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나다움을 찾는 여정에서 열어보는 창 <삶의 정도>

기사입력 2015-04-03 09:11 기사수정 2015-04-03 09:11

한양대 교육공학과 유영만 교수

▲브라보 마이 라이프 독자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적고 있는 유영만 교수. 이태인 기자 teinny@

‘읽지 않으면 읽힌다’고 말하며 지독하게 독서하고, 70여 권이 넘는 저·역서를 출간해내는 등 새로운 지식을 끊임없이 출산하는 지식산부인과의사(?) 유영만(劉永晩·52) 한양대 교육공학과 교수. 그에게 책은 창이라고 말한다. 읽어낸 책이 많을수록 세상을 내다보는 창이 많아지고, 그만큼 남다른 개념을 습득할 수 있으며, 남다른 개념을 가진 사람이 남다른 사유를 할 수 있다고. 유 교수가 얻어낸 무수히 많은 창 중에 <삶의 정도>라는 창을 열어보고자 한다.


‘감·상·실’에서 발견하는 중년의 ‘삶의 정도’

<삶의 정도>(2011)는 <경영학적 사고의 틀>(1981), <프린시피아 매네지멘타>(1991), <경영학의 진리 체계>(2001)에 이은 윤석철 서울대 명예교수(경영학)의 네 번째 10년 주기 작(作)이다.

“책이 나오고 바로 읽었어요. 윤석철 교수님은 경영학자이시지만 문학가 같기도 하고 때론 철학가 같기도 하시죠. 그런 윤 교수님의 면모와 이전까지 나온 저서들의 내용이 잘 집약된 책이 <삶의 정도>라고 생각해요. 그동안 공부하시고 연구하신 것들을 목적함수와 수단매체, 이 두 가지로 아주 심플하게 표현하셨죠. 실제로 그 단순한 원리가 제가 전공하는 HRD를 비롯해 경제, 경영, 교육 등 다방면에 접목이 되요. 요즘도 손에 닿는 곳에 두고 제가 하는 일들을 대입해 보곤 하죠.”

<삶의 정도>의 저자 윤석철 교수는 복잡함을 떠나 간결한 삶을 추구하기 위해 ‘수단매체’와 ‘목적함수’라는 두 개념으로 삶의 정도(正道)를 표현했다. 목적함수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방향이며, 수단매체란 목적함수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적 도구이다.

“책을 읽다보면 ‘내 삶의 목적함수는 무엇일까?’라는 생각이 떠오르고, 그렇다면 ‘그 목적함수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무엇일까?’라는 고민을 하게 되죠. 대개 중년들은 자신보다 가족이나 타인의 목적함수를 위한 수단매체처럼 살아왔을지도 몰라요. 지금까지 남을 위해서 남들처럼 살아왔다면, 이제부터는 나를 위해서 나만의 삶을 살았으면 좋겠어요. 그런 의미에서 <삶의 정도>는 중년에게 새로운 목적과 수단을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책이죠.”

책의 3부 수단매체와 목적함수의 결합에는 ‘감수성, 상상력, 탐색 실행’ 세 가지 키워드가 나온다. 유 교수는 이를 ‘감·상·실’이라 부른다.

“저는 창조는 교실에서 자라지 않고 ‘감·상·실’에서 자란다고 말해요. 감수성이란 게 머리로 하는 게 아니라 가슴으로 하는 것이거든요. 세종대왕이 한글을 모르는 국민을 불쌍하게 여긴 측은지심(惻隱之心)처럼, 모든 창조의 원동력은 감수성에서 시작하죠. 그리고 상상력은 그 감수성으로 포착된 그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발휘됩니다. 사람들은 상상력 하면 공상, 망상, 허상 등 엉뚱한 생각을 하는데, 상상력은 현실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아픔을 사랑하고 고민할 때 나오는 아이디어와 같은 것이에요. 그리고 그 상상력의 현실 가능성을 검증하는 노력으로서 ‘탐색 실행’이 필요하죠. 이렇게 ‘감·상·실’을 통해 얻은 확신으로부터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고, 삶의 정도를 정의할 수 있어요.”


▲윤석철 교수의 <삶의 정도>를 펼쳐 들고 웃음짓고 있는 유영만 교수. 이태인 기자 teinny@

버킷리스트 ≠ 목적함수

유 교수는 지난해 안나푸르나를 다녀오면서 버킷리스트 중 한 가지를 실현했다. 그의 이야기를 들으며 안나푸르나 등정이 목적함수라 예상했지만, 그의 대답은 뜻밖이었다.

“버킷리스트가 목적함수는 아니에요. 얼핏 안나푸르나에 도달하는 것이 목적함수로 느껴질지도 모르지만, 그저 여러 수단매체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안나푸르나에 오르는 등 여러 개의 버킷리스트를 달성하면서 ‘궁극적으로 내가 무엇을 위해 사는가?’에 대한 깨달음을 얻게 되는데, 그 깨달음을 얻는 것이 제 인생의 목적함수인 거죠. 결국 버킷리스트는 삶을 남다르고 가치 있게 살게 하는 수단매체가 되는 것이고, 그것이 모이면 삶의 의미, 보람, 행복 등의 목적함수를 얻게 되는 거죠.”


