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일 교수 "초연결시대, 노년의 지혜와 현대 과학이 융합할 때"

기사입력 2019-05-03 16:41 기사수정 2019-05-03 16:41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오늘도 나는 과학을 꿈꾼다’

2019년은 국제주기율표의 해다. 학창 시절 누구나 한 번쯤 외워봤을 주기율표가 탄생한 지도 어느덧 150년. 최초의 주기율표에는 60여 개의 원소뿐이었지만, 수많은 과학자의 노력으로 오늘날 118개의 원소가 채워졌다. 그리고 올해로 박사학위를 받은 지 50주년이 된 세계적인 화학자 진정일(陳政一·77)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한 소년의 꿈으로 시작된 과학자의 길은 수많은 청소년의 꿈이 되어 우리나라 과학사의 면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오늘도 나는 과학을 꿈꾼다'를 펴낸 진정일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오늘도 나는 과학을 꿈꾼다'를 펴낸 진정일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아이들이 과학자를 꿈꾸길 바라며 ‘진정일 교수의 교실 밖 화학 이야기’, ‘진정일 교수가 풀어놓는 과학 쌈지’ 등을 펴내온 진정일 교수. 줄곧 청소년을 위해 집필해온 그가 폭넓은 독자를 대상으로 한 ‘오늘도 나는 과학을 꿈꾼다’를 출간했다. 이번 책을 통해 독자들에게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무엇일까?

“2년 전 ‘제자들이 바라본 나’를 주제로 글을 엮어 ‘과학자는 이렇게 태어난다’를 펴낸 적 있는데, 이번엔 ‘내가 바라본 나’에 관해 직접 썼습니다. 학창 시절의 추억은 물론 교수로서, 가장으로서의 삶을 담아 중장년이 공감할 내용도 많지요. 책을 낼 때마다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까’ 고민하지만, 결국 내 의도보다는 ‘독자가 무엇을 읽고 얻느냐’가 중요한 것 같더라고요.”

누군가는 과학자로서 그의 철학에 감탄할 수 있고, 또 누군가는 학창 시절의 일화와 가족사랑에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책에는 진정일이라는 한 사람의 삶이 입체적으로 그려져 있다. 그는 제목 또한 이중적인 뜻을 지닌다고 설명했다.

“과학을 꿈꾼다는 건, 우리나라에 노벨상까지 거론될 수 있는 훌륭한 과학자들이 탄생했으면 하는 바람의 의미가 있고요. 또 한편으로는 말 그대로 실제 내가 과학을 꿈꾼다는 거예요. 농담 같겠지만 뭔가를 깊이 생각하면 꼭 꿈에 나타나더라고요. 며칠 전에도 제자들에게 이런저런 화학 연구에 대해 가르치는 꿈을 꿨어요. 깨자마자 얼른 적어뒀다가 잊어버리기 전에 애들에게 일러줬죠. 제자들이 ‘우리 선생님 정말 못 말려’ 그러더라고요.(웃음)”


▲진정일 교수가 쓴 글귀와 '오늘도 나는 과학을 꿈꾼다' 도서 이미지
▲진정일 교수가 쓴 글귀와 '오늘도 나는 과학을 꿈꾼다' 도서 이미지

융합적 사고를 통한 과학윤리

40여 년 동안 고려대학교 화학과와 융합대학원에서 후학들을 가르쳐오며 그가 전수한 것은 과학적 지식만이 아니었다. 진 교수는 ‘자신을 행복하게 하는 가치 있는 일을 찾길’ 강조하며 그 일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서도 탐구해보길 권했다. 그는 자칫 행복만을 추구하면 쾌락의 길로 빠지기 쉽다고 염려하면서, 특히 과학자는 ‘과학윤리’를 함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과학윤리라는 건 좁게 보면 논문 표절이나 아이디어 도용 등의 행위에 언급되는데, 넓게는 우리 사회와 인류의 문제까지 적용됩니다. 과학의 발전으로 삶의 질은 높아졌지만, 그 부작용도 늘어나고 있지요. 가령 내가 연구해온 플라스틱 분야도 그것이 일상을 편리하게 했지만, 최근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자주 언급되는 걸 보면 정말 우려스러워요. 그러니 재활용 기술 등을 더불어 연구해야 합니다. 아인슈타인이 발견한 특수상대성이론 공식(E=mc²)도 훗날 원자폭탄 문제에 영향을 주리라곤 예측 못했겠지요. 이렇듯 과학자는 설령 자신의 행복을 위한 일일지라도 그것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력까지 고민하고 고려해야 합니다.”

