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 교수, 완벽하지 않음을 인정해야 성숙한 어른

기사입력 2019-04-08 08:37 기사수정 2019-04-08 08:37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고민이 고민입니다'

신경정신과 전문의로서 수많은 환자의 고민과 마주해온 하지현(河智賢·52) 건국대학교 교수. 그는 인생의 고민을 ‘중력’에 비유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늘 작용하는 중력처럼, 고민은 삶에 적당한 긴장을 주며 언제나 존재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고민 없는 삶’을 바라기보다는 ‘잘 고민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말한다. 마치 국·영·수 각 과목의 성적을 올리는 것이 아닌 ‘공부’를 잘하는 원리를 찾듯, 하 교수는 고민이라는 큰 주제의 해결 방법을 ‘고민이 고민입니다’에 담았다.

▲'고민이 고민입니다'를 펴낸 하지현 건국대학교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고민이 고민입니다'를 펴낸 하지현 건국대학교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나이가 들수록 고민의 무게는 점점 더해진다. 어른으로서 결정하고 책임질 일이 많아지는데, 가능한 한 좋은 방법을 찾아 잘 해내고 싶은 마음도 커지기 때문이다. 그렇게 ‘고민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다가 ‘답이 없다’는 생각이 들면 마음이 괴로워진다. 이러한 현상에 하지현 교수는 “결코 답을 못 찾아 고통받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상담을 해보면 중장년 세대는 대부분 이미 해결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그동안 겪은 직·간접경험을 통해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한다는 걸 충분히 끄집어낼 수 있는 시기이니까요. 문제는 갖가지 고민을 한데 뒤엉킨 채로 생각한다는 거예요. 하나하나 떼어서 보면 쉬운 고민조차도 모두 어려운 고민으로 여겨버리고 맙니다. 정말 답이 없다기보다는 여러 고민을 펼쳐놓고 해결할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거죠.”

그가 언급한 ‘공간’은 뇌와 마음의 여유를 뜻한다. 그럼 이 공간을 늘리면 고민은 잘 해결될까? 아쉽게도 뇌와 마음의 용량은 한계가 있다.

“뇌와 마음의 공간도 미니멀리즘이 필요합니다. 완벽주의자일수록 뭐든 중요하게 여겨 쉽게 못 떨쳐내는 성향이 강합니다. 때문에 중요도를 따지기보다는 고민의 개수를 파악하는 편이 낫습니다. 무얼 버려야 할지 결정하기 어렵다면 인간의 ‘자동 정리 기능’인 ‘잠’을 이용해보세요. 복잡했던 생각과 감정이 한결 정돈되는 효과가 있지요. 잠을 이룰 상황이 아니라면 일명 ‘멍때리기’를 하거나 목적 없는 산책을 다녀오는 것도 뇌와 마음의 공간을 확보하는 요령입니다.”


▲'고민이 고민입니다' 도서 이미지와 하지현 교수가 직접 쓴 글귀
▲'고민이 고민입니다' 도서 이미지와 하지현 교수가 직접 쓴 글귀

직관이 편견이 될 때

한 교수는 두려움, 불안 등 감정에 휘둘리거나 완벽한 답을 갈구하며 결정을 미루는 행위도 고민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감정은 상황을 채색해버립니다. 마치 까만 선글라스를 끼면 까맣게, 빨간 선글라스를 끼면 빨갛게 세상이 보이듯 말이죠. 그렇게 어떤 일을 판단하는 데 감정이 개입하면 있는 그대로가 아닌 필터링이 된 모습으로 판단해버려요. 물론 인간은 감정이 완전히 ‘제로(0)’일 수 없습니다. 감정은 내 생각과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걸 인지하되, 다만 그것이 내 삶을 좌지우지하지는 못한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완벽한 답은 없을 뿐더러,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여기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그는 ‘고민을 잘하는 성숙한 어른’이란 ‘완벽하지 않음’을 인정할 줄 알고, 감정에 휘둘리지 않으며, 무언가를 결정하는 데 지나치게 애쓰지 않는 사람이라고 이야기한다. 더불어 자기 성숙을 위해 고민보다는 실행에 비중을 두고, 반성은 하되 후회에 사로잡히지 않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반대로 전혀 고민 없이 자기 직관에만 의존해 판단하는 이들의 경우 소위 ‘꼰대’가 되기에 십상이라고 염려했다.

