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퍼즐을 다듬는 실학자

기사입력 2021-07-06 18:24 기사수정 2021-07-26 09:42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밀리언셀러 역사소설가 오세영

늦깎이 소설가로 데뷔한 오세영(68) 작가는 첫 작품 ‘베니스의 개성상인’으로 단숨에 밀리언셀러 작가로 발돋움한다.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그의 섬세한 관찰력과 풍부한 상상력이 가미된 소설은 많은 이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최근 정약전의 삶을 다룬 소설 ‘자산어보’로 돌아왔다. 그가 매료된 정약전의 삶과 더불어 역사소설의 가치에 관해 얘기를 나눴다.

▲역사소설가 오세영(브라보 마이 라이프)
▲역사소설가 오세영(브라보 마이 라이프)

그의 데뷔작 ‘베니스의 개성상인’은 한복 입은 남자의 사진이 모티프였고, ‘대왕의 보검’은 칼이 소설의 첫 단추였다. 그렇다면 ‘자산어보’는 어디서부터 출발한 얘기일까?

“유배지에서 자연과학 서적을 쓴 정약전의 삶이 흥미로웠어요. 악조건 속에서도 해양생물에 관한 서적을 집필했다는 건 놀라운 일이에요. 다양한 이론과 현장 실무를 다룬 실용서는 당시 학문적으로 신선한 시도였죠. 열린 사고를 통해 새로운 학문의 지평을 연 사람. 주자학에 발을 딛고 손으로 실학을 매만지는 학자. 그게 참 강렬했어요. 그를 보고 역사적 시간과 공간이란 씨줄과 날줄을 엮어서 만들어낸 것이 이 소설이에요.”

이 소설은 추리소설과 같이 사건이 전개된다. 해녀의 죽음, 재벌 행세를 했던 사상도고와 마을 사람들 간의 공방 등 다양한 사건이 추리소설처럼 긴박하게 흘러가고, 정약전은 마지막 순간에 신스틸러처럼 등장해 이를 모두 해결한다.

“모든 사건의 해결은 정약전이 도맡죠. 다만 사건의 중심은 민중이에요. 약전의 삶을 빌려왔지만, 중요한 건 그에게 어부로서 물고기 지식을 알려줬던 창대와 같은 민중이에요. 약전의 ‘자산어보’도 결국 민중의 삶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나온 것이죠. 소설을 쓸 때 역사를 위인의 관점이 아니라 민중의 관점을 통해 새로운 각도로 접근하는 편이에요. 이를 재밌게 전달하기 위해서 추리소설처럼 썼어요. 역사란 도착지를 목표로 하지만 재미란 내비게이션을 소설 속에서 작동시키는 것이죠. 고증은 철저히 해야 하지만 재미를 놓칠 수는 없어요.”

▲소설 '자산어보'의 표지와 오세영 소설가가 쓴 글귀
▲소설 '자산어보'의 표지와 오세영 소설가가 쓴 글귀

도서관은 영감의 서랍

1993년 조금 늦은 나이에 소설가로 데뷔했는데, 이 데뷔의 출발점은 한 권의 책이었다.

“역사의 재미에 눈을 뜬 건 중학교 때 박종화의 ‘자고 가는 저 구름아’를 읽고 나서였어요. 학부도 역사를 전공했는데, 생각한 것과 달랐어요. 소설 속 역사는 살아 있는 역사였지만, 제도권 교육에서 배우는 역사는 죽은 역사처럼 느껴졌어요. 이후 직장생활을 10년 정도 했는데, 번아웃이 왔어요. 문득 저 책이 생각나는 거예요. 시간이 오래 지났는데 그때의 전율과 감동이 제 맘 한구석에 남아 있었던 것 같아요. 그때 꺼진 삶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선택한 것이 역사소설가였어요.”

그렇다면 시간이 지난 지금, 첫 소설을 쓸 때와 어떤 점이 달라졌을까?

“처음 쓸 때는 서술에 집중했어요. 사실 하나라도 놓치지 않으려고 그랬던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 생생함이 많이 떨어졌어요. 그때부터 최대한 간결하게, 독자들이 잘 읽을 수 있게 글을 쓰려고 노력했어요. 짧은 설명은 괄호로 덧붙이고, 길면 주석을 달았어요. 군더더기를 최대한 덜어낸 거죠. 대신 본문은 장면이 그려지고 생생한 현장감을 줄 수 있게 묘사와 현재형 시제를 많이 쓰려고 노력했고요.”

