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광애(高光愛·80) 작가는 1958년 대학 시절 한국일보에 공채 1호 여기자로 입사하는 동시에 이화여대 18대 메이퀸으로 선발되며 그녀의 이름 석 자를 알렸다. 그로부터 1년 뒤, 회사를 그만둔 그녀는 영화평론가 임영의 아내로, 또 영화감독 임상수의 어머니로 불리며 살아왔다. 그렇게 자신의 명성은 잠시 내려놓고 평범한 주부로서의 삶을 살던 그녀가 50세가 되던 해, 우연히 읽게 된 폴 투르니에의 <노년의 의미>는 그녀의 인생에 회심의 일격을 가했다.
<아름다운 노년을 위하여>, <실버들을 위한 유쾌한 수다>, <나이 드는 데도 예의가 필요하다> 등을 펴내고, 한때 적(籍)을 두었던 한국일보에 칼럼을 연재하는 등 노년 전문 저술가로 활발히 활동 중인 고광애 작가. 이제는 누구의 아내, 어머니라는 말보다 자신의 이름으로 불리는 일이 더 많아진 그녀다. 그런 고 작가에게 중·장년 세대를 위한 추천 도서를 묻자, 아주 오래된 책 한 권을 소개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 40년 전에 나온 폴 투르니에의 책이에요. 나는 그때 당시 종로서적에서 나온 <자신과의 대화(Apprendre a Vieillir)>라는 제목의 낡은 책을 다시 읽고 있는데, 아마 지금은 찾기 어려울지 모르겠네요. 그러나 나의 제2인생을 만들어준 책이기 때문에 다른 이들에게도 권하고 싶어요.”
다행스럽게도 2년 전, <노년의 의미>라는 제목으로 같은 내용의 책이 나왔다. 그녀는 빛바랜 자신의 책과 기자의 새 책을 번갈아 보며 흥미로운 표정을 지었다. 같지만 서로 다른(?) 책을 읽은 두 사람이 동시에 궁금해한 단어가 있었으니, 바로 회심(回心)이었다.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 가장 감명받은 게 바로 ‘회심’에 대한 내용이었어요. 그동안 냈던 모든 책의 기본은 이 회심에 기초해서 썼다고 볼 수 있죠. 워낙 오래전에 번안된 거라 최근에 나온 것에는 어떻게 표현됐을까 궁금했거든요. 그런데 역시나 회심이네요.”
회심의 순간, 모든 것을 내려놓다
회심에 대한 그녀의 이야기를 듣지 않을 수 없었다. 고 작가는 50세가 되던 해를 떠올렸다.
“결혼을 일찍 한 편인데, 50세가 되니 큰아들은 장가가고, 작은아들은 군대 가고, 딸은 프랑스로 유학가고, 한순간에 아이들이 다 떠나가버리더라고요. 그때 같이 살던 친정어머니가 ‘얘, 저 사람(고 작가의 남편) 밥은 내가 해줄게. 너는 프랑스에 가서 딸내미 밥해주고 있어라’ 그러시는 거예요. 순간 드는 생각이 ‘내가? 나도 엄마처럼 자식 옆에 붙어서?’였어요. 정신이 번쩍 들더라고요. 지금까지 자식만을 위해 살았지만, 이제부터는 자신만을 위해 살아보겠다고 다짐했죠.”
포부는 넘쳤지만 ‘그럼 이제 어떻게 하나?’ 하는 걱정이 앞섰다. 요즘처럼 중·장년을 위한 교육센터나 프로그램이 없던 시절, 막연한 우려 속에 지내던 중 폴 투르니에의 책이 그녀의 손에 들렸다.
“책을 딱 읽는 순간, 그냥 탁 하고 꽂혔어요. 여기에 모든 해답이 있더라고요. 그중에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이 바로 회심이었어요. 노년이 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마음을 한번 돌려보는 태세 전환이에요. 지금까지 살아오던 대로 살지 말고, 새로운 시선과 태도로 삶을 바꿔나가야 한다는 거죠. 그때 내 상황에서는 회심이 절실했어요.”
책에서는 ‘삶의 방식을 바꾸는 게 간단한 일은 아니며, 타고난 성향에 따른 결정론을 깨뜨리기 위해서는 훌륭한 조언과 단호한 결심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그 이상이 있어야 한다’고 언급하며 내적인 변화를 일으킬 만한 사건, 즉 결정적인 전환점이 바로 회심이라 설명한다. 삶의 방식을 바꾸는 것은 어렵다. 더군다나 회심의 기회를 얻는 것 또한 쉽지 않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녀의 조언을 들어봤다.
“어느 날 갑자기 ‘회심해야지!’ 마음먹는다고 되는 게 아니에요. 회심이라는 것, 그것이 내 인생에 필요하다는 것을 아는 게 우선이죠. 그러다 보면 언젠가 그런 시기가 찾아왔을 때 더 빠르게 마음을 전환할 수 있어요. 나 역시 회심을 몰랐다면 고독했던 그 시간을 인생 1막의 연장선에서 생각할 수밖에 없었을 거예요.”
