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언호 한길사 대표 '지적 정신의 오아시스, 서점으로 떠나는 여행'

기사입력 2017-08-07 12:06 기사수정 2017-08-07 12:06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세계서점기행

‘출판장인’으로 불리며 40년 넘게 ‘책’의 내실을 다지고 외연을 확대해온 한길사 김언호(金彦鎬·72) 대표. 지난해 자신의 이름으로 낸 <세계서점기행>에는 그가 세계 곳곳을 탐방하며 체감한 서점의 역량과 책의 존귀함이 담겨 있다. “서점은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의 숲이며, 정신의 유토피아”라고 이야기하는 그를 한길사의 복합문화공간 ‘순화동천’에서 만났다.


▲김언호 한길사 대표 (박규민 parkkyumin@gmail.com)
▲김언호 한길사 대표 (박규민 parkkyumin@gmail.com)

지난 4월 서울 중구 순화동에 문을 연 ‘순화동천(巡和洞天)’. 1970년대 한길사가 잠시 머물렀던 순화동의 인연과, 노장사상의 이상향을 뜻하는 ‘동천’의 의미가 담긴 공간이다. 김 대표는 서점, 카페, 박물관, 갤러리 등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이곳 역시 새로운 독서운동을 펼치는 문화의 장이라고 표현했다. 한편으로는 서점이 사라져가는 우리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희망으로 자리 잡길 바라는 마음이 서려 있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그는 시민들이 순화동천을 많이 찾고, <세계서점기행>을 꼭 읽어보길 권했다.


한 사회의 정신을 담은 풍경 ‘서점’

그의 이야기를 듣고 <세계서점기행>을 처음 마주했을 때 사뭇 놀랐다. 먼저 백과사전을 능가하는 크기와 두께부터가 예사롭지 않았다. 그리고 책을 스르륵 넘겨보았을 때 세계 서점의 모습을 담은 아름다운 사진에 매료됐다. ‘어느 작가가 찍었나?’ 하고 다시 책의 표지를 확인하니, ‘글·사진 김언호’라는 글자가 또렷했다. 단순히 기행을 위해 찍은 사진이라기엔 꽤 수준이 높아 그의 능력에 재차 감탄했다.

“사진을 찍은 지 오래됐어요. 처음에 시작한 계기는 내가 가는 곳, 즉 책이 존재하는 풍경을 기록해두기 위해서였죠. 도서관, 서점, 누군가의 서재 이런 게 다 책이 있는 풍경이자, 우리 사회와 개인의 정신이 담긴 풍경이니까요.”

순화동천에는 한길사에서 출판한 도서 3만여 권이 있다. 한 권 한 권마다 그의 땀방울과 열정이 스민 듯했다. “책은 머리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만드는 것”이라는 김 대표의 말처럼, 그는 예나 지금이나 혼신의 힘을 다해 책을 만든다. 그러나 세상은 조금 달라졌다. 지혜의 샘 역할을 했던 동네 책방은 하나둘씩 사라졌고, 책을 쥐던 사람들의 손에는 스마트폰이 껌딱지처럼 붙게 됐다.

“중장년의 젊은 시절, 1980년대는 책의 시대였어요. 모든 젊은이가 책을 들고 다녔죠. 크고 두꺼운 책도 마다하지 않았어요. 책을 읽으면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어떤 방법으로 민주적인 사회를 만들 것인가 등을 고민하고 토론했죠. 그 당시 책의 정신은 위대했고, 그게 한국 민주주의의 토대가 됐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요즘은 패스트푸드 같은 스마트폰에 빠져 쓸데없는 정보에 생각을 뺏기죠. 사람이 지식만 가지고는 안 돼요. 책을 통해 깊은 지혜를 얻어야 지혜로운 사회가 되고, 창조적인 발상이 가능해지죠.”


▲김언호 한길사 대표 (박규민 parkkyumin@gmail.com)
▲김언호 한길사 대표 (박규민 parkkyumin@gmail.com)

독서는 삶의 필요충분조건

<세계서점기행>은 600페이지가 넘지만, 사진과 글자가 크기 때문에 읽는 데 부담이 없었다. 종이책을 한 장 한 장 넘기는 손끝에서 감칠맛이 느껴지는 신선한 경험이랄까. 전자책으로는 느낄 수 없는 매력이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전자책이 대중화되며, 현대인은 종이책과 점점 멀어지고 있다. 김 대표는 이러한 현상이 독서력과 사유의 시간을 줄게 만들었다며 우려했다.

