후로 나눴다. 어떻게 살아야 할지 방법을 몰라 한없이 흔들리고 나약했던 존재에서, 삶의 기술을 터득하고 무언가가 없어도 행복할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된 것. 그러나 산에서의 생활이 익숙해질 즈음, 또 다른 고민이 생겨났다.

“자연에 살면서 하늘, 바람, 계곡이 있어 행복을 느꼈는데, 결국 이 또한 의존하는 게 아닌가 싶더라고요. 어떠한 대상에게서 오는 행복이라면, 문명에 기대는 것과 다름없으니까요. 도시든 시골이든 내 존재로서 행복해야 하는데 말이죠. 그때쯤 저처럼 살고 싶다며 찾아오는 분도 많았어요. 그런데 사람들이 다 행복을 찾아 산에서 살 수는 없는 거잖아요. 아, 그럼 도시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대안은 뭘까? 그걸 찾고 싶더라고요.”

산에 오르고 내리는 사이 변화한 것은 그뿐만이 아니다. 그도 한때 20여 년 요리학원 원장으로 살며 방송, 강연 등을 통해 감각적이고 화려한 요리를 가르쳤다. 그러나 오랜 경험 끝에 가장 훌륭한 요리는 재료 본연의 생명력으로 자연 그대로의 향과 맛을 느끼게 해주는 것임을 절실히 깨달았다. 푸성귀와 생식을 먹으며 점차 몸 세포가 변하고 마음이 안정되는 것을 느꼈고, 비로소 생명을 살리는 음식에 몰두할 수 있었다.

“우리의 영혼이 몸 안에 들어 있을 때 휴먼 빙(human-being), 즉 인간이고 삶이죠. 그것이 떠났을 때가 죽음인 건데, 일단 사람의 몸을 갖고 있을 때는 물질을 취하잖아요. 흔히 지수화풍(地水火風)이라고 하는데, 이걸 더 깊이 쪼개면 빛과 진동이죠. 실제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이 결합해 어떤 생명체가 된 거예요. 내가 마신 공기, 먹은 음식, 내 안의 사유 등과 어우러져 몸이 되고, 우리 영혼은 그 몸과 교감하는 거죠.”

그는 단순히 잘 먹는 것 이상으로, 우리가 섭취하는 식재료에 대한 깊은 고찰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인간이 다른 생명 종과 차이 나는 건 생각하는 힘이 있다는 거예요. 그저 동물처럼 먹고 산다면 진화할 수 없다는 얘기죠. 더 본질적으로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요. 내가 먹는 이 낟알조차도 땅과 연결되고 물과 연결되고 또는 다른 생명과도 연결된다는 걸 인식해야죠. 또 음식이 지닌 에너지와 칼로리는 달라요. 패스트푸드나 가공음식은 영양을 보충해줄지는 모르지만 생명의 에너지는 전혀 담겨 있지 않죠.”


▲'문성희의 밥과 숨' 책 표지 이미지와 문성희 자연요리연구가가 직접 적은 글귀
▲'문성희의 밥과 숨' 책 표지 이미지와 문성희 자연요리연구가가 직접 적은 글귀

진정 깨달았다면 그대로 살 수 없다

책에서 문성희는 인생의 40년, 그러니까 절반 이상의 시간을 자신이 이번 생에 가지고 온 카르마(karma, 업)를 해결하는 데 보냈다고 술회한다. 아울러 부모가 남긴 유·무형의 빚을 갚고, 자신의 생존에 대한 의무와 자식을 키워야 하는 책무까지, 그 모든 것으로부터 해방되어야만 진정한 자유인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여러 사건이 있겠지만 모두 내가 감내해야 하는 카르마의 굴레죠. 사실 그건 카르마이기도 하지만 배움이기도 해요. 내가 사는 이 인생은 학습의 장이거든요. 삶을 통해서 성취하고, 성장하고, 배우고 결국 전인적인 존재가 되는 게 목표죠. 내 삶의 카르마, 즉 의무를 다했을 때 자유로울 수 있고요.”

