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끝별 시인 "크리스마스에 엄마가 생각난다면, 나이가 들었다는 것"

기사입력 2018-12-17 12:09 기사수정 2018-12-17 12:09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삶은 소금처럼 그대 앞에 하얗게 쌓인다'

오래전부터 ‘나이 듦’을 주제로 책을 엮고 싶었다는 정끝별(54) 시인·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컴퓨터 바탕화면 속 ‘늙음’이라는 폴더에는 그 날것의 이름에 어울림직한 시들이 차곡차곡 쌓였다. 그리고 50대 중반이 되었을 즈음, ‘지금이야말로 나이 듦을 이야기할 최적기’라 느꼈다. 청년기엔 늙음을 막연히 멀리 볼 것만 같았고, 노년엔 너무 자신의 늙음에 매몰돼 객관적인 시선을 가질 수 없으리라 여겼기 때문이다. 젊음과 늙음의 경계인 중년을 사는 현재, 그는 ‘삶은 소금처럼 그대 앞에 하얗게 쌓인다’를 통해 나이 듦에 대한 오래된 생각들을 꺼내보려 한다.


▲정끝별(54) 시인·이화여자대학교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정끝별(54) 시인·이화여자대학교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단번에 주제가 연상되지는 않았지만 분명 인상적인 책 제목이었다. 그리고 정 시인의 입에서 함축된 의미가 하나씩 풀렸을 때, 나이 듦을 이야기하기에 더없이 좋은 표현이라는 걸 알았다.

“흔히 삶을 ‘고해(苦海)’, 고통의 바다라고 하죠. 바닷물을 사나흘 햇빛에 말려야 소금이 얻어져요. 그렇게 비유해본다면, 우리는 바다처럼 넓고 막막한 삶 속에서, 내리쬐는 햇빛 같은 고통의 시간을 견뎌야만, 소금처럼 귀한 삶의 결정체를 남길 수 있어요. 소금은 음식의 맛도 더해주지만 썩지 않게 하는 방부제 역할도 하죠. 살면서 어떠한 경험을 통해 얻은 산물은 인생을 살맛나게 하고, 부패하지 않도록 해줘요. 나이가 들수록 백발처럼 하얀 소금은 계속 쌓일 테고요. 또한 그 삶은 혼자가 아니기에 ‘그대’라고 호명함으로써 관계 속에서 더불어 산다는 것을 의미해요.”

책을 읽으면서 ‘시로 말하는 웰다잉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삶과 죽음은 다르지 않다’는 메시지가 큰 축을 이루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웰다잉도 웰빙처럼 젊은 시절부터 해나갈 것을 조언한다. 정 시인 역시 같은 맥락에서 “노인만을 위한 도서가 아니다”라며 세대를 불문하고 함께 읽으며 나이 듦을 고민해보길 바랐다.

“늙음과 죽음은 이미 받아놓은 밥상 같은 거예요. 나이 듦을 성찰할 때 젊은이는 노년을 이해하고, 노인은 늙음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젊은 세대를 인정하게 되죠. 무엇보다 나부터 그런 나이 듦에 대해 익숙해지고 싶었고요.”

정 시인은 늙음과 죽음이 주는 슬픔을 인정하면서도, ‘늙은 꽃’이 존재하지 않듯 살아 있다면 여전히 꽃임을 잊지 말라고 당부한다. 노년의 부정적인 면이 있지만 긍정적으로 여길 부분도 분명 있다는 얘기. 현재 중년인 그가 느끼는 삶은 어느 쪽에 가까울까?

