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90년대에 큰 사랑을 받았던 포크 밴드 ‘동물원’의 멤버 김창기(58). 현재 ‘김창기 밴드’의 리더로도 활동 중인 그의 또 다른 직업은 정신과 의사다. 낮에는 정신 건강을 돌보는 의사로, 밤에는 노래를 부르는 가수로 살아온 지 30여 년. 의학과 음악이라는 동떨어진 두 영역을 반평생 함께할 수 있었던 건 인간을 향한 관심과 애정 덕분이었다. 그는 사람의 감정을 연구하고 노래하며 의사로서, 또 가수로서 대중의 마음을 다독여왔다.

김창기는 10여 년 전 소아청소년정신과 관련 도서인 ‘당신의 아이에게도 리듬이 있다’와 ‘나는 아이의 친한 친구가 되고 싶다’를 펴냈다. 그랬던 그가 지난해 말에는 ‘노래가 필요한 날’(김영사)을 내놓았다. 과거와 달리 이번엔 음악인의 면모는 물론 예순을 바라보는 중년의 담담한 성찰도 담겨 있었다.
“이번 책은, 안정적인 어른이 되어가기 위한 서툰 어른들의 이야기랄까? 어떤 사회적인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요즘 어른들이 느끼는 감정과 성숙한 해결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려 했어요. 플레이리스트라는 형식으로 각 글에 어울리거나 떠오르는 노래들도 함께 소개했죠. 마음이 복잡할수록 세상모르고 살게 해주는 노래가 필요합니다. 잠시나마 책에 실린 노래를 들으며 쉬어가시면 좋겠어요. 그렇게 쉼으로써 우리는 지치지 않을 수 있고, 내 앞에 닥친 문제를 이성적으로 해결할 힘도 얻을 수 있거든요.”
그는 책을 통해 안정적인 어른, 좋은 어른, 괜찮은 어른이 돼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그가 생각하는 ‘진정한 어른’이란 어떤 모습일까?
“진정한 어른이 되려면 성숙한 성격을 지녀야 합니다. 욕망은 억제하고 부당한 권력에 대항할 용기가 필요하죠. 또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유머와 융통성도 겸비해야 하고요. 이는 쉬운 과정이 아니기에, ‘제2외국어를 배우듯’ 해야 합니다. 한국어는 습관적으로 쉽게 할 수 있고 원초적이지만, 가령 영어를 하려면 어렵기 때문에 좀 더 의식적으로 신경을 쓰잖아요. 그처럼 노력하고 배우면 성숙한 어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이 순간, 인생의 봄을 살다
좋은 어른이 되기 위한 또 한 가지. 그는 ‘닫힌 자아’와 용기 내어 마주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인간은 ‘열린 자아’로 성장하고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닫힌 자아란, 나는 모르지만 타인은 아는 자신이고, 열린 자아란 나도 알고 타인도 아는 자신입니다. 인간의 성장에 방해되는 이 닫힌 자아를 인식하고, 변화시킬 수 없는 부분은 다른 긍정적인 것으로 상쇄해야 합니다. 닫힌 자아와 마주하는 방법은 대인 관계에서 찾을 수 있죠. 가족이나 친구가 내가 모르는 나에 대해 지적했을 때, 비난과 공격이라 여기지 않아야 비로소 열린 자아로 갈 수 있습니다. 물론 인식하지 못했던 나의 허물을 인정하는 게 쉽지는 않겠죠. 그러나 용기 내어 힘든 일을 해결하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나는 것, 그게 진정한 자유 아닐까요?”
김창기는 “책임감 있는 자유를 누리는, 나이에 걸맞게 사는 인생이 멋있다”고 이야기한다. 더불어 ‘나이’에 대해 “신체의 나이가 아닌 계절의 나이를 살라”고 조언했다. ‘계절의 나이를 산다’는 게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했다.
“나이라는 논리에 얽매이지 말고 지금의 감정을 충분히 활용하자는 거예요. 즉 봄을 느끼지만 말고 실제 봄을 살라는 겁니다. 그렇다고 갑자기 과거처럼 청바지 입고 머리 기르라는 말이 아녜요. 세월을 핑계 삼지 않되, 새로운 자극과 목적을 찾아 도전하라는 의미입니다. 다시 젊어질 필요는 없지만, 삶을 음미할 필요는 있잖아요. 시간이 빠르게 흐른다고 느끼는 사람은 대부분 무언가를 놓치고 있을 가능성이 커요. 그건 바로 삶의 즐거움과 의미죠. 시간의 흐름을 늦추고 그 시간을 풍요롭게 만들려면, 바로 ‘지금 이 순간’을 살아야 해요. 그러면 시간의 흐름은 점점 느려지고 우리의 삶에는 더 많은 음표와 느낌표가 생겨날 겁니다. 그렇게 새로운 시작을 위한 봄은 어김없이 찾아오게 되고요.”

현실적인 기대를 품는 2021년
봄의 나이를 살기 위한 도전. 마침 새해도 밝았으니 이런저런 목표를 세우기에도 시의적절할 테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야심 차게 꾸린 한 해 계획은 작심삼일로 끝나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는 “내가 아닌 나에게 거는 비현실적인 기대”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많은 사람이 좋은 목표를 세워 실천하면 지금의 내가 크게 달라지리라 착각합니다. 안타깝게도 미래와 현재의 나는 별반 다르지 않을 때가 많죠. 가령 10년 뒤 자신의 모습을 생각하면서 뇌 엑스레이를 찍어보면 대부분은 타인을 생각하는 뇌 부위가 활성화된다고 해요. 이렇듯 두 존재를 다르게 인식하기 때문에 비현실적인 계획을 세우고 또 그걸 이루지 못해 실망하게 되죠. 꾸준히 노력해 10년 뒤엔 이상적인 내가 될지라도, 당장 한 해의 계획은 바로바로 이뤄가며 자긍심을 키울 작은 목표가 좋습니다.”