“뇌는 무조건 효율적으로 움직이려 하는데, 이는 에너지를 덜 쓰는, 즉 고민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좋게 말하면 ‘직관적’이라고 하죠. 그러나 ‘직관’은 아주 쉽게 ‘편견’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대개 성공적인 삶을 살아온 중장년 부류가 이런 성향을 보입니다. 이들은 직관적으로 결정을 먼저 내리고, 그 뒤에 이유를 찾아 설명하곤 해요. 문제는 성공해온 경험 덕분에 자기 판단을 합리화하는 데 아주 능숙하다는 거죠. 나이 들수록 과거부터 자신이 옳다고 여겨온 것들을 부정하긴 힘듭니다. 더 나은 방법이 있다 해도 거부하죠. 그건 ‘업데이트하지 않은 내비게이션을 쓰는 것’과 같습니다. 새 길이 뚫렸는데도 옛길만 고집하는 거니까요. 더 나은 삶과 관계를 위해서는 스스로 편견에 갇힌 건 아닌지, 내가 틀린 것은 아닌지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합니다.”


▲'고민이 고민입니다'를 펴낸 하지현 건국대학교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고민이 고민입니다'를 펴낸 하지현 건국대학교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가능성을 찾기 위한 고민 갈무리

힘들고 고통스러운 마음을 심리학을 통해 위로받는 이가 많아졌다. ‘트라우마’, ‘분노조절장애’ 등의 용어도 대수롭지 않게 쓰인다. 하 교수는 이러한 현상을 우려했다.

“심리학적 지식은 내 마음이 어디서 어떻게 흘러가는지 이해하는 인식의 틀을 갖게 해줍니다. 문제는 그것으로 모든 상황을 설명하려 한다는 거예요. 트라우마처럼 세상만사가 과거의 사건에 영향을 받는 건 아닙니다. 아무런 계기 없이 벌어지는 일도 많거든요. 심리학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그저 우연히 일어난 상황에도 이런저런 의미부여를 해서 스토리텔링하려고 합니다. 자신의 처지나 기분을 그럴싸한 단어로 표현하고, 그것을 통해 자기 삶을 이론적으로 해석하려 들죠. 한 번쯤은 이러한 과정으로 내 상태를 살펴볼 수는 있겠지만, 매번 같은 방식으로 접근하는 건 좋지 않습니다.”

지난 불행을 ‘트라우마’로 진단해버린 채 현재의 문제를 모두 그 탓으로 돌린다면 과거에 매여 더 나은 삶으로 전진할 수 없다. 자신의 고민을 분명하게 바라보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터. 그는 ‘불가능한 것’과 ‘어려운 것’을 구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민이 많을수록 쪼개서 생각해야 합니다. 가령 ‘나는 왜 1000억이 없을까?’라는 고민은 상식적으로 해결이 불가능하죠. ‘일본어를 잘하고 싶다’ 이런 건 어렵고 오래 걸리지만 가능한 목표이고요. 그렇게 애당초 불가능한 고민은 제외하세요. 뒤섞여 있으면 모두 불가능해 보여 포기해버리기 쉽거든요.”

노년기에 접어들수록 여러 문제를 ‘불가능’한 것으로 치부해버리곤 한다. 특히 자신의 안 좋은 습관을 인지하면서도 ‘이제는 바꿀 수 없다’면서 변화를 꺼리는 경우가 많다. 그런 이들에게 하 교수는 “아직 늦지 않았다”고 당부했다.

“최근 연구를 보면 노년기에도 뇌세포가 재생하고 변화한다는 결과가 많아요. 물론 젊은 시절보다 활발하지는 않지만 늙었다고 뇌가 퇴화만 하는 건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중장년 세대의 장점은 지구력이 있다는 거죠. 스피드는 떨어지지만 끈질기게 해내려는 경향이 있어요. 갑자기 운동을 한다거나 행동에 변화를 주기보다는 생각의 습관을 바꾸는 게 중요합니다. 새로운 습관을 만들려면 평균 석 달쯤 걸린다고 해요. 1년에 서너 개의 습관을 바꿀 수 있는 셈이죠. 불가능하다고 낙담하며 한 해를 보내는 것보다는 낫지 않을까요? 우리의 노후는 꽤 깁니다. 여생을 어떤 태도로 살아야 할지 잘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K-전통을 꿈꾸며… “근대를 품은 극장, 세계를 향한 춤”
    K-전통을 꿈꾸며… “근대를 품은 극장, 세계를 향한 춤”
  • [카드뉴스] 할머니의 치매를 기록하는 이유
    [카드뉴스] 할머니의 치매를 기록하는 이유
  • [카드뉴스] 요즘 어른을 위한 고언
    [카드뉴스] 요즘 어른을 위한 고언
  • 트롯계 아이돌이 전하는 진심… 김수찬 “60대에도 행복한 가수이고파”
    트롯계 아이돌이 전하는 진심… 김수찬 “60대에도 행복한 가수이고파”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화마가 남긴 잿더미 속, 중장년 신입과 재건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화마가 남긴 잿더미 속, 중장년 신입과 재건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