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깎이 소설가로 데뷔한 오세영(68) 작가는 첫 작품 ‘베니스의 개성상인’으로 단숨에 밀리언셀러 작가로 발돋움한다.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그의 섬세한 관찰력과 풍부한 상상력이 가미된 소설은 많은 이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최근 정약전의 삶을 다룬 소설 ‘자산어보’로 돌아왔다. 그가 매료된 정약전의 삶과 더불어 역사소설의 가치에 관해 얘기를 나눴다.

그의 데뷔작 ‘베니스의 개성상인’은 한복 입은 남자의 사진이 모티프였고, ‘대왕의 보검’은 칼이 소설의 첫 단추였다. 그렇다면 ‘자산어보’는 어디서부터 출발한 얘기일까?
“유배지에서 자연과학 서적을 쓴 정약전의 삶이 흥미로웠어요. 악조건 속에서도 해양생물에 관한 서적을 집필했다는 건 놀라운 일이에요. 다양한 이론과 현장 실무를 다룬 실용서는 당시 학문적으로 신선한 시도였죠. 열린 사고를 통해 새로운 학문의 지평을 연 사람. 주자학에 발을 딛고 손으로 실학을 매만지는 학자. 그게 참 강렬했어요. 그를 보고 역사적 시간과 공간이란 씨줄과 날줄을 엮어서 만들어낸 것이 이 소설이에요.”
이 소설은 추리소설과 같이 사건이 전개된다. 해녀의 죽음, 재벌 행세를 했던 사상도고와 마을 사람들 간의 공방 등 다양한 사건이 추리소설처럼 긴박하게 흘러가고, 정약전은 마지막 순간에 신스틸러처럼 등장해 이를 모두 해결한다.
“모든 사건의 해결은 정약전이 도맡죠. 다만 사건의 중심은 민중이에요. 약전의 삶을 빌려왔지만, 중요한 건 그에게 어부로서 물고기 지식을 알려줬던 창대와 같은 민중이에요. 약전의 ‘자산어보’도 결국 민중의 삶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나온 것이죠. 소설을 쓸 때 역사를 위인의 관점이 아니라 민중의 관점을 통해 새로운 각도로 접근하는 편이에요. 이를 재밌게 전달하기 위해서 추리소설처럼 썼어요. 역사란 도착지를 목표로 하지만 재미란 내비게이션을 소설 속에서 작동시키는 것이죠. 고증은 철저히 해야 하지만 재미를 놓칠 수는 없어요.”

도서관은 영감의 서랍
1993년 조금 늦은 나이에 소설가로 데뷔했는데, 이 데뷔의 출발점은 한 권의 책이었다.
“역사의 재미에 눈을 뜬 건 중학교 때 박종화의 ‘자고 가는 저 구름아’를 읽고 나서였어요. 학부도 역사를 전공했는데, 생각한 것과 달랐어요. 소설 속 역사는 살아 있는 역사였지만, 제도권 교육에서 배우는 역사는 죽은 역사처럼 느껴졌어요. 이후 직장생활을 10년 정도 했는데, 번아웃이 왔어요. 문득 저 책이 생각나는 거예요. 시간이 오래 지났는데 그때의 전율과 감동이 제 맘 한구석에 남아 있었던 것 같아요. 그때 꺼진 삶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선택한 것이 역사소설가였어요.”
그렇다면 시간이 지난 지금, 첫 소설을 쓸 때와 어떤 점이 달라졌을까?
“처음 쓸 때는 서술에 집중했어요. 사실 하나라도 놓치지 않으려고 그랬던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 생생함이 많이 떨어졌어요. 그때부터 최대한 간결하게, 독자들이 잘 읽을 수 있게 글을 쓰려고 노력했어요. 짧은 설명은 괄호로 덧붙이고, 길면 주석을 달았어요. 군더더기를 최대한 덜어낸 거죠. 대신 본문은 장면이 그려지고 생생한 현장감을 줄 수 있게 묘사와 현재형 시제를 많이 쓰려고 노력했고요.”
역사소설은 사료를 기반으로 해야 하기에 방대한 자료를 읽고 분류하고 정리해야 한다. 시간도 오래 걸리고 사료를 정리하면서 힘든 점도 있을 터.
“원하는 사료를 찾는 게 정말 쉽지 않죠. 사료가 없는 것도 많고요. 최악의 경우엔 소설을 엎어야죠. 다행히 아직까진 그런 경우는 없어요. 이를 방지하려고 도서관에 자주 가요. 정치, 철학, 역사 등 모든 분야가 있잖아요. 가서 보고 끌리는 아무 책이나 읽어요. 조선 시대 표류기부터 시작해서 철학의 역사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읽어요. 하나를 알면 둘을 깨우치는 사람은 아닌데, 도서관에서 읽었던 건 서랍에 넣어둔 것처럼 잘 기억해요.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쓰고요. 일종의 박람강기(博覽强記)라고 할까요? 이 축적된 데이터와 함께 확신이 서면 그때부터 집필 작업에 들어가요. 제게 도서관은 영감의 서랍 같은 곳이에요.”