삶의 전환기를 겪으며 그녀가 시도한 것은 ‘명령권자의 위치에서 내려오기’였다.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지시하고 충고하던 타성을 모두 내려놓기로 한 것이다. 물론 그런 와중에도 노인으로서의 정서적 권위는 지키고자 했다.
“나이 들어 삶의 태도를 바꾸려면 젊은이들에게 충고를 강매하거나 존경심을 갈구하는 행위를 경계해야 해요. 평범한 주부인 나조차도 아이들에게 ‘그러는 거 아니야’라는 말이 입에 붙었더라고요. 그런 나를 자식들도 못마땅한 눈초리로 보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죠. 오히려 모든 것을 내려놓고 권위를 내세우지 않으면 저들이 아쉬워 먼저 찾아오는 때가 있을 거예요. 그때야말로 우리네가 아껴두었던 그 무엇, 바로 정서적인 권위를 지닌 채 귀한 조언 몇 마디 건네는 거죠. 그렇게 했을 때 존경심은 자연히 스밀 수 있다고 생각해요.”
죽음도 예습하면 두렵지 않아
회심의 순간을 맞이한 후, 그녀는 노년에 대한 책들을 섭렵하며 틈틈이 글을 써내려갔다. 그런데 어느 날, 작은아들인 임상수 영화감독이 어머니가 쓴 글들을 발견하고는 책으로 내보는 건 어떠냐고 제안했다.
“이런저런 글을 메모지에 써놨는데 아들이 그걸 보더니 ‘어? 이거 재미있네? 책으로 냅시다!’ 그러는 거예요. 그때 처음 워드를 배워서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꼬박 12년 만에 <아름다운 노년을 위하여>가 나왔어요. 그동안 두 아이 결혼 치르고, 산바라지하고, 손주도 키우고 하느라 온전히 글에만 매진할 수 없었죠. 그래도 책이 잘 팔려 12쇄까지 나왔는데, 이제는 너무 오래돼서 더는 인쇄하지 않기로 했어요.”
첫 책이 나온 지도 어언 20년이 지났다. 당시 62세였던 그녀는 스스로 자신이 죽는 나이를 77세라 언급했을 정도로 지금의 백세시대를 예측하지 못했다. 그러나 예나 지금이나 다가오는 죽음을 맞이하는 그녀의 모습에는 변함이 없다.
“노년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 책을 쓰다 보니, 결국 마지막에 죽음이 남더군요. 그때부터 죽음에 대한 책을 읽고 ‘삶과 죽음을 생각하는 회’ 모임이나 ‘메멘토모리’라는 죽음독서회도 다니며 깊이 고민했어요. 그러다 보니 오히려 ‘노년 생활을 어떻게 할까?’라는 문제는 간단한데, 죽음은 거창하더라고요. 누구나 겪어본 적이 없고, 알지 못하는 것이니까요. 영원한 암호와도 같은 죽음을 예습해본다는 심정으로 여전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어려운 과목도 예습을 해가면 더 수월하듯이, 죽음이란 무엇이고 어떤 마음으로 처신해야 하는지를 미리 준비하고 있기에 두려움을 덜 수 있었다는 그녀다.
인생 삼모작, 또 다른 청춘을 꿈꾸다
여든의 나이에도 그녀는 스마트폰으로 스케줄을 관리한다. 손바닥만 한 화면 속 달력에는 하루하루 일정이 빼곡하게 차 있었다. 오롯이 자신을 위한 일들로 채워온 덕에 풍요로운 인생 이모작을 지낸 그녀는 요즘 인생 삼모작을 준비하고 있다.
“지금은 인생 이모작 끄트머리쯤 와 있는 것 같아요. 요즘 글을 쓰는 게 예전보다 버거울 때가 있어요. 이제 칼럼을 쓰는 일이나 모임에 나가는 활동을 그만두어야 할 때가 왔지 싶어요. 스스로 멈춰야 할 때를 알아야 지혜로운 노인이 아니겠어요? 괜히 부여잡고 젊은이들 곤란하게 하면 안 되죠. 이만큼 나이를 먹고 나니 혼자 영화를 보든 무엇을 하든 신경 쓰는 사람이 없어요. 눈치 볼 사람도 없고. 관심 밖 인물이 된 건데, 거기서 오는 자유도 대단해요. 차차 모든 것을 내려놓고 완전한 해방, 자유를 누릴 때 인생 삼모작이 시작됐다고 봐야죠. ‘노년기란 젊음의 청춘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자기 세대에 맞는 청춘을 매번 새롭게 창조하는 것’이라는 들뢰즈의 말처럼, 나 역시 새로운 청춘을 창조하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