김창기는 “인생은 현실과 환상의 균형”이라고 말한다. 물론 그에게도 1988년처럼 쓰는 곡마다 대박을 터뜨리면 좋겠다는 환상이 어렴풋이 존재하지만, 이는 현실에 방해만 될 뿐이다. 그간 해오던 대로 환자를 돌보고 꾸준히 곡과 글을 쓰며, ‘내일은 더 좋은 날’이라고 믿는 낙천주의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삶, 그것이 그가 품는 현실적인 목표이자 기대다. 그는 새해를 맞는 독자들에게도 현실적인 덕담을 건넸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그렇다고 너무 대단한 복은 기대 마시고요.(웃음) 그저 내게 가장 소중한 대여섯 사람과의 관계를 잘 지키고, 그들을 잃지 않는 한 해가 되는 것만으로도 충만할 수 있습니다. 타인이 보여주길 바라는 태도를 내가 먼저 보여주고, 혹여 그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거부하지 않는 ‘관용’을 베풀어보세요. 나아가 상대방을 내 마음에 맞춰 변화시키려 들지 않겠다는 ‘수용’도 필요하고요. 그러려면 내가 양보하고 손해 보며 이타적인 한 해를 살아야겠죠. 어렵겠지만 부디 잘 참아내시길 바랄게요. 단, 힘들 땐 잠시 쉬어가며 꼭 자신을 보호해주시고요.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두 귀만 있다면 휴식은 언제나 가능하니까요.”
![[부고] 신동민(이투데이피엔씨 대표) 씨 장모상](https://img.etoday.co.kr/crop/190/120/2236257.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중년에 만나 더 위로가 되는 책 '장자(莊子)'](https://img.etoday.co.kr/crop/85/85/564868.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사랑하고 노래하고 투쟁하다](https://img.etoday.co.kr/crop/85/85/583864.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즐겁다](https://img.etoday.co.kr/crop/85/85/595559.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나다움을 찾는 여정에서 열어보는 창 <삶의 정도>](https://img.etoday.co.kr/crop/85/85/60853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는 시작 <마지막 거인>](https://img.etoday.co.kr/crop/85/85/626779.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직원을 믿고 싶다면 나를 믿지 마라 <착각하는 CEO>](https://img.etoday.co.kr/crop/85/85/642593.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배우 김명곤, 아버지의 부활을 꿈꾸다](https://img.etoday.co.kr/crop/85/85/661037.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세상이 변해도 바뀌지 않는 인간의 굴레 <탈바꿈의 동양고전>](https://img.etoday.co.kr/crop/85/85/682956.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인생을 뜸 들이는 <영혼을 위한 닭고기 수프>](https://img.etoday.co.kr/crop/85/85/703433.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예악정치로 문화의 나라를' 신현웅 웅진재단 이사장](https://img.etoday.co.kr/crop/85/85/724284.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인생의 행복을 이끄는 마법 <신념의 마력>](https://img.etoday.co.kr/crop/85/85/741034.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소설가 이순원, 아들과 함께 그려나가는 인생의 발자취 <아들과 함께 걷는 길>](https://img.etoday.co.kr/crop/85/85/75986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 人북] 경희대 전호근 교수, 시련 속에서만 얻을 수 있는 인생의 보물](https://img.etoday.co.kr/crop/85/85/78459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이문재 시인,](https://img.etoday.co.kr/crop/85/85/805766.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고난과 실패로 무르익는 ‘인생의 가을’ -고전평론가 고미숙](https://img.etoday.co.kr/crop/85/85/827376.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궁궐 속 나무에 스민 조선의 역사, 박상진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우리 궁궐을 아는 사전>](https://img.etoday.co.kr/crop/85/85/840891.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우리 마음에 다시 심는 못 다 핀 소녀들의 ‘꽃’ - 권비영 작가](https://img.etoday.co.kr/crop/85/85/860047.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6월의 함성’이 일궈낸 오늘의 역사 -역사학자 이이화](https://img.etoday.co.kr/crop/85/85/877399.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죽음’이 알려주는 삶의 가치와 행복](https://img.etoday.co.kr/crop/85/85/893970.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기생충 박사의 ‘참 괜찮은 인생’ -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가 추천하는 <참 괜찮은 죽음>](https://img.etoday.co.kr/crop/85/85/91274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비교하지 않아 행복한 들국화 인생' 도종환 시인·국회의원의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https://img.etoday.co.kr/crop/85/85/929596.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장석주 시인이 추천하는 <천천히, 스미는> '걸으며 비워내고 읽으며 채워가는 중년의 소소한 일상'](https://img.etoday.co.kr/crop/85/85/960129.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문광훈 충북대학교 교수](https://img.etoday.co.kr/crop/85/85/98295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시인 고은 <초혼>을 노래하다, 곁에 두고 그리워하는 나의 평생 친구 '죽음'](https://img.etoday.co.kr/crop/85/85/99534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고도원 아침편지문화재단 이사장의 <절대고독>](https://img.etoday.co.kr/crop/85/85/100954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