“나름은 ‘나는 꽃이야’라고 생각하려 해요. 그러나 그건 관념적이고, 그냥 그렇게 인식하고 싶은 거죠. 현실은 부정적이에요. 늙음이란 결코 아름답지 않고, 짐스러운 거구나, 고집이 생기고 과거에 몰입되는 거구나, 그리고 그걸 모르는 거구나! 그렇게 자신을 모르고 살 때 늙었다고 생각해요. 내가 꽃이라고 여기는 주관과 진짜 꽃을 달고 나가는 건 다르잖아요. 마음은 늘 꽃이지만, 어떤 상황에 따라서는 ‘늙은 꽃’인 척해야 하거나, 더 이상 꽃이 아니라는 걸 보여줘야죠. 잘 늙으려면 유연성을 갖고 품이 넉넉해져야 할 것 같아요.”


▲정끝별 시인의 '삶은 소금처럼 그대 앞에 하얗게 쌓인다'와 직접 적은 글귀
▲정끝별 시인의 '삶은 소금처럼 그대 앞에 하얗게 쌓인다'와 직접 적은 글귀

나의 늙음을 자각하는 순간들

20대 두 딸의 엄마로서, 그리고 대학교수로서 그는 젊은 세대와의 소통 기회가 잦은 편이다. 거울을 보는 것보단 오히려 마냥 예쁜 그 아이들을 볼 때 자신의 늙음을 체감한다고. 싱싱했던 과일이 말라도 형태만 달라질 뿐 본질에는 변함없듯, 노화로 인한 외모 변화는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단다. 그러나 소통에서 느끼는 세대 차이는 내면의 나이 듦을 절절히 자각하게 했다.

“딸들이랑 대화하다 보면 ‘나는 항상 열려 있는데 저들은 왜 나한테 쉴드를 치지?’, ‘왜 나를 꼰대라고 하지?’라는 생각이 들어요. 젊음을 이해할 수 없거나, 그들과의 벽이 느껴질 때 늙음을 인식하죠. 딸이 언젠가 ‘엄마는 자기가 다 옳다고 생각하는 게 문제’라고 하더군요. 그때 깨달았어요. 과거 20대였던 30여 년 전 나의 가치관으로 현재의 20대에게 조언하는 건 옳지 않구나. 나이 들수록 입은 닫고 지갑은 열라는 말처럼, 과거인 나의 말은 적게 하고, 현재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겠다 싶었죠.”

정 시인은 책에서 ‘크리스마스에 어머니가 생각난다면 철이 들었다는 거다. 늙었다는 거다’라며 늙음을 자각하는 또 다른 사례를 들었다. 젊은 기자로서는 그 심정을 헤아리기 어려웠다. 그가 표현하려는 감정은 무엇이었을까?

“젊을 때는 크리스마스에 뭔가를 채우고 싶어 하죠. 애인과 사랑을 하거나 친구들과 파티를 하며 들뜨고 설레고. 그러다 자식을 낳으면, 그 아이를 채워주려고 해요. 저도 딸들이 어릴 때는 트리 만들고 선물 사느라 바빴으니까요. 그러고 나면 어느 순간에는 그 아이들이 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시점이 와요. 뭔가 할 일이 있어야 할 것만 같은 크리스마스에 아무것도 하지 않을 때, 비로소 엄마 생각이 나는 거죠. 늘 소중하게 여기지만, 자칫 다른 것들에 밀려나기 쉬운 짠한 존재잖아요. ‘내 영순위를 너무 미뤄놨구나’, ‘엄마도 쓸쓸했겠구나’ 깨달으며 철이 들고, 자신도 그때의 부모처럼 늙었음을 인식하는 거죠.”

인터뷰 동안 정 시인에게서 들은 노년의 감정은 슬프고 측은했다. 나이 듦에 대해 논하며 다소 식상한 질문이지만 늙어서 좋은 것은 없는지 물었다.

“그럴싸한 얘기를 해줘야 하는데(웃음) 과연 좋은 게 있을까요? 애써 ‘나는 꽃이야’ 하는 격인데, 솔직한 생각은 뭐든 젊음이 좋아요. 더 많은 미래의 시간을 확보한 것만큼 멋진 일이 어디 있어요. 희망이고 가능성이잖아요. 그렇다고 ‘다시 20대로 돌아갈래?’라고 물으면 안 갈 것 같아요. 젊은 시절 느꼈던 미래에 대한 불안과 멀미, 그건 공포였어요. 나이 들어 좋은 건 안정감일 듯해요. 내가 살아온 만큼의 규모에 맞게 내 삶이 세팅됐고, 크게 바뀔 것 같지 않거든요. 풍족하면 풍족한 대로,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평온함을 느끼죠.”