이제는 카르마에서 벗어나 홀가분하다며 미소 짓는 그의 얼굴에 ‘자유’라는 두 글자가 아른거렸다. 자연스레 ‘자유란 무엇인가?’라는 화제를 던졌다. 이에 그는 지천명(知天命)이 되고 나서야 진정한 자유를 알았다고 말했다.

“질서를 벗어난 자유는 없더라고요. 사람은 혼자 살 수 없잖아요. 상대에 대한 배려 없이 혼자 마음대로 하고 싶은 걸 다 한다고 자유로운 건 아니거든요. 세상의 질서 안으로 들어가되, 그 속에서 얽매임을 느끼지 않는 것이 진정한 자유라는 걸 깨달았어요.”

문성희가 나눈 인생의 깨달음에 감명하고, 동의하며 그와 같은 삶을 동경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그들 대부분은 실천이 어렵다고 털어놓는다.

“내 삶을 부러워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원한다면 이렇게 한번 살아보라 말해요. 그럼 직장이 어떻고, 자식이 어떻고 이래저래 안 되는 이유를 대요. 그땐 기다리라고 얘기하죠. 정말 마음이 그렇게 살지 않으면 못 살겠다고 느껴질 때 선택하면 되거든요. 그렇지 않다는 건 지금의 삶이 그 사람에겐 최적이라는 거예요. 행동이 변하지 않는다는 건, 그저 ‘지식’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죠. 그 깨달음을 정말 이해하고, 통했을 때는 도저히 그대로 살 수가 없어요. 지식이 아니기 때문에 잊히지도 않죠. 그러면 삶의 형태가 자연스럽게 바뀌게 마련이에요.”


▲문성희 자연요리연구가(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문성희 자연요리연구가(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내가 있어야 우주도 존재한다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상황에 얽매이지 않는 그는 종종 우주과학 영화를 보며 영감을 얻는다고 했다. 직접 가볼 수는 없지만 영상을 보는 것만으로도 우주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혹자는 광활한 우주와 비교했을 때 인간은 티끌처럼 미미한 존재라 여긴다. 그러나 이에 문성희는 “극히 단순한 것과 극히 광활한 것은 일맥상통한다”며 이야기를 뒤집는다.

“아무리 큰 우주라도 봐주는 관찰자가 없다면 아무것도 아닌 거예요. 그 우주를 봐주는 게 바로 나잖아요. 내가 있어야 우주도 존재하는 거죠. 그러니 나라는 존재가 얼마나 대단해요? 우주로서는 자기를 봐주는 인간이 너무나 고맙고 소중할 수 있죠. 내가 해와 달을 보고, 그들이 기뻐하는 걸 느낄 수 있을 때, 내 존재가 굉장히 고양되는 경험을 할 수 있어요. 우주 만물이 수없이 많지만, 내가 있음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존재한다는 것, 내가 없으면 모든 게 다 사라진다는 것, 그걸 느끼는 내가 있다는 것, 그게 바로 존재의 의미 아닐까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일본식 케어의 핵심은 공격적인 재활과 근거 있는 돌봄”
    “일본식 케어의 핵심은 공격적인 재활과 근거 있는 돌봄”
  • 유튜브 진출 선언 김경식, “시니어 세대를 위한 이야기꾼 되고파”
    유튜브 진출 선언 김경식, “시니어 세대를 위한 이야기꾼 되고파”
  •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말하는 현명한 노후, “여생엔 ‘과학’하세요!”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말하는 현명한 노후, “여생엔 ‘과학’하세요!”
  • 세계 리더들에게 묻다… 권력의 맥 짚는 스토리텔러, 김지윤 박사
    세계 리더들에게 묻다… 권력의 맥 짚는 스토리텔러, 김지윤 박사
  • 뮤지컬 배우 서영주, “오직 뮤지컬만” 우직함으로 채운 33년
    뮤지컬 배우 서영주, “오직 뮤지컬만” 우직함으로 채운 33년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