진 교수는 과학윤리 의식을 지니기 위해서는 ‘융합적 사고’가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쉬운 예로 비빔밥을 ‘혼합’, 잘 익은 김치를 ‘융합’에 비유했다. 숙성된 김치는 여러 재료가 한데 어울려 ‘발효’라는 과정을 통해 맛을 내기 때문이다. 이렇듯 다각적 시선으로 한 가지 현상을 폭넓게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기술이 발달할수록 학문이 세분화하고 있어요. 같은 과 후배들하고도 대화가 안 통해요. 화학 안에서도 서로 분야가 다르니까요. 인류의 문제는 날로 복잡해지는데 각자 시선으로만 바라보면 어떻게 해결할 수 있겠어요. 요즘 초연결시대라고 하지만, 인터넷만 된다고 소통이 잘되는 건 아니잖아요. 한 예로 근래 러시아에서 운석이 떨어져 큰 인명피해가 난 적이 있어요. 당시 운석이 떨어진다, 폭발이 엄청날 거다, 사람들이 다칠 거다 등 다양한 위험 상황을 예측했음에도 ‘어떻게 피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주는 사람은 없어 재난을 겪고 말았지요. 이렇듯 전체를 바라보는 태도, 과학뿐 아니라 인문사회학적으로도 융합하는 사고를 지녀야 초연결시대에 참다운 소통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오늘도 나는 과학을 꿈꾼다'를 펴낸 진정일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오늘도 나는 과학을 꿈꾼다'를 펴낸 진정일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중장년이 과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

아마 대부분 중장년은 그의 이야기를 젊은 세대를 향한 조언으로 여길 것이다. 그러나 진 교수는 노년의 지혜와 현대 과학 지식의 융합이야말로 우리 사회를 이끄는 데 꼭 필요한 덕목이라 강조했다.

“중장년은 우리 사회와 가정의 지도자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한 사회와 가정을 이끌어가는 사람이 과거 지식이나 인습에만 머문다면 과연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을까요? 노인은 지혜롭지만, 현대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신지식이 뒤떨어지면 결국 세대 간 소통은 물론 복합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해야 할 일들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새로운 지식 습득을 위해 젊은 시절보다 독서량이 늘었다는 진 교수. 다양한 장르의 책을 섭렵하면서도 빼놓지 않고 읽는 것이 있으니, 바로 대학교 1학년 ‘일반화학’ 교재다. 해를 거듭하며 개정되는 ‘일반화학’을 통해 학문의 기본을 되새기는 동시에 교육의 흐름까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는 가끔 괴리감을 갖는다고 했다. 교재의 수준은 꽤 높아졌지만, 다루는 지식이나 학생들의 수준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 진 교수는 ‘창의성 결핍’이 문제라 지적했다.

“창의력을 키워야 한다는 게 우리 교육의 화두입니다만 그 방법에 대해서는 저 역시 고민이 많습니다. 그동안 제가 느끼고 공부한 바에 의하면 창의성이란 꼭 새로운 것의 창조를 뜻하지는 않습니다. 그보다는 전혀 무관한 사물들 사이에서 남이 보지 못했던 연결성을 찾음으로써 창의력이 발현된다고 생각해요. 기존의 것들에서 새로운 관계를 발견하는 거죠. 그런 연결성이 창의적 사고에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그는 실제 ‘진정일 교수, 時에게 과학을 묻다’, ‘진정일 교수, 소설에게 과학을 묻다’ 등을 통해 과학과 문학을 연결 짓는 창의적 시도를 해왔다. 요즘도 과학의 새로운 연결고리를 찾는 일이 즐겁다는 진 교수다. 과학이라는 말만 나오면 쌈지 풀어 헤치듯 흥미로운 이야기를 펼치는 그의 모습에서 ‘천생 과학자’의 면모를 발견할 수 있었다.

“최근 관심을 두고 있는 건 ‘DNA의 자기(磁氣)적 성질’이에요. 이 역시 서로 다른 두 요소의 융합이라 볼 수 있지요. 요즘엔 이게 자꾸 꿈에 나타나고 그러네요.(웃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일본식 케어의 핵심은 공격적인 재활과 근거 있는 돌봄”
    “일본식 케어의 핵심은 공격적인 재활과 근거 있는 돌봄”
  • 유튜브 진출 선언 김경식, “시니어 세대를 위한 이야기꾼 되고파”
    유튜브 진출 선언 김경식, “시니어 세대를 위한 이야기꾼 되고파”
  •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말하는 현명한 노후, “여생엔 ‘과학’하세요!”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말하는 현명한 노후, “여생엔 ‘과학’하세요!”
  • 세계 리더들에게 묻다… 권력의 맥 짚는 스토리텔러, 김지윤 박사
    세계 리더들에게 묻다… 권력의 맥 짚는 스토리텔러, 김지윤 박사
  • 뮤지컬 배우 서영주, “오직 뮤지컬만” 우직함으로 채운 33년
    뮤지컬 배우 서영주, “오직 뮤지컬만” 우직함으로 채운 33년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