역사소설은 사료를 기반으로 해야 하기에 방대한 자료를 읽고 분류하고 정리해야 한다. 시간도 오래 걸리고 사료를 정리하면서 힘든 점도 있을 터.

“원하는 사료를 찾는 게 정말 쉽지 않죠. 사료가 없는 것도 많고요. 최악의 경우엔 소설을 엎어야죠. 다행히 아직까진 그런 경우는 없어요. 이를 방지하려고 도서관에 자주 가요. 정치, 철학, 역사 등 모든 분야가 있잖아요. 가서 보고 끌리는 아무 책이나 읽어요. 조선 시대 표류기부터 시작해서 철학의 역사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읽어요. 하나를 알면 둘을 깨우치는 사람은 아닌데, 도서관에서 읽었던 건 서랍에 넣어둔 것처럼 잘 기억해요.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쓰고요. 일종의 박람강기(博覽强記)라고 할까요? 이 축적된 데이터와 함께 확신이 서면 그때부터 집필 작업에 들어가요. 제게 도서관은 영감의 서랍 같은 곳이에요.”

▲역사소설가 오세영(브라보 마이 라이프)
▲역사소설가 오세영(브라보 마이 라이프)

무명의 역사를 복원

그가 영감의 서랍 속 사실을 토대로 만든 역사소설의 가치는 무엇인지 물었다.

“삶의 외연을 넓히는 지름길은 새로운 가능성을 꿈꾸는 거예요. 배우 윤여정이 오스카상을 받듯이 우리나라 작가가 노벨상을 못 받으리라는 법도 없잖아요. 법대 나왔다고 무조건 변호사를 할 필요도 없고요. 역사도 마찬가지예요. 역사를 교과서 외우듯이 틀에 박혀서 바라볼 필요가 없어요. 역사를 맘대로 바꿀 수는 없죠. 다만 새로운 각도를 통해 바라보면서 역사를 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죠. 그게 역사소설의 역할이라고 봐요.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도전이라고 할까요?”

끝으로 앞으로의 계획과 더불어 역사소설에 관한 그만의 소신을 밝혔다.

“제가 하는 일은 무명의 역사를 복원하는 일이에요. 역사는 승자의 관점에서 기록되고 해석될 때가 많아요. 또한 위대한 리더나 위인은 소수일 뿐, 그 시대를 온몸으로 부딪히고 살아가는 건 민중들이에요. 그 시대를 치열하게 살다 간 무명의 역사를 조명하는 건 그 시대를 새롭게 보는 돋보기와 같아요. 앞으로 쓸 책도 그런 책이 될 거예요. 간단히 얘기하면 누구나 한 번쯤 이름은 들어봤지만 잘 모르는 고려 시대 승려 ‘묘청’에 대한 얘기를 써보려고요.”

한 줌의 먼지처럼 사라져간 역사적 사실을 발견하고 취합하는 일. 그것은 매우 고되지만 재밌는 일이었다. 그는 역사란 퍼즐의 이음새를 자신만의 결로 깎고 다듬어 모나지 않은 그림으로 완성할 때 보람을 느꼈다. 역사적 사실에 발을 디딘 채 무명의 역사를 복원하며 소설로서의 재미를 놓치지 않는 일. 독자들을 위해 더 좋은 소설을 쓰고자 노력하는 일. 아마도 그것은 새로운 학문적 성취에 힘쓰고 이를 통해 민중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자 애썼던 실학자 정약전의 정신과 비슷할지도 모른다. 역사의 퍼즐을 다듬는 실학자로서의 다음 행보를 기대하며 마친다.

<이 기사는 브라보 마이 라이프 2021년 7월호(VOL.79)에 게재됐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부끄럽지 않은 완성을 위하여
    부끄럽지 않은 완성을 위하여
  • “여행은 살아 있는 책”
    “여행은 살아 있는 책”
  • 老시인의 불꽃
    老시인의 불꽃
  • [카드뉴스] 브라보 PICK 욜드족⑤ 57세 올드 셔플맨
    [카드뉴스] 브라보 PICK 욜드족⑤ 57세 올드 셔플맨
  •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막막했던 은퇴 이후 삶, 전직 성공한 비결은?
    [지혜와 경험, 다시 현장으로] 막막했던 은퇴 이후 삶, 전직 성공한 비결은?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