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타기 좋은 계절입니다. 곧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되고 너도나도 산으로 들로, 강으로 바다로 자기만의 휴식처를 찾아 떠나게 됩니다. 해마다 겪는 일이지만 올해도 가장 많은 사람들이 설악산과 동해 바다를 찾을 것이고, 자연스럽게 엄청난 교통 체증에 오고가는 길 오히려 심신이 피로하고 짜증나는 고통을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 자주꿩의다리
: 학명 Thalictrum uchiyamai Nakai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이미 지난 6월 초 연휴 당시 많은 이들이 서울 등 수도권에서 보통 1~2시간 걸리는 거리를 가는 데 네다섯 시간 이상 소요되는 교통 대란을 체험했습니다. 그래서 대안을 제시합니다. 자유로와 제2자유로를 따라 경기, 강원 북부의 산과 들과 강으로 쾌적한 휴식처를 찾아 떠날 것을 제안합니다.
그곳에는 고대산과 금학산, 광덕산, 국만봉, 명성산, 명지산, 천마산,화악산 등 크고 작은 명산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그 어느 곳보다 한적한 산행을 보장할 것입니다.
특히 그 산들은 손때 덜 묻은 야생화의 보고로서, 하늘나리와 털중나리 등 각종 나리꽃은 물론 돌양지꽃과 산수국, 동자꽃 등 각양각색의 여름 꽃들을 만나는 각별한 기쁨을 안겨줄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고대산 칼바위 능선에서 만나는 자주꿩의다리 군락은 그 어느 곳에서도 경험할 수 없는 장쾌한 풍광을 함께 선사합니다. 경기도 연천군 신탄리에 위치한 고대산은 등산이 허용된 남한 내 최북단 산입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민통선에서 가장 가까운 산이라는 뜻입니다.
이 산 정상 고대상(해발 832m) 턱밑 사방을 두루 조망할 수 있는 바위 능선에 자생하며, 북으로 철원평야와 6.25전쟁 당시 격전지였던 백마고지 등 접경 지대를 굽어보는 자주꿩의다리를 만나는 것은 이 시기 이 일대 야생화 탐사의 백미라 할 수 있습니다.
남으로는 금학산과 지장봉, 북대산과 향로봉까지 한눈에 들어옵니다. 숱한 세월 분단의 현장을 묵묵히 지켜보고 있는 자주꿩의다리가 반목과 갈등, 대립과 적대감을 떨쳐내고 어서 빨리 통일을 달성하라고 채근하는 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산꿩의다리, 금꿩의다리, 은꿩의다리, 연잎꿩의다리 등 여러 꿩의다리속 가운데 자주꿩의다리는 유독 높은 산 정산 가까이 바위틈 등 척박한 환경에서 자생하고 있습니다. 그 덕분에 꿩의다리속의 다른 종들에 비해 키가 50cm 안팎으로 비교적 작습니다.
6월에서 8월 사이 한여름 폭죽이 터지듯 자잘하고 다닥다닥 붙은 원뿔 모양으로 피는 꽃은 전체적으로 흰빛이 도는 자주색을 띤다고 해서 자주꿩의다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방망이 형태의 연한 자주색 수술은 많은 경우 한 송이에 40~50개가 부채살 퍼지듯 달리는 등 그 수가 매우 많지
만, 암술은 3~5개로 길이가 짧고 통통합니다.
보통 전국 어느 산에서나 높고 깊지 않은 숲에서 흔히 만나는 것은 그냥 꿩의다리 또는 산꿩의다리인데, 키가 1m 이상으로 비교적 크고 흰색의 꽃이 자잘하고 풍성하게 달립니다. 충청도 이남의 산에서는 자주꿩의다리와 비슷하지만 키가 더 크고 잎과 꽃이 더 엉성해 보이는 은꿩의다리가 자생합니다. 특히 꽃대 등 줄기의 색이 자주꿩의다리는 진한 자주색, 은꿩의다리는 녹색으로 차이가 납니다. 수술도 은꿩의다리가 더 가늘고 길어 보입니다.
자주꿩의다리를 만난 날 고대산 산행에서 돌양지꽃과 노루발풀, 산골무꽃, 털중나리도 함께 만났습니다.


Where is it?
높은 산, 그중에서도 척박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생태 특성상 바위가 많은 산등성이에 가야 만날 수 있다. 다른 말로 땀을 흘리고 산정 가까이 올라야 자주꿩의다리와 해후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는 뜻이다.
가까이 서울 북한산에서도 자생한다. 국민대를 지나 북악터널 입구에서 시작하는 등산로를 따라 1시간여 오르면 형제봉인데, 그 주변 바위 절벽에서부터 보이기 시작해 능선을 따라가면서 종종 만날 수 있다. 물론 군락지 규모나 주변 경관 등을 감안한 최고의 모델은 경기도 연천 고대산의 자주
꿩의다리. 자유로 경기도 경계 지점에서부터 100km로 거리는 다소 멀지만 언제든 시원하게 달릴 수 있어 1시간 반 정도로 도착할 수 있다. 모처럼 경원선 기차를 타고 가도 된다. 신탄리역에서 내려 10여 분 걸으면 고대산 입구. 3개 등산로 중 2코스를 택해 1시간여 오르면 전망이 탁 트인 바위
능선에 자리 잡은 자주꿩의다리 군락을 마주할 수 있다. 경남 합천의 가야산과 충북 괴산 이만봉의 능선 길에서도 볼 수 있다.