▲정끝별(54) 시인·이화여자대학교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정끝별(54) 시인·이화여자대학교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내가 꿈꾸는 ‘강원남도 두천’

그는 나이 들어 얻는 평안함은 그만큼의 대가를 치른다고 했다. 외모는 무너지고, 정신은 둔해지고, 관계는 줄어들고. 그러나 그 시간을 고독하게 느끼기보다는 오롯이 자연인으로서의 삶을 즐기길 권했다.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강원남도 두천’을 꿈꾸며 말이다.

“강원남도 두천은 지도에는 없는 지명이에요. 누구나 삶이 너무 힘들 때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어디론가 도망가고 싶잖아요. 저에게 강원남도 두천은 오로지 시인으로 사는 곳이었어요. 딸들이 성인이 되고 엄마로서 어느 정도 의무는 덜었고, 더 지나면 교수직도 물러나야죠. 그쯤엔 꿈꾸던 것처럼 시를 써도 재미없거나 그 끝이 보일지도 몰라요. 그러다 어느 시점엔 시인의 삶도 아닌, 그저 날것의 인간으로 사는 삶, 정끝별이라는 이름도 없이, 성별도 없이… 어쩌면 그것이 죽음에 가까운 상태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정 시인은 “몸소 감소, 축소, 청소하지 않으면 늙음의 시간은 소굴이 되기 십상”이라 말한다. 다가오는 2019년, 그는 ‘말’을 줄여가고 싶다고 소망했다.

“젊어서는 철없이 얘기해도 주변에서 귀엽게 듣지만, 늙으면 딱 두 가지로 받아들여요. 권력이 들어갔을 때는 ‘폭력적인 언어’로, 그렇지 않으면 ‘잔소리’에 그치죠. 그런데 둘 다 의미 없는 말이잖아요. 특히 내가 권위가 있을수록 의도치 않더라도 그 말이 상대에게 강요가 되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줄이고 싶은 것이 한 가지 더 있다는 정 시인. 바로 ‘나답지 않은 것’이란다.

“내가 많이 컸구나, 힘이 생겼구나 느꼈던 순간이 ‘안 할래요’라고 거절했을 때예요. 나에게 주어진 역할들 때문에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일이 많았거든요. 계속 가면을 바꿔가면서 말이죠. 가끔은 지하철 유리창을 통해 바라보는 무표정한 낯선 얼굴이 내 본질이 아닐까 해요. 나다운 게 뭔지는 모르지만, 그런 가면들을 벗겨내고 하고 싶은 일들을 하며 살아가면 좋겠어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유튜브 진출 선언 김경식, “시니어 세대를 위한 이야기꾼 되고파”
    유튜브 진출 선언 김경식, “시니어 세대를 위한 이야기꾼 되고파”
  •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말하는 현명한 노후, “여생엔 ‘과학’하세요!”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말하는 현명한 노후, “여생엔 ‘과학’하세요!”
  • 세계 리더들에게 묻다… 권력의 맥 짚는 스토리텔러, 김지윤 박사
    세계 리더들에게 묻다… 권력의 맥 짚는 스토리텔러, 김지윤 박사
  • 뮤지컬 배우 서영주, “오직 뮤지컬만” 우직함으로 채운 33년
    뮤지컬 배우 서영주, “오직 뮤지컬만” 우직함으로 채운 33년
  • K-전통을 꿈꾸며… “근대를 품은 극장, 세계를 향한 춤”
    K-전통을 꿈꾸며… “근대를 품은 극장, 세계를 향한 춤”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