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사 우종영, 자기 하늘을 가진 나무는 스스로 멈출 줄 안다

기사입력 2019-11-15 08:54 기사수정 2019-11-15 08:54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나는 나무에게 인생을 배웠다'

밤하늘의 별을 보며 천문학자가 되고 싶었던 소년은 색약 판정으로 꿈을 저버리고 만다. 절망으로 보낸 질풍노도의 시기, 그를 붙잡아준 건 한 그루의 나무였다. 어떤 악조건에도 가지를 뻗어가는 나무가 보여준 단단한 삶의 태도. 그렇게 얻은 인생의 가르침을 보은으로 여기며 우종영(禹鍾榮·64)은 아픈 나무들을 위해 나무의사가 됐다. 어느덧 인생 후반, 나이가 들수록 제 속을 비우고 작은 생명들을 품는 고목을 보며 그는 다짐한다. 남은 날들을 꼭 나무처럼만 살아가자고.


▲나무의사 우종영(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나무의사 우종영(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나무의사 우종영은 그동안 나무로부터 얻은 삶의 지혜와 깨달음을 나누고자 에세이 ‘나는 나무에게 인생을 배웠다’를 펴냈다. 20년 전 출간한 ‘나는 나무처럼 살고 싶다’와 메시지는 비슷하지만, 중년 이후 인생의 깊이가 더해지며 한층 더 성숙해진 모습이다.

“사르트르가 이런 말을 했어요. ‘자연은 늘 우리에게 말을 걸어온다. 그 말을 번역하는 것은 인생의 경험이다.’ 나무뿐만 아니라 어떤 생명이든 우리에게 말을 걸고 표정을 짓는데, 그건 저마다의 경험에 비춰 해석하게 된다는 거죠. 연륜이 쌓인 만큼 자연이나 사회를 대하는 시각과 깊이가 달라졌어요. 나무를 바라볼 때도 단순히 특성보다는 그 품성을 이해하려 하고요.”

그는 누군가를 만날 때면 줄곧 그이와 닮은 나무를 떠올리곤 한다. 전에는 겉으로 보이는 성향을 두고 비슷한 나무를 찾았다면, 이제는 사람과 나무가 지닌 사연과 태도에 주목한다. 그러면서 ‘스스로 닮고 싶은 나무’에 대한 생각도 달라졌단다.

“한때는 소나무를 닮아야지, 대나무를 닮아야지 그랬다면, 이제는 꼭 어떤 나무를 정하지 않아요. 가령 산에 가면 바위틈에 자라는 작은 팥배나무를 볼 수 있는데, 이 나무가 산 아래 계곡에서 뿌리를 내리면 어마어마한 거목이 돼요. 그러니 산에 있던 팥배나무는 자신이 뿌리내린 곳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의 본성을 억제한 거죠. 그래야 살아남을 수 있으니까요. 우연히 만난 팥배나무에게 인내와 강인함을 발견하듯, 요즘은 그때그때 마주치는 나무들의 품성을 본받고 싶다는 마음이 들어요.”


▲우종영의 '나는 나무에게 인생을 배웠다'의 표지와 그가 직접 적은 글귀
▲우종영의 '나는 나무에게 인생을 배웠다'의 표지와 그가 직접 적은 글귀

높아질수록 뿌리와는 멀어진다

척박한 땅에서도 하늘을 바라보며 자라던 나무들은 어느 순간 성장을 멈추기 시작한다. 계속 자라기만 하면 하늘에는 가까워져도 뿌리와는 멀어져 양분이 고갈되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성장을 멈추는 것이다. 그는 나무가 멈춤의 시기를 갖는 데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드론으로 위에서 찍은 숲 사진을 보면 나무들의 키가 거의 일정합니다. 그건 숲에 사는 나무 간의 약속이에요. 한 나무가 자라면 또 다른 나무도 더 자라려고 경쟁을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공존을 위한 동맹을 맺는 겁니다. 그에 반해 인간 사회는 경쟁이 난무하죠. 과도한 욕심을 버리고, 더불어 살기 위해 스스로 멈출 줄 아는 나무의 자세는 우리가 배울 점이라 생각해요.”

이러한 나무의 성장과 멈춤은 ‘우듬지’가 조절한다. 우듬지란 나무 맨 꼭대기의 줄기인데, 하늘을 향해 수직으로 자라게 하는 동시에 아래 가지들이 제멋대로 뻗는 것을 통제한다. 인간으로 따지면, 우듬지는 곧 삶의 구심점이자 목표, 방향 등에 비유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우듬지는 나무가 나이를 먹을수록 점차 소멸한다. 그는 자신 역시 우듬지가 거의 사라진 상태라며, 그것이 순리에 맞다고 설명했다.