전문위원/야생화 칼럼니스트│김인철

고 있다.


















































![[김인철의 야생화] 남도의 가을을 단풍보다 더 붉게 물들이는 ‘꽃무릇’](https://img.etoday.co.kr/crop/85/85/1131968.jpg)
![[김인철의 야생화] 염화시중의 미소로 꽃샘추위 내치는, 앉은부채!](https://img.etoday.co.kr/crop/85/85/1022522.jpg)
![[김인철의 야생화] 겨울이 깊어갈수록 존재감이 드러나는 '겨우살이'](https://img.etoday.co.kr/crop/85/85/1008185.jpg)
![[김인철의 야생화] 백두 평원에 흰 눈 쌓이듯 피는, 노랑만병초](https://img.etoday.co.kr/crop/85/85/991212.jpg)
![[김인철의 야생화] 척박한 바위 겉에 오뚝 서 꽃피우는, 좀바위솔](https://img.etoday.co.kr/crop/85/85/975249.jpg)
![[김인철의 야생화] 보랏빛 꽃다발로 거친 파도를 다독이는, 해국](https://img.etoday.co.kr/crop/85/85/956093.jpg)
![[김인철의 야생화] 스산한 가을 향이 강하게 묻어나는 꽃 ‘가는잎향유’!](https://img.etoday.co.kr/crop/85/85/944045.jpg)
![[김인철의 야생화] 야생난의 극치미를 보여주는, 백두산 애기풍선난초](https://img.etoday.co.kr/crop/85/85/909703.jpg)
![[김인철의 야생화] 폭염 속 온몸 틀어 선홍색 꽃다발 선사하는 타래난초](https://img.etoday.co.kr/crop/85/85/892727.jpg)
![[김인철의 야생화] 연분홍 치마 흩날리며 핑크빛 사랑 나누는, 개정향풀](https://img.etoday.co.kr/crop/85/85/876706.jpg)
![[김인철의 야생화] 섬진강변 흩날리던 매화의 환생 매화마름!](https://img.etoday.co.kr/crop/85/85/859954.jpg)
![[김인철의 야생화] 폭포수의 벗이자, 춘설(春雪)과도 친구인 특산식물 '모데미풀'](https://img.etoday.co.kr/crop/85/85/840816.jpg)
![[김인철의 야생화] 자연의 신비, 생명의 외경을 일깨워주는 '너도바람꽃'](https://img.etoday.co.kr/crop/85/85/827027.jpg)
![[김인철의 야생화] “봄 봄 봄! 봄이 왔어요.” 소리 높이 외치는 보춘화!](https://img.etoday.co.kr/crop/85/85/805684.jpg)
![[김인철의 야생화] 순백의 신부 부케를 똑 닮은 꽃 백서향!](https://img.etoday.co.kr/crop/85/85/784440.jpg)
![[김인철의 야생화] 백의 얼굴, 천의 표정을 자랑하는 광릉요강꽃!](https://img.etoday.co.kr/crop/85/85/759743.jpg)
![[김인철 야생화] 한 해 야생화 탐사의 대미(大尾)를 장식하는 좀딱취!](https://img.etoday.co.kr/crop/85/85/741256.jpg)
![[김인철의 야생화] 가을을 유혹하는 립스틱, 하늘을 내려앉게 하는 물매화!](https://img.etoday.co.kr/crop/85/85/719775.jpg)
![[김인철의 야생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베를린까지 유라시아의 여름을 물들이는 분홍바늘꽃](https://img.etoday.co.kr/crop/85/85/703375.jpg)
![[김인철의 야생화] 한국의 야생화를 대표하는 특산식물 '금강초롱꽃'](https://img.etoday.co.kr/crop/85/85/682894.jpg)
![[김인철의 야생화] 천 길 바위 절벽서 새벽이슬 먹고 피는 지네발란!](https://img.etoday.co.kr/crop/85/85/661984.jpg)
![[김인철의 야생화] 산악인의 꽃 산솜다리](https://img.etoday.co.kr/crop/85/85/642317.jpg)
![[김인철의 야생화] 5월 높은 산 깊은 계곡을 화사하게 물들이다 '애기송이풀'](https://img.etoday.co.kr/crop/85/85/626761.jpg)
![[김인철의 야생화] 동강 할미꽃](https://img.etoday.co.kr/crop/85/85/608389.jpg)
![[김인철의 야생화] 제주 봄의 화룡점정 수선화](https://img.etoday.co.kr/crop/85/85/596807.jpg)
![[김인철의 야생화] 2월이면 변산바람꽃 이미 피어 새 봄이 지척에 와 있음을 알립니다](https://img.etoday.co.kr/crop/85/85/584361.jpg)
![[김인철의 야생화 산책] 통곡하고 싶은 계절, 사무치게 그리운 임을 닮은 꽃 '둥근잎꿩의비름'](https://img.etoday.co.kr/crop/85/85/538854.jpg)
![[김인철의 야생화 포토기행④] 한탄강 '꽃장포' …불면 갈아갈세라, 만지면 터질세라, 가냘픈 풀꽃이 핍니다](https://img.etoday.co.kr/crop/85/85/480423.jpg)
![[김인철의 야생화 포토기행⑤] 솔나리](https://img.etoday.co.kr/crop/85/85/487074.jpg)
![[신간]](https://img.etoday.co.kr/crop/85/85/489790.jpg)
![[김인철의 야생화 포토기행 ③] 민족의 성산 백두산 고산식물의 대표 '두메양귀비'](https://img.etoday.co.kr/crop/85/85/473492.jpg)
![[김인철의 야생화산책 ①] 위험하면서도 황홀한 응시! 야생화의 만남이 시작됩니다](https://img.etoday.co.kr/crop/85/85/468328.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