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형의 한문 산책] ‘후목분장(朽木糞牆)’

기사입력 2017-10-27 14:39 기사수정 2017-10-27 14:55

<논어>를 보면, 수많은 공자의 제자가 나오지만 그중 재여(宰予)만큼 특이한 인물은 없다. <논어>를 읽어보면 공자가 제자에 대해 험담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나의 예외가 있는데, 그게 바로 ‘후목분장(朽木糞牆)’의 일화에 나오는 예다. 재여가 낮잠을 자자, “썩은 나무는 조각을 할 수 없고, 썩은 담장에는 칠을 할 수 없다”와 같은 심한 말로 나무라는 장면이 나온다. 왜 성인(聖人)인 공자가 이런 심한 말을 했을까? 자세한 내막은 알 길이 없지만, <논어>를 살펴보면 약간의 유추를 할 수 있다. <논어>에는 재여가 공자와 논쟁을 벌이는 장면이 세 번 등장한다. 첫 번째가 바로 ‘삼년상(三年喪)’과 관련한 논쟁이다.

어느 날 재여는 공자에게 삼년상이 너무 길므로 일년상으로 하면 되지 않겠느냐는 질문을 한다. 그러자 공자가 일년상으로 끝내도 마음이 편하겠느냐고 물었고 재여는 편안하다고 답한다. 공자는 마음이 편안하다면 일년상으로 하라고 하면서, “군자는 부모님의 상중(喪中)에는 맛있는 음식을 먹어도 맛이 없고, 좋은 음악을 들어도 즐겁지 않다. 그래서 맛있는 음식을 먹지 않고 좋은 음악을 듣지 않는 법”이라고 했다. 재여가 나가자 공자가 말했다. “재여는 참으로 어질지 못한 사람이다. 자식은 태어나서 삼 년이 지나야 부모의 품을 벗어난다. 그래서 세상에서는 삼년상을 치르는 예(禮)를 갖춘 것이다.” 즉 이때 그는 공자에게서 ‘불인(不仁)하다’는 딱지를 받은 것이다.

또 <논어>의 ‘옹야(雍也)’ 편을 보면 재여가 다음과 같은 고약한 질문을 하는 대목이 나온다. “어진 사람[仁者]이 있는데 누군가가 알려주며 말하기를 ‘우물에 사람이 있다’고 하면 그것을 따라 우물에 빠져야 할까요?” 공자가 말하기를 “어찌 그렇게 하겠는가? 군자에게 가서 보게 할 수는 있지만 그를 속여 빠지게는 할 수 없으며, 속일지언정 우롱하지는 못하니라”라고 했다. 가만히 읽어보면 공자가 화가 난 모습이 그려지지 않는가? 어진 사람이라면 마땅히 남을 도와야 하는데, 자신의 목숨까지 내어놓고 남을 도와야 하느냐는 발칙한 질문에 마땅한 대답을 내어놓지 못해 화가 나서 내뱉는 스승의 모습이다.

이외에도 <논어>의 ‘팔일(八佾)’ 편에 나오는 일화가 있는데, 대략 이상의 세 가지 일화를 종합해보면, 재여는 아주 똑똑하고 재기발랄한 제자이지만, 몹시 골치 아픈 제자였다. 묻는 질문마다 스승을 골탕 먹이려는 듯한 질문을 던지고 삼년상처럼 사실상 논리적으로도 맞고 현실에 부합하는 질문을 들이대면서 “스승님 말씀이 틀렸잖아요?”라고 따지는 어린 제자가 공자는 몹시 못마땅했을 것이다. 그런 제자가 열심히 공부해야 할 낮 시간에 단순히 조는 것도 아니고, 아예 드러누워 잠을 자고 있으니, ‘후목분장’이라는 극단적인 표현까지 쓴 것으로 이해된다.

이런 스승과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재여는 공자의 제자 중 가장 뛰어난 10명의 제자, 즉 ‘공문십철(孔門十哲)’ 중 한 사람으로 이름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그는 공자가 천하를 주유(周遊)할 때 공자를 계속 수행했으며, 공자의 명에 따라 제(齊)나라, 초(楚)나라에 사신으로 파견 가는 것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런 그의 공을 후대에서 인정해, 당(唐) 현종(玄宗)은 그를 ‘제후(齊侯)’에 봉했고, 송(宋)대에는 ‘임공(臨公: 후대에는 제공(齊公)으로 개칭)’, 명(明)대에는 ‘선현재자(先賢宰子)’로 봉해지는 영광을 누린다.

하태형(河泰亨)>> 전 현대경제연구원장

아호는 양우(養愚). 1958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와 KAIST 대학원에서 경영학과 경영과학을 전공했다. 미국으로 유학하여 뉴욕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수원대 금융공학대학원에 교수로 복귀하여 강의하고 있다,

오랜 소망이었던 서예와 한학을 다시 공부하게 됐다. <난정서>를 접하게 된 이후 국내외 문헌을 찾아가며 난정서 연구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저서로는 <난정연회>가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 기사

  • [하태형의 한문산책] 도망시(悼亡詩), 사별한 아내를 그리워하는 마음
  • [하태형의 한문 산책] 절절함을 노래한 시, 첫 번째
  • [하태형의 한문 산책] 뛰어난 신하는 물러날 때를 안다
  • [포토 에세이] 들국화
    [포토 에세이] 들국화
  • 언론인의 눈으로 본, “초고령사회 일본 은퇴자는 어떻게 살까?”
    언론인의 눈으로 본, “초고령사회 일본 은퇴자는 어떻게 살까?”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브라보 스페셜