“젊을수록 우듬지는 왕성하죠. 일종의 줏대이기도 하고, 때론 희망이나 꿈의 역할을 하니까요. 그러나 나무가 우듬지를 소멸시키듯, 사람도 나이가 들면 스스로 멈춰야 할 때를 알아야 해요. 과거와 똑같이 경쟁하고, 벌고, 쓴다는 건 무리입니다. 덜 경쟁하고, 덜 벌고, 덜 쓰면서 그 안에서의 행복을 찾아야죠. 나무는 자신에게 필요한 햇빛을 쬘 만큼의 하늘만 확보되면 더는 욕심부리지 않습니다. 삶의 가치를 발견하고 그것에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그런 자기만의 하늘을 가진 거라고 봐요. 그땐 우듬지가 사라져도 길을 잃거나 방황하지 않죠.”

그는 나이가 들수록 우듬지보다는 ‘틈’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역시 나무에게서 얻은 깨달음이란다.

“오래된 숲일수록 적당한 틈이 존재합니다. 어른 나무들이 빽빽하게 들어찬 숲에 틈이 없다면, 키 작은 어린 나무들은 햇볕을 쬘 수 없잖아요. 그보다 더 아래에서 사는 풀이나 꽃, 곤충 등은 더 심할 테고요. 숲에 틈이 있어야 빛이 들고, 새로운 희망이 자랄 수 있는 겁니다. 큰 나무는 그런 틈을 내어줍니다. 동시에 어린 생명들이 안전하게 자라도록 비바람과 눈보라를 막아주는 버팀목 역할도 해주죠. 우리네 인생에서도 이런 큰 나무 같은 어른이 많아져야 합니다.”


▲나무의사 우종영(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나무의사 우종영(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수목장의 불편한 진실

마지막 순간까지 주변을 보듬고 살다 미련 없이 흙으로 돌아가는 나무처럼, 그는 자신의 인생 말미 또한 그러하길 바라고 있다. 그렇게 삶의 끄트머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중 그는 수목장과 관련해 한마디했다. 친환경적인 장례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자연의 입장에서 보면 가혹한 행위라며 우려를 내비쳤다.

“대개 나무 아래 유골함을 묻는 방식인데, 그러면 뿌리가 다칠 수밖에 없어요. 뿌리가 상한 나무는 오래 살 수가 없습니다. 나무에게도 고인에게도 불편한 상황이 벌어지는 거죠. 수목장이 발달한 스웨덴은 ‘회상의 숲’을 만들어 운영해요. 우리와 다르게 지정된 숲에 유골을 뿌리는 식이죠. 산골(散骨) 장소를 별도로 표시하거나, 숲에 들어가거나 꽃, 나무를 심는 것도 금지합니다. 유족이 그 장소나 식물을 망자의 흔적이라 여겨 집착하는 것을 막는 동시에, 자연을 훼손하지 않기 위함이죠. 또 나무 앞에서 추모하는 일도 없습니다. 대신 숲 둘레길 등을 걸으며 고인을 회상합니다. 그게 숲을 건강하게 지키면서 고인을 편안히 모시는 길이라 여기는 겁니다.”

어떻게 사느냐와 더불어 어떻게 죽느냐까지 고민해야 하는 세상. 그는 웰다잉의 한 방법으로 ‘나무 심기’를 제안했다. 물론 나무의사로서의 당부도 잊지 않았다.

“나무를 심고 10년만 지나면 그 그늘 안에서 책을 읽고 쉴 수 있습니다. 여유 땅이 있다면 나무를 심어보길 권해요. 이때 내가 좋아하는 나무보다는 그 땅을 좋아할 나무, 내가 심고 싶은 곳보다는 나무가 잘 자랄 수 있는 위치를 골라야 건강하게 잘 키울 수 있습니다. 나무의 생명력은 인간의 수명을 뛰어넘죠. 우리 세대의 손으로 키운 나무들이 먼 훗날 후손들에게도 위안과 지혜를 준다면, 그보다 더 가치 있는 일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카드뉴스] 브라보 PICK 욜드족⑤ 57세 올드 셔플맨
    [카드뉴스] 브라보 PICK 욜드족⑤ 57세 올드 셔플맨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막막했던 은퇴 이후 삶, 전직 성공한 비결은?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막막했던 은퇴 이후 삶, 전직 성공한 비결은?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300번 넘어져도 301번 일어서는 오뚝이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300번 넘어져도 301번 일어서는 오뚝이
  • [카드뉴스] 브라보 PICK 욜드족④ MZ세대 못지않은 복근
    [카드뉴스] 브라보 PICK 욜드족④ MZ세대 못지않은 복근
  • 원미동 사람들과 주치의의 동행 “따뜻한 돌봄 만들고파”
    원미동 사람들과 주치의의 동행 “따뜻한 돌봄 만들고파”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