내인생의 4130

“버킷리스트를 실천해본 사람은 또 다른 버킷리스트를 달성할 수 있어요. 제 경우는 안나푸르나를 다녀왔으니 그걸 능가하는 또 다른 버킷리스트를 상상하게 되겠죠. 그런 상상을 통해서 또 다른 도전을 하게 되고, 그 도전으로 얻게 되는 깨달음과 행복 역시 늘어날 거예요. 올해는 몽블랑을 다녀올 계획이에요. 몽블랑에 올라 몽블랑 만년필을 들고 글을 쓰는 상상을 해요. 그렇게 한 가지를 이루고 나면 내년엔 또 다른 도전이 기다리고 있겠죠?”

유 교수가 선택한 수단매체 안나푸르나의 높이는 4130m이다. 평소 습관적으로 숫자나 단어에 의미를 부여하는 그는 이번에도 역시 남다른 의미를 되새겨봤다.

“4130m를 등정하면서 ‘내 인생에 4130이 의미하는 게 뭘까?’라고 엉뚱한 생각을 해봤어요. 4는 인의예지(仁義禮智) 또는 사단(四端)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 1은 ‘내 인생에서 하나를 뽑으라면 결국엔 행복이다. 인생을 행복하게 살자’라는 깨달음. 3은 내 삶의 가장 소중한 세 가지 키워드 ‘도전, 열정, 혁신’ 그 세 가지대로 살겠다는 마음. 그렇게 살다 생각해보면 결국 사람이라는 게 다 영(0)에서 시작해서 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겠느냐는 생각. 그렇게 내 삶에 대해 생각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제 인생의 거대한 목적함수를 이루는 수단매체라고 할 수 있죠.”


▲한양대 교육공학과 유영만 교수의 연구실은 다양한 책들로 빼곡하게 채워져 있다. 이태인 기자 teinny@

꿈꾸지 말고 꿈 깨

많은 사람이 “생각을 바꿔야 행동이 바뀐다”는 말을 하지만, 유 교수는 “그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가만히 앉아 생각만 바꾸려 하는 것은 아무런 변화를 줄 수 없다는 것이다.

“딴짓을 해야 딴생각이 들어요. 가만히 앉아서 생각만 바꾼다 한들 뭐가 달라질까요? 저는 ‘꿈꾸지 말고 꿈 깨라’고 말해요. 꿈을 자꾸 앉아서 머리로만 꾸는데, 꿈은 머리가 아니라 몸으로 이뤄내는 거예요. 내가 꾸는 꿈을 이룰 수 있을지 없을지는 몸을 움직여봐야 알 수 있죠. 요즘 지성은 있는데 야성이 없는 교수나 직장인들이 많아요. 책상에 앉아 책이나 컴퓨터만 보고 있으니 그들의 몸은 머리를 회의장소로 이동시키는 수단에 불과하죠. 그러면 몸은 점점 퇴화해요. 몸은 ‘마음이 거주하는 우주’라고 생각해요. 몸이 망가지면 우주가 망가지는 거예요. 그래서 마인드컨트롤이나 마인드파워라는 말은 의미 없죠. 몸이 망가지면 다 소용없거든요. 특히 나이가 들수록 행복하려면 돈도 시간도 있어야 하지만 가장 필요한 것은 연골이라 생각해요. 연골이 없으면 인간은 골골해지죠. 그러니 연골이 멀쩡할 때 여행도 다니고 몸을 움직여 많은 경험과 도전을 했으면 좋겠어요.”

그는 삶의 목적이나 비전을 묻는 질문보다 인생에 있어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언인지 묻는 것에 더 의미를 둔다.

“저보고 사람들이 ‘인생의 목적이 뭐냐? 책도 70권 쓰고, 이룰 것 다 이룬 것 같은데 뭘 또 사하라까지 가느냐? 안나푸르나는 왜 가느냐?’ 이런 질문들을 하지만, 저는 그저 제 인생에서 소중하게 생각하는 키워드 세 가지(도전, 열정, 혁신) 대로 사는 것뿐이에요. 도전적으로 열정적으로 혁신적으로 그렇게 살다 보면 새로운 경험이 생겨서 이제까지 몰랐던 새로운 가능성을 알게 되고, 그 부산물로 책이 나올 수도 있고, 덤으로 제가 행복하고 즐거워질 수도 있는 거죠.”


인생의 부록을 다시 쓰는 시점 ‘불혹(不惑)’

“마흔을 불혹이라 하잖아요. 반대로 마흔부터는 유혹에 흔들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지금까지 내면에 흐르는 욕망을 절제하고 살았을 텐데 이제는 그런 욕망이 이끄는 대로 물 흐르듯 살아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그런 의미에서 불혹은 인생의 부록을 다시 쓰는 시기가 아닐까 싶어요. 또 중년이란 내가 인생의 중심이 되는 시기인 것 같아요. 자기 인생2막의 별책부록은 무엇인지 탐색해보고, 인생의 중심을 나로 잡아서 나다운 인생 후반전을 살아가는 시점, 그게 바로 중년 아닐까요?”

▲유영만 교수가 쓴 브라보 마이 라이프 독자에게 보내는 응원 메시지. 이태인 기자 teinny@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65세 이상 노인 인구 1천만 명 돌파… 대한민국 20%는 ‘노인’
    65세 이상 노인 인구 1천만 명 돌파… 대한민국 20%는 ‘노인’
  •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초고령화 실험실, “노인 혐오 경계해야”
    대한민국은 세계인의 초고령화 실험실, “노인 혐오 경계해야”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IT 경력자만 가능? “중장년 인식 바뀌었죠”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IT 경력자만 가능? “중장년 인식 바뀌었죠”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으로 침구 산업 재도약 꿈꿔”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중장년 고용으로 침구 산업 재도약 꿈꿔”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