무명의 역사를 복원
그가 영감의 서랍 속 사실을 토대로 만든 역사소설의 가치는 무엇인지 물었다.
“삶의 외연을 넓히는 지름길은 새로운 가능성을 꿈꾸는 거예요. 배우 윤여정이 오스카상을 받듯이 우리나라 작가가 노벨상을 못 받으리라는 법도 없잖아요. 법대 나왔다고 무조건 변호사를 할 필요도 없고요. 역사도 마찬가지예요. 역사를 교과서 외우듯이 틀에 박혀서 바라볼 필요가 없어요. 역사를 맘대로 바꿀 수는 없죠. 다만 새로운 각도를 통해 바라보면서 역사를 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죠. 그게 역사소설의 역할이라고 봐요.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도전이라고 할까요?”
끝으로 앞으로의 계획과 더불어 역사소설에 관한 그만의 소신을 밝혔다.
“제가 하는 일은 무명의 역사를 복원하는 일이에요. 역사는 승자의 관점에서 기록되고 해석될 때가 많아요. 또한 위대한 리더나 위인은 소수일 뿐, 그 시대를 온몸으로 부딪히고 살아가는 건 민중들이에요. 그 시대를 치열하게 살다 간 무명의 역사를 조명하는 건 그 시대를 새롭게 보는 돋보기와 같아요. 앞으로 쓸 책도 그런 책이 될 거예요. 간단히 얘기하면 누구나 한 번쯤 이름은 들어봤지만 잘 모르는 고려 시대 승려 ‘묘청’에 대한 얘기를 써보려고요.”
한 줌의 먼지처럼 사라져간 역사적 사실을 발견하고 취합하는 일. 그것은 매우 고되지만 재밌는 일이었다. 그는 역사란 퍼즐의 이음새를 자신만의 결로 깎고 다듬어 모나지 않은 그림으로 완성할 때 보람을 느꼈다. 역사적 사실에 발을 디딘 채 무명의 역사를 복원하며 소설로서의 재미를 놓치지 않는 일. 독자들을 위해 더 좋은 소설을 쓰고자 노력하는 일. 아마도 그것은 새로운 학문적 성취에 힘쓰고 이를 통해 민중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자 애썼던 실학자 정약전의 정신과 비슷할지도 모른다. 역사의 퍼즐을 다듬는 실학자로서의 다음 행보를 기대하며 마친다.
<이 기사는 브라보 마이 라이프 2021년 7월호(VOL.79)에 게재됐습니다.>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중년에 만나 더 위로가 되는 책 '장자(莊子)'](https://img.etoday.co.kr/crop/85/85/564868.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사랑하고 노래하고 투쟁하다](https://img.etoday.co.kr/crop/85/85/583864.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즐겁다](https://img.etoday.co.kr/crop/85/85/595559.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나다움을 찾는 여정에서 열어보는 창 <삶의 정도>](https://img.etoday.co.kr/crop/85/85/60853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는 시작 <마지막 거인>](https://img.etoday.co.kr/crop/85/85/626779.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직원을 믿고 싶다면 나를 믿지 마라 <착각하는 CEO>](https://img.etoday.co.kr/crop/85/85/642593.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배우 김명곤, 아버지의 부활을 꿈꾸다](https://img.etoday.co.kr/crop/85/85/661037.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세상이 변해도 바뀌지 않는 인간의 굴레 <탈바꿈의 동양고전>](https://img.etoday.co.kr/crop/85/85/682956.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인생을 뜸 들이는 <영혼을 위한 닭고기 수프>](https://img.etoday.co.kr/crop/85/85/703433.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예악정치로 문화의 나라를' 신현웅 웅진재단 이사장](https://img.etoday.co.kr/crop/85/85/724284.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인생의 행복을 이끄는 마법 <신념의 마력>](https://img.etoday.co.kr/crop/85/85/741034.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소설가 이순원, 아들과 함께 그려나가는 인생의 발자취 <아들과 함께 걷는 길>](https://img.etoday.co.kr/crop/85/85/75986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 人북] 경희대 전호근 교수, 시련 속에서만 얻을 수 있는 인생의 보물](https://img.etoday.co.kr/crop/85/85/78459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이문재 시인,](https://img.etoday.co.kr/crop/85/85/805766.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고난과 실패로 무르익는 ‘인생의 가을’ -고전평론가 고미숙](https://img.etoday.co.kr/crop/85/85/827376.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궁궐 속 나무에 스민 조선의 역사, 박상진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우리 궁궐을 아는 사전>](https://img.etoday.co.kr/crop/85/85/840891.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우리 마음에 다시 심는 못 다 핀 소녀들의 ‘꽃’ - 권비영 작가](https://img.etoday.co.kr/crop/85/85/860047.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6월의 함성’이 일궈낸 오늘의 역사 -역사학자 이이화](https://img.etoday.co.kr/crop/85/85/877399.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죽음’이 알려주는 삶의 가치와 행복](https://img.etoday.co.kr/crop/85/85/893970.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기생충 박사의 ‘참 괜찮은 인생’ -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가 추천하는 <참 괜찮은 죽음>](https://img.etoday.co.kr/crop/85/85/91274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비교하지 않아 행복한 들국화 인생' 도종환 시인·국회의원의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https://img.etoday.co.kr/crop/85/85/929596.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장석주 시인이 추천하는 <천천히, 스미는> '걸으며 비워내고 읽으며 채워가는 중년의 소소한 일상'](https://img.etoday.co.kr/crop/85/85/960129.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문광훈 충북대학교 교수](https://img.etoday.co.kr/crop/85/85/98295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시인 고은 <초혼>을 노래하다, 곁에 두고 그리워하는 나의 평생 친구 '죽음'](https://img.etoday.co.kr/crop/85/85/995345.jpg)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고도원 아침편지문화재단 이사장의 <절대고독>](https://img.etoday.co.kr/crop/85/85/100954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