“과거 종이책을 많이 읽던 시절에는 깊은 사유가 가능했어요. 현재 우리 사회가 경계해야 할 문제는 사유의 천박성이에요. 스마트폰에 의존해 쓸데없는 정보를 과하게 섭취하고 있어요. 지식이라는 건 축적이 돼야 지혜가 되는데, 스마트폰이 주는 지식은 휘발적이거든요. 자꾸 짧은 글만 읽으려 하죠. 물론 스마트폰이 유용하지만, 필요조건에 불과하지 충분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해요. 종이책을 통한 독서는 삶의 필요충분조건이죠. 책을 읽지 않는다고 당장 무슨 일이 생기는 건 아녜요.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 때 언젠가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죠.”

그는 아이의 손을 잡고 서점에서 책을 고르는 어른의 모습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또 그런 이들이 찾을 수 있는 크고 작은 서점이 많아지길 소망한다. 김 대표는 최근 지인들에게 그동안 읽었던 책들로 ‘사랑방서점’을 열어보자고 권유에 나섰다.

“<세계서점기행>을 읽으면 서점에 가고 싶고, 또 자기 책방을 하나 차리고 싶어져요. 책을 보고 서점을 내겠다고 결심한 사람들이 생겼어요. 한 가지 염두에 둘 건, 들여놓는 책들이 특정한 주제의 신간이어야 한다는 점이에요. 학습지나 참고서 같은 걸 팔면 그건 가게죠. 서점 한 편을 카페 공간으로 만들면 토론이나 문화의 장으로 훌륭하게 활용할 수 있어요. 그런 작은 서점들이 늘어나면 새로운 차원의 문화운동이 될 수 있다고 봐요.”

김 대표는 서점을 내려는 이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기 위해 순화동천을 기획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그렇기에 순화동천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굳은 의지를 보였다.

“순화동천 같은 지적 사랑방은 하나만으론 부족해요. 동네마다 곳곳에 생겨나야죠. 번쩍거리는 네온사인만 있다고 해서 도시가 아닙니다. 밤늦게까지 불을 켜놓는 책방, 그 옆에 자그마한 찻집 등 다양한 문화예술 시설이 공존해야죠. 그중에서도 서점은 한 사회의 정신을 유지해주는 실핏줄 같은 존재이자 지적 정신의 오아시스 같은 공간입니다.”

▲<세계서점기행> 책 표지(한길사 제공)
▲<세계서점기행> 책 표지(한길사 제공)

▲김언호 대표가 직접 쓴 글귀
▲김언호 대표가 직접 쓴 글귀


서점에서 사는 한 권의 아름다움

그는 책을 쓰고, 만드는 일만큼 책을 구입해서 읽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애써 서점을 열더라도 책을 사가지 않는다면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또, 책과 서점을 대하는 배려가 뒤따라야 한다고 조언했다.

“충북 괴산에 있는 한 서점은 들어가면 책 한 권을 꼭 사도록 의무화했대요. 그게 옳은 일 아닌가요? 서점의 책은 공공재입니다. 아무렇게나 만지고 훼손하면 팔 수 없는 헌책이 돼버려요. 내 물건이 아니잖아요. 그럼 소중하게 다뤄야 하는데, 우리에겐 그런 문화가 안 돼 있죠. 서점에서 책 보고 화장실 간다고 따로 돈 받지 않잖아요. 그럼 그건 주인 부담인데, 책이며 물이며 휴지며 너무 함부로 쓰고 있어요. 책방을 하는 분들이 참 많이 속상해해요.”

김 대표는 줄곧 책을 ‘아름답다’고 표현했다. ‘책의 미학’을 중요시하는 그에게 책은 더없이 귀한 존재다. 그런 자신의 마음처럼 우리 시민이 책을 아끼고 소중하게 대하길 바라는 것이다. 물론, 아름다운 한 권의 책을 만들기 위한 그의 노력은 끊임없다.

“책은 내용도 중요하지만 형식도 중요해요. 형식이라는 건 결국 미학적인 거잖아요. 우리뿐만 아니라 누구든 책을 만드는 사람이라면 책을 더 아름답게 만들려고 해야 해요. 책이 아름다워야 그 내용도 돋보이지만, 그래야 더 마음에 담을 수 있기 때문이죠. 한 권의 책을 독자의 가슴에 품게 하는 것, 그게 바로 출판장인의 일이라 생각합니다.”

▲김언호 대표가 추천하는 한길사 도서 4選
▲김언호 대표가 추천하는 한길사 도서 4選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65세 이상 노인 인구 1천만 명 돌파… 대한민국 20%는 ‘노인’
    65세 이상 노인 인구 1천만 명 돌파… 대한민국 20%는 ‘노인’
  •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초고령화 실험실, “노인 혐오 경계해야”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초고령화 실험실, “노인 혐오 경계해야”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IT 경력자만 가능? “중장년 인식 바뀌었죠”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IT 경력자만 가능? “중장년 인식 바뀌었죠”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으로 침구 산업 재도약 꿈꿔”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으로 침구 산업 재도약 